“병이 있음에도 의사에게 보여 치료받길 꺼린다.”는 뜻의 ‘호질기의(護嫉忌醫)’가 지난 2008년을 상징하는 사자성어로 선정되었단다. 교수신문은 매년 한 해를 결산 하는 의미에서 필진과 주요 일간지 칼럼니스트,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국 사회를 풀이하는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하여 발표해오고 있다.
호질기의(護疾忌醫)는 중국 북송시대 유학자 주돈이(周敦頤)가 ‘통서(通書)’에서 남의 충고를 귀담아 듣지 않는 세태를 비판하면서 “요즘 사람들은 잘못이 있어도 다른 사람들이 바로 잡아 주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 이는 마치 병을 감싸 안아 숨기면서 의원을 기피해 자신의 몸을 망치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고 말한 데서 비롯되었다 한다.
정치·경제․사회 모든 면에서 유래 없이 어려웠던 지난 해, 새로 출범한 정부와 여당이 국민의 따가운 비판과 충고를 받아들이려는 자세가 부족한 모습을 꼬집은 것이다. 정부는 실용을 내세우면서도 이래 상황에 걸맞은 현실진단과 추진정책들이 문제의 본질을 간파하지 못하거나 미봉책으로 대응하며 오히려 문제를 키웠다. 미국산 쇠고기 파문이 그랬고, 금융위기를 처리하는 대응 방식, 방송법 처리를 놓고 벌이는 최근의 국회 파행 또한 그렇다. 그런 의미에서 ‘호질기의(護疾忌醫)’라는 지성인들의 지적은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국민과 전문가들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는 호된 경고의 메시지인 셈이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나 학급당 학생 수 등 우리나라의 교육여건은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다른 나라보다 3배 이상 많은 돈을 교육비로 쏟아 붓는 우리나라 학부모들은 세계에서 가장 고생하는 학부모다. 지방교육재정 여건이 매우 열악한 상태로 공교육 내실화, 사교육비 경감 등 교육재정 증가요인이 산적해 있는 등 앞으로 교육재정이 막대하게 필요하다. 교육에 관한 법안 및 예산 심의권과 전문성을 가진 국회 교과위원회마저도 여․야 만장일치로 「교육세법 폐지 반대 결의안」을 채택하며 교육세 폐지법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가 교육재정의 큰 축을 차지하는 교육세를 폐지하겠다는 것이 바로 ‘호질기의(護疾忌醫)’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교육투자를 증대시키는 것은 시대적인 추세인데도 시대에 역행하는 정부는 교육홀대는 곧 국가적 위기가 초래한다는 것을 깨닫기 전에 전문가의 충고를 겸허히 수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어디 이것이 정치권이나 정부에게만 해당되는 것이겠는가. 누구에게든 비판과 충고는 참 듣기 거북하고 참기 힘든 쓰디쓴 말이다. 지난해 한 지방신문의 기고문에 교육현장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교육문제에 대해 쓴 소리를 세게 한 적이 있다. 이 문제점은 관련 학회나 국회 차원에서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이미 시작된 일반화된 문제였다. 신문에 보도된 이후 관련자로부터 많은 인격모독성 항의, 협박과 질책을 받아야만 했다.
본래의 발언 취지와 다르다고 해명했지만 그럴 때마다 문제의 본질은 외면당했다. 이는 “마치 병을 감싸 안아 숨기면서 의원을 기피해 자신의 몸을 망치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바로 잡아 주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는 주돈이(周敦頤)의 말을 떠올리게 했다. 이후 한동안 글 쓰는 일을 후회하고 항의하는 사람들을 원망도 했지만 다행히 격려하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나름 위로받은 것은 다행이다. 숨겨진 병도 아닌 곪아 터지기 직전의 중병인데도 애써 비판과 충고를 외면하려는 ‘호질기의(護疾忌醫)’ 증상은 우리 사회 곳곳에 만연되어 있다.
충고와 비판은 듣는 사람이 쉽게 구분할 수 있지만 우리는 흔히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인정하려 하고 비판과 충고를 받아들이기 싫어한다. 그래서 언제나 비판과 충고는 쓴 법이다. 그러나 비판을 참고 충고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몸에 좋은 양약으로 작용하지 않겠는가. 2009년 기축년(己丑年) 새해에는 자신을 낮추고 남의 비판과 충고를 겸허히 받아들이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