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모 방송국 뉴스에서 영어 회화 과목에 대한 내신고사 반영을 보도한 적이 있다. 외국인 교사를 일선 학교에까지 배치하고도 영어 회화를 제대로 하는 것은 고사하고 외국인 시간에 거부감조차 갖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중학교의 경우는 그래도 덜하겠지만 인문계 고등학교의 경우는 외국인 과목에 회화를 제대로 배우기보다는 외국인 시간이라는 형식 이외에 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은 너무나 높다. 특히 독해력에 있어서는 그 어느 영어권 학생보다 못할까 할 정도다. 그러나 정작 영어 회화는 뒷전이다. 우선 수능에 출제되는 영어 독해력과 단어 외우기에 급급한 실정이다. 비싼 외화를 주고서 외국인 교사를 일선 학교에 배치하고도 정작 그들에게 배워야 할 학생들이나 교사들의 관심은 무미건조한 상태다.
학생들은 시험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어 있기에 회화 시간에 대한 무관심, 그 시간에 단어 공부하기, 잠자기 등으로 일관하는 경우가 흔치 않다. 그런 가운데 이번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영어 회화를 내신고사에 반영하겠다는 취지는 참으로 당연한 조치가 아닐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평소 영어 회화 과목에 대한 외화 낭비라는 생각이 뇌리를 스치곤 할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영어 과목으로 내신고사에서 100점을 받아도 잘한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이제 보편화되어 있다. 영어를 잘하는 것은 기본이지 우수한 것이 아니다. 100점을 받은 것은 보통이지 잘한 것이 아니라는 것도 그만큼 영어에 대한 비중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유치원 아동이 영어를 하는 것이 보편적인 것처럼, 일반인이 영어 회화를 배우는 것은 당연지사화 되고 있다.
영어 마을이 시(市)마다 생겨나고 영어 경시 대회, 영어 웅변 대회, 영어 말하기 대회 등등 영어를 대중화하기 위한 노력은 그 어느 분야보다 높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정보를 영어로 얻어야만 하는 데 있다. 세계인의 정보를 영어로 하면 통하지 못하는 곳이 없기 때문이고 영어가 만국어로 부상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 일선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도 영어 회화 과목에 대한 비중을 더욱 높여 외국인과 모두 회화를 할 수 있는 그날이 올 수 있도록 영어 회화 정책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다. 그러한 한 방편으로 나온 내신고사에 영어 회화 과목 점수를 반영하기로 한 것은 영어 회화에 대한 관심을 더욱 높일 것으로 보인다.
과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사람들은 더욱 빠른 속도로 서로 간의 만남의 횟수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날이 그리 멀지 않을 것이다. 오전에 한국에서 만났던 모 외국인이 점심 때에는 미국에서 만나게 되는 그런 날. 아마도 꿈만은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