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9일 도곡동 EBS 본사를 방문했다. 이 대통령은 EBS 콘텐츠 제작 현장을 둘러본 후 학생, 학부모, 교사 등과 간담회를 갖고 EBS 수능 강의를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안병만 교과부장관도 이 대통령의 EBS 방문 열흘 전인 지난 10일 도곡동 EBS 사옥에서 "EBS 수능강의 내용이 수능시험에 70%이상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과 주무부처 장관이 나서서 사교육으로 인한 국민 부담을 줄이자는 것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할 국민은 없다.
문제는 수요자의 반응이다. 치열한 입시 경쟁과 사교육비에 지친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일단 심드렁한 반응이다. 딱히 새로울 것이 없다는 얘기다. 교사들의 반응도 다르지 않다. EBS 수능 강화는 정치권의 연례행사로 여기는 분위기다. EBS 수능 강의와 수학능력시험의 연계는 참여정부 때인 2004년 2·17 사교육 대책에서 비롯된다. 그로부터 6년 동안 EBS 수능 강의와 수학능력시험은 반영률과 연계율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늘 바늘과 실처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아이러니한 것은 EBS 수능 강의를 강조할수록 사교육 업체의 온라인 강의가 뜬다는 점이다. 이번 이 대통령의 EBS 방문도 따지고 보면 수능에 강점을 갖고 있는 사교육 업체에는 오히려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한 줄 세우기식 수능시험을 강조하면 할수록 사교육업체의 수익이 늘어난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온라인 학습의 특성을 잘 모르는 사람들 가운데는 EBS 측이 학생들을 끌어들일 수 있을 정도의 수준높은 콘텐츠를 제작하면 사교육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되지 않겠느냐고 의견을 개진할 수도 있다. 물론 맞는 말이다. 그런데 그게 말처럼 쉽지 않다. 강의의 질적 수준을 좌우하는 강사들이 대부분 사교육 업체에 종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본을 앞세운 사교육 업체는 빠른 의사 결정 구조를 앞세워 시장을 움직이는 스타강사들을 휩쓸었고 EBS에서 뜬 공교육 교사들 가운데는 사교육 업체로 넘어가는 일도 빈번해졌다.
물론 스타강사들이 EBS를 떠나는 것은 비단 경제적인 문제만은 아니다. 공영방송인 EBS는 강의에 제약이 많을 수밖에 없다. 한 마디로 강사의 개성을 살린 강의가 어렵다는 점이다. 사교육 업체로 건너간 강사들은 양복 대신 청바지를 입거나 파마 머리를 하는 등 아이들과 코드를 맞춰 강의를 진행하고 심지어 아이들이 사용하는 은어나 비속어도 스스럼없이 사용한다. 아이들은 강의 선택의 기준으로 질적 수준 못지않게 흥미를 중요시 한다. 그래서 돈 한푼 안내는 EBS보다 적게는 몇 만원에서 많게는 몇 십만원까지 하는 사교육 업체의 강의를 선택하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공교육이다. EBS 수능 강의가 강조되면 결국은 학교에서 할 수 있는 교육활동의 폭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수능은 아직도 대학입시에서 가장 강력한 전형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수능이 사교육 창궐의 핵심 요인이라는 점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알는 사실이다. 대통령이 나서서 EBS에 힘을 실어주자 일부 학교에서는 다시 과거로 돌아가 EBS 수능 강의를 학생들에게 일괄 방영할 것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다. 이렇게 되면 교사들이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정말 심각한 문제는 이 대통령이 그토록 강조한 입학사정관제에 있다. 입학사정관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비중이 지금보다 훨씬 낮아져야 하는데 EBS를 통한 수능 강화는 입학사정관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 뻔하다. 그런 저런 이유로 EBS 수능 강화는 아무래도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느낌이 든다. 만약 이 대통령이 EBS 수능 강화로 사교육을 잡고 입학사정관제를 안착시키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다면 역으로 두 가지 다 놓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