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5 (금)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외 수상실적 배제, 학생부 신뢰 떨어뜨린다

교과부가 시도교육청에 내린 지침에 따라 전국의 초중고교는 이번 학기부터 각종 외부 경시대회 수상 실적을 기록할 수 없다. 그뿐이 아니다. 토익, 토플, 텝스, 일본어능력시험(JLPT), 중국어능력시험(HSK) 등 공인어학시험 성적이나 구술 영어 면접과 해외봉사활동도 기재하지 못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학생부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부 항목이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학생부는 총 12가지 항목으로 이뤄져 있고 기록 내용은 구체적인 자료를 토대로 한다. 12가지 항목 가운데 교과학습발당상황은 과목별 성취도를 기록하기 때문에 교과영역이라 하고 나머지 영역은 학생의 소질이나 잠재 능력 등 개인적인 역량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비교과영역이라 부른다. 흔히 내신이라 부르는 것은 교과영역, 즉 성적을 의미한다.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전형 요소는 학생부다. 일단 학생부가 부실하면 목표로 하는 학교에 합격하기가 쉽지 않다. 대학입시의 경우, 논술이나 면접 또는 수능으로 만회할 기회가 있지만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다년간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맡고 있지만 학생부가 부실한 학생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한 사례는 거의 보지 못했다. 말그대로 학생부는 입시의 기본이나 다름없다.

現 정부들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도 실은 학생부의 비중을 높이자는 의도가 담겨있다. 말하자면 자신의 소질과 재능을 미리 발견한 후 구체적인 진로를 잡아 역동적으로 활동한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방법이 입학사정관제라면 그 기준은 바로 학생부라는 것이다. 물론 학생부 외에 자기소개서, 추천서,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서류가 있으나 이는 단순히 참고자료에 불과할 따름이다.

입학사정관제 확대가 교육력 향상은 물론이고 덩달아 학생부의 신뢰로 이어진다면 공교육 활성화에 그보다 좋은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학생부 일부 항목이 사교육을 유발한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올림피아드나 교과 관련 경시대회 수상 실적이 대표적인 항목으로 꼽힌다. 이들 항목은 창의성 없이 소위 화려한 스펙을 쌓기위해 입상만 노리는 사교육 폐해의 전형적인 사례라는 것이다.

물론 소수에 불과하겠지만 경시대회 입상을 위해 고액 과외를 받거나 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대다수의 학생들은 사교육과 무관하게 자신의 재능을 평가받기 위해 각종 경시대회에 출전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문제는 교육 당국의 이중 잣대에 있다. 사교육 유발 때문에 교외 경시대회 기록을 금지한다면 영재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왜 허용했느냐는 점이다. 교외 경시대회 입상보다 시도교육청에서 주관하고 있는 영재 학교 입학 경쟁이 더 치열하다는 것은 웬만큼 교육에 관심있는 사람은 다 알고 있다. 교외 경시대회 기록이 제한되면 영재 교육과 관련된 사교육 수요는 더 늘어날 것이 뻔하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다. 상은 개인의 능력을 인정하고 또 더 노력하라는 격려의 의미가 담겨있기에 교육적으로도 무척 가치가 높다. 수상 실적은 스펙이기 이전에 해당 학생의 자질과 능력을 드러내는 바로미터라 할 수 있다. 교과와 관련된 교내 수상은 되고 교외 수상은 기록할 수 없다면 학생부에 기재할 수 있는 항목은 과연 몇 개나 될 지 궁금하다. 자칫 현정부가 내세우는 입학사정관제가 속빈 강정으로 전락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