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지방선거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에선 도지사, 교육감 등 지역 및 교육일꾼 3991명을 뽑는다. 후보는 1만 20명, 2.5대 1의 경쟁률이다. 후보 숫자로만 보면 대한민국은 인재가 넘치는 나라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아무리 인재가 넘치는 나라라해도 잘못 뽑으면 ‘개고생’임을, 우리는 그 동안 똑똑히 봐온 바 있다. 가령 당진군수는 뇌물 챙긴 것도 모자라 여권을 위조하여 해외로 도피하려다 검거, 구속되었다. 자치단체의 최고 책임자였는지 그 하는 짓에 숨이 다 막힐 지경이다. 그만큼 유권자의 선택에 따른 책임이 막중해졌다.
무투표 당선자도 더러 있는 모양이지만, 그렇듯 경쟁이 치열하다보니 유권자들로선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게다가 ‘그 나물에 그 밥’이라며 정치적 무관심을 보이는 유권자들도 꽤 있어 낮은 투표율을 걱정할 정도이다. 특히 교육감·교육감선거가 그렇다.
지역별로 줄어든 데가 있기는 하지만, 언론 보도의 여론조사를 보면 누가 누군지 모르겠다는 유권자 대답이 절반이나 된다. 후보를 정하지 못한 부동층 역시 비슷하다. ‘로또 교육감’, ‘주사위 교육감’, ‘묻지마 투표’, ‘깜깜이’라는 기막힌 신조어가 회자되는 한 이유이다.
교육감·교육의원은 정당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런데도 한나라당 강세 지역에선 1번, 민주당 텃밭에선 2번을 뽑은 후보가 마치 당선이라도 된 듯 환호했단다. 이런 선거가 선진국 대열의 세계 어느 나라에 또 있을지 궁금하다.
그렇더라도 이제 투표용지 이름게재 순서 1번이나 2번을 뽑은 주사위는 던져졌다. 부산·대구는 9대 1, 서울은 8대 1 등 16개 시·도 교육감 평균 경쟁률은 자그마치 5.1대 1이다. 그러니까 최소 5명에서 최대 9명까지의 후보 중에서 단 1명만 뽑아야 하는 난관에 처하게 된 것이다.
어려운 일이 틀림없지만, 포기해서는 안 된다. ‘묻지마 투표’ 역시 곤란하다. 교육감은 그 권한이 ‘교육소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막강하고, 교육의원은 그걸 견제하는 자리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교육감·교육의원의 어깨에 우리 자녀들의 미래가 달려 있는 셈이다.
그런데 선거운동과정에서의 후보들간 공방이 ‘정치꾼’들을 방불케 하고 있다. 예컨대 “현직 교원들을 줄세우기 한다”, “논문표절이다”, “보수다 진보다” 따위로 벌어진 일련의 행태가 그것이다. 관심을 가지려 애쓰는 유권자들에게 그나마 정 떨어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특히 교원 줄세우기는 절대 있어선 안 될 일이다. 서울시교육청 비리사건 및 전 교육감 구속이 그걸 말해준다. 교원 줄세우기가 정치적 중립에 따른 공직선거법 위반 여부를 떠나 결국 비리사슬의 거대한 뿌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이래저래 유권자들은 어려운 숙제를 떠안게 되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특히 교육일꾼의 경우 잘못 뽑으면 우리 학생들이 ‘개고생’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공직선거법이나 비리 혐의로 언론에 오르 내리는 부끄러움과 다시 투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당하는 투표가 되어선 안 된다. 교육일꾼 뽑는 선거, 이제 얼마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