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학교현장에서 가장 큰 이슈는 단연 교원평가제 도입일 것이다. 언론에서는 교사들과 학교현장이 변했다고 한다. 그것이 교원평가의 효과라는 것이다. 물론 부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교원평가제 도입으로 일선학교에 변화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에대한 부정적 시각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부정적 시각이라는 것은 교원평가 자체를 반대하고 거부하는 분위기라기 보다는 그 과정의 여러가지 문제점 발생으로 인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다.
잘 아는 사실이지만 교원들의 업무경감이 되지 않은 상황임에도 교원평가제는 그대로 시행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수업에 쏟아붓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처리해야 할 업무들이 많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정업무를 맡고있는 교사들은 교원평가에 대비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아무리 평가를 한다고 해도 당장 처리해야 할 업무들이 있기에 어려움을 겪는다.
여건은 어렵지만 평가를 받아야 하기에 교사들은 수업을 공개했고 그 결과를 통해 평가를 받았다. 물론 교원평가가 수업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여러가지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가 이루어지는데, 문제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평가이다. 교사평가는 서로가 잘 알고 있기에 기술적인 문제는 없다. 간혹 온정주의로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이야기가 들리긴 하지만 애시당초 객관성이 떨어지는 것이 교원평가라는 지적을 수차례 했기에 이에 대한 문제를 계속해서 제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어차피 평가자가 어떤 평가를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역으로 생각한다면 학생들이나 학부모 평가 역시 객관성이 떨어진다. 교사들 상호평가만을 문제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한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렇다고 학생과 학부모 평가가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는 근거 역시 없다. 따라서 평가자의 의견을 존중할 필요성이 있다. 더구나 교사들은 서로가 너무나 잘 알고 있기에 도리어 객관성이 높을 수도 있는 것이다. 교사들은 그래도 평가에 100% 참가를 한다. 그러나 학부모들이나 학생들은 100% 참가가 되지 않는다.
매우 낮은 비율로 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가령 3~4명의 학부모가 어떤 교사를 평가했다고 하자. 이들이 어떤 평가를 했느냐에 따라 해당교사의 평가결과가 달라지게 된다. 문제는 이들 중에서 3명정도가 미흡함으로 판단하여 점수를 줬다면 해당교사는 미흡한 교사가 된다. 그러나 같은 학부모에게 미흡함을 받은 또 다른 교사가 있다고 할때 그 교사를 50명이 평가를 했다면 결과는 매우 많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3~4명의 평가결과와 50명의 평가결과를 똑같이 받아들이는 것이 옳은 것인지 따져 봐야 한다.
실제로 평가비율을 높이기 위해 학부모들에게 평가에 많이 참여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랬더니 많은 학부모들은 교사들의 이름도 모르고 얼굴도 모르며, 더구나 수업을 한 번도 본 적이 없는데 어떻게 평가를 하느냐는 이야기를 했다. 수업공개를 매년 4회 이상 하도록 했고, 평가를 위한 수업공개 기간을 상당히 많이 잡았다. 그럼에도 학교방문을 하여 수업을 참관한 학부모가 많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학부모들의 이야기가 옳다는 생각이다.
그렇다면 더 많은 기간 동안 수업공개를 하면 된다는 대안이 있을 수 있다. 아무리 많은 기간을 하더라도 맞벌이를 하는 가정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이들이 모든 교사들의 수업을 참관할 수 있겠는가. 여기에 해당교사들의 학생생활지도 능력까지 평가한다는 것은 객관성이 너무나 떨어진다. 필자의 경우도 아이들의 학교에 전혀 가지 못했다. 기간이 길고 짧음의 문제가 아니다. 도저히 시간을 낼 수 없었던 것이다. 아이들 담임교사의 과목정도는 알고 있다. 나머지는 전혀 알수 없다.
수업공개를 토요일이나 야간에 하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러나 야간까지 시간을 내서 학교수업참관을 할 학부모가 몇이나 될 것이며, 여기에 토요일은 대부분 학교들이 체험활동이나 특별활동을 하는데 어떻게 수업을 하라는 이야기인가. 야간이나 토요일에 수업을 하라는 것은 학교교육과정을 바꾸라는 이야기다. 현실적이지 않다. 학부모들의 평가결과를 신뢰하느냐의 문제보다 더 많은 학부모들이 평가에 참여해야 하고, 이들 학부모들은 학교에 1년내내 관심을 갖고 있어야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따라서 학부모 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만족도 조사라고는 하지만 만족도라는 것이 1~2회 수업참관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학부모들의 평가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숙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