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과학영재들은 서양의 과학자들처럼 머리가 큰 점 등 형태상 영재들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나, 신체운동성을 나타내는 뇌간은 상대적으로 열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 서산의 한서대 부설 얼굴연구소의 조용진 소장은 지난해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에 다닌 초등학교 4∼6학년 과학영재 120명을 대상으로 머리 크기와 구조를 조사·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15일 한국뇌학회 주관으로 열린 '세계 뇌주간' 기념 특별강좌를 통해 발표했다.
조 소장에 따르면 이들 과학영재의 머리 폭은 평균 153.1㎜로 일반 학생보다 0.6㎜ 넓고, 미간에서 뒤통수까지 길이도 영재(183.1㎜)가 일반학생보다 1.1㎜ 길었다. 이번에 영재들과 비교한 일반 학생들은 서울 강남의 D초등교 4∼6학년생이며, 초등학생의 경우 머리의 폭과 앞뒤 길이가 0.2㎜ 정도만 차이나도 통계적 의미가 있다고 조 소장은 설명했다.
우리 과학영재들은 또 뉴튼, 괴테, 아인슈타인처럼 모두 왼쪽 전두엽부(왼쪽이마의 볼록 튀어나온 부위)가 도드라져 있으며, 감각·시각·청각이 만나는 뇌의 부위인 연상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왼쪽 뇌가 오른쪽 뇌보다 활동성이 높아 음식을 오른쪽으로 많이 씹고 △왼쪽 눈이 오른쪽보다 작거나, 일반 한국인들과 달리 얼굴 가운데가 돌출하거나,턱이 오른쪽을 향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 과학 영재들은 일반 학생보다 사물의 시각적 특징을 살려 그림을 그리는 '시각 정보처리 능력'이 뛰어났고, 사물을 투시도형으로 그리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반면 한국 과학영재들은 서양 과학자들에 비해 뇌간이 열세해 천재로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조 소장은 설명했다. 청소년 시절에는 공부만 하는 것보다는 신체활동을 곁들여야 뇌에 산소 공급이 원활해지는 등 영재성을 키우는 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한국 과학영재들이 귓구멍에서 정수리 점까지의 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과학영재들이 서양 과학자들과 달리 순수이론과학보다는 발명 등 감성을 필요로 하는 과학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발달한 것으로 해석돼 이 부분에 대한 정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