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년을 맞으면 학부모들은 여러 가지 걱정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거리가 친구들과 얼마나 잘 어울려 생활할 것인가를 걱정하는 일이다. 사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아주 쉽게 친해지기도 하고 쉽게 삐지기도 하여서 늘 크게 걱정을 하지 않고 지내기 마련이다. 더구나 초등학교 저학년인 3학년까진 왕따라던가 따돌림이라는 말이 그리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4학년에 올라가면서부터는 이제 어린이들이 각자가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을 구별하고 함께 어울리지 않는 등 점차 친구관계를 가리기 시작을 하는 때이다.
이렇게 친구를 가리고 점차 좋아하는 친구를 찾기 시작을 할 때부터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시작을 하는 때이다.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 어울려서 놀면서 싫은 아이를 끼워주지 않는 등의 일이 벌어지기 시작을 하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에게 학부모는 자녀의 성격 따라 부모님이 협조해줘야 한다. 그러나 이것을 잘 못하면 친구들 사이에서 '마마보이'라는 인상을 주어서 잘 어울리지 못하게 만들 수도 있다. 부모님들이 자녀의 친구들에게 관심을 가져 주는 것은 대단히 좋은 것이지만, 이것이 조금만 지나치면 친구들은 어머니의 치마폭에 싸여 지내는 아이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러면 어머니의 허락 없이는 잠시 밖에 나가는 것도 자유스럽지 않으니까, 함께 놀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이 무렵에는 자기 또레들끼리 놀고 무언가를 해보려는 시기인데, 어머니의 간섭이 자기들의 자유를 억압한다고 생각을 하게 되어 서로 잘 어울려 지내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때 자녀들에게는 어떻게 해주어야할 것인가? 자녀의 성격에 따라 부모님의 해주어야 하는 일이 달라져야 한다.
영산홍 성격이 활달하지 못하고 약간 암뜬 아이라면, 이런 아이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게 해주기 위해서 부모님의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다른 친구들이 마마보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자녀의 위신을 세워주기도 하면서, 자녀의 요구에 따라 친구들에게도 좀 잘해주는 등 친구들을 잘 사귈 수 있도록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어머니가 직접 친구들을 부르게 하여서 접대를 해주고 재미난 놀이를 힐 수 있도록 준비를 해주는 등의 노력을 해주어야한다.
반대로 성격이 화통해서 활발한 자녀라면 친구들을 불러오게 한다든지 해서 너무 아이들을 몰고 다니는 것을 어느 정도는 억제를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친구들을 몰고 다니는 아이에게 친구들을 집으로 초대하게 한다면, 이 아이는 갈수록 친구들을 몰고 다니면서 대장 노릇을 하거나 갱의 두목 형태로 남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이것은 부모가 초대하여서 오히려 자녀의 장래를 망치는 어리석은 결과를 가져 올 것이다.
이런 어린이라면 부모가 할 일은 자녀의 친구들을 초대하여 친해지게 만드는 일이 아니라, 오히려 혹시 친구들을 괴롭히지는 않는지, 친구들에게 왕 노릇을 하려고 하지는 않은지? 등을 살피고 늘 관심을 가져 주어야 할 것이다.
만약 이런 일이 잘 못하여서 진정으로 사랑하는 아이를 그냥 대장 노릇이나 하게 만든다면, 그것은 어린 자녀를 올바르게 가르쳐 주려고 하지 않고 대장만 만들려는 일이 될 것이다. 지금 당장에는 대장이 되어 있어서 기분이 좋을는지는 모르지만, 그렇게 자라서 정말 잘 자라 줄 것인지 생각해 보아야할 일이다. 만약 그것을 고쳐야 한다면 그런 일은 누가 해야 할 일이며, 무엇을 어떻게 고쳐야 할 것인지를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자녀를 기르는 것은 아주 섬세하고 작은 싹을 기르는 것처럼 정성껏 보살피고, 물주고 바람을 막아주듯 정성을 다하여 보살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