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이론과 현실이 얽힌 교육현장(1)

새상에는 이론과 현실이 잘 맞아야 문제가 야기되는 확률이 낮다. 사회 여러분야가 그렇지만 특히 이론과 현실이 맞지 않으면서 굴러가는 시스템 가운데 하나가 교육에 관한  문제가 아닐까? 교육의 중심축이 교사에서 수요자인 학생, 학부모로 바뀌고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지면서 일상적으로 학부모들은 자녀의 인성교육이 가장 중요하다는 `지론`을 편다. 그러나 실제로는 학교성적을 높이는 교육을 강요하는 모순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부적응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특성화 학교의 경우에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 대학에 못보내거나 심지어 일류대학에 못보내면 자녀교육을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학부모도 상당수이다.

전국 유·초·중·고 교 학부모 2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녀교육에서 올바른 인성 함양이 학교공부보다 중요한가"라는 질문에 83.3%가 "그렇다"고 대답해 인성함양을 자녀교육의 최우선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같은 명목적인 교육관은 `원칙론`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녀가 공부하기 싫어해도 강압적으로 공부시킬 필요가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73.5%가 "그렇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특히 53.7%가 "현재 자녀가 하는 과외활동들이 성적을 올리기 위한 것"이라고 답했고, 이러한 경향은 중·고교로 올라갈 수록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상당수 학부모가 대학진학 여부로 자녀교육의 성패를 판단하고 있으며 대입을 위한 조기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학부모의 27.9%가 "대학 진학 실패를 자녀교육 실패로 여긴다"고 대답했고 특히 15.4%는 "일류대학에 들어가지 못하면 자녀교육이 실패한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런 분위기 속에 학부모의 92.1%가 자녀를 대학 이상 교육시키겠다고 대답했고 50.0%는 대학입학 준비를 위한 교육은 가능한 일찍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현상은  "학력·학벌을 중시하는 사회적분위기와 관행속에 살고 있는 학부모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며 "하지만 적성을 무시한 성적 올리기 강요는 부모와 자녀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자녀 인성교육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어디에 있는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부모와 학교 교사들이 끊임없이 대화하고 공부하면서 찾아내야 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여 내는 학부모회가 많이 나오기를 기해하여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