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가교(孺子可敎)라는 말이 있다. 뜻은 젊은이는 가르칠 만하다는 뜻으로, 열심히 공부하려는 아이를 칭찬하는 말이다. 십팔사략 장량편에 나오는 말이다.
어느 날 장량이 하비교로 산보를 갔는데, 한 노인이 장량의 맞은 편에서 걸어오더니 일부러 신발 한 짝을 다리 밑으로 떨어뜨리고서 주워 달라고 했다. 장량은 내심 화가 치밀어 올랐으나 범상치 않은 노인임을 알고는 신발을 주워다가 주었다. 그러자 노인은 장량에게 발을 내밀어 신발을 신기라고 하였다. 장량은 무릎을 꿇고는 신을 신겨 주었다. 이 모습을 바라보던 노인은 빙그레 웃더니 말없이 가버렸다.
장량은 다리 위에서 노인의 모습을 바라보았는데, 그 노인이 다시 돌아와서 장량에게 ‘유자가교’라는 말을 하고는 닷새 후 아침에 다리 위에서 자신을 기다리라고 말하고는 훌쩍 가버렸다. 장량은 갑작스런 노인의 말에 어리둥절해졌다. 그로부터 닷새가 지난 후 장량이 날이 밝자마자 다리 위로 나가니 노인은 벌써 나와 기다리면서 몹시 화를 냈다. 그리고는 내일 다시 나오라고 말하고 가버렸다.
그 다음날 장량은 새벽에 다리로 나왔다. 그러나 노인이 먼저 나와 기다렸다. 사흘째 되는 날에도 장량보다 먼저 나와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노인은 장량에게 약속한 시간을 지키지 않는다며 욕을 하곤 그에게 닷새 후에 다시 나오라고 했다. 장량은 노인이 말한 날 캄캄한 새벽에 다리 위로 갔는데 노인은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그가 한참 동안 기다리자 노인이 어둠 속에서 나타났다.
그는 기뻐하며 장량에게 책 한 권을 주고는 10년 후에 제북(齊北)의 곡성산(穀城山) 아래로 와서 그를 찾으라고 하였다. 그 책은 강태공의 병법이었으며 노인은 바로 황석공(黃石公)이었다. 그 후 장량은 그 책을 공부하여 유방의 모사가 되었고, 결국 한나라를 개국하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여기에 나오는 노인은 젊은 장량의 어떤 점을 보고서 유자가교(孺子可敎)라고 하였을까? 한 두가지의 잘한 점이 보인다. 첫째가 노인의 신발을 주워 준 점, 둘째가 노인에게 겸손하게 행동한 점이다. 이 젊은이의 잘한 점을 찾은 노인은 유자가교(孺子可敎)라고 칭찬을 해 주면서 계속해서 훈련시켜 나가고 있음을 보게 된다.
이 이야기 속에서 우리 선생님들과 학부모님들은 학생들과 자녀들의 잘하는 점을 발견해서 그것을 가지고 칭찬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학생들과 자녀들은 잘하는 점도 있지만 못하는 점도 많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잘하는 점은 작게 보이고 못하는 점은 크게 보인다. 그래서 잘하는 점을 찾지도 못하고 잘하는 점을 가지고 칭찬도 해주지 못한다.
노인처럼 작은 것이라도 잘하는 점을 찾도록 힘을 써야 한다. 잘하는 것이 없다면 잘하는 것이 나올 때까지 작은 시험이라도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그렇게 해서 잘하는 것이 나오면 그것으로 인해 희망을 심어줘야 하고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자신감을 심어주어야 할 것 같다.
그러면 공부와 담을 쌓다가도 때가 되면 공부하는데 힘을 쏟을 수도 있다. 언젠가 은행원 한 분을 만나 들은 이야기인데 본인이 고2까지 공부를 하지 않고 있다가 고3때 공부를 하기 시작해 1년 공부해 은행원이 되었다고 한다.
학생들이 공부하지 않는다고 꾸중을 해서는 안 되고 힘들게 해서도 안 된다. 공부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마음에 차지 않더라도 조그만한 변화가 보인다면 그것으로 인해 칭찬하고 격려하면 더 큰 힘을 얻어 공부하게 되고 늦게 공부하더라도 꿈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공부를 못하더라도 열심히 공부하는 모습이 보이면 그것가지고 칭찬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