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7.2℃
  • 맑음강릉 27.7℃
  • 맑음서울 28.5℃
  • 구름조금대전 29.5℃
  • 맑음대구 33.4℃
  • 맑음울산 27.2℃
  • 맑음광주 28.9℃
  • 맑음부산 26.4℃
  • 맑음고창 26.4℃
  • 맑음제주 26.7℃
  • 맑음강화 21.9℃
  • 맑음보은 29.1℃
  • 맑음금산 28.3℃
  • 맑음강진군 28.7℃
  • 맑음경주시 30.5℃
  • 맑음거제 27.5℃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위험에 대한 경고, 즉시 알려야

대학시절 어느 대학교수 이야기다.

그분은 대학을 국내에서 나오고 미국에서 대학원을 나왔다. 국제경영 분야를 연구했는데 학위 취득 후 국내 대기업의 경제연구소에서 연구원을 한다고 한다. 그 후에 대학의 조교수로 들어와서 후학을 양성했는데, 지금 말하려는 일화는 3학년 때인가로 기억한다. 그때는 1997년 IMF 구제 금융으로 인하여 단군 이래 가장 큰 일들이 전개될 숨 가쁜 때였다. 수업시간에 교수는 97년 IMF 구제금융 건이 터질 것으로 예견했었다고 했다. 국내 유수의 대기업 경제연구소에서 여러 가지 고급 정보를 얻어 분석하고 연구했으니 그것을 예견했었다는 것은 거짓이 아니었으리라.

하지만 그 얘기를 듣는 순간 그 교수님에 대한 혜안이랄까, 아니면 선견지명과 학식에 대한 경탄이 나와야 정상이었지만 고개가 갸우뚱해진다. 그렇게 정확하게 예측했었더라면 왜 그때 대외에 천명해서 환란 쓰나미를 대처하도록 하지 않았을까? 또 하나 고개가 갸우뚱한 것은 그 교수가 근무했던 대기업 경제연구소의 모기업 부도사태가 IMF 사태와 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회장의 무리한 회사 경영과 천문학적인 정치자금 제공 등으로 인구에 자주 회자된 인물이다.

이렇게 대학시절 얘기를 꺼낸 것은 그 기업의 부도와 IMF 사태를 초래한 원인이 여러 가지 구조적인 모순으로 인하여 생긴 것이지 한 연구원의 잘못으로 발생했다고 보지는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책상물림 한 연구원 출신 교수의 행태를 비난하고자 함도 더더욱 아니다.

일화를 든 것은 얼마 전 서울과 수도권을 강타한 집중호우로 인한 재난 때문이다. 언론에서도 '천재(天災)다', '인재(人災)다' 해서 의견이 분분한 모양이다. 관할 자치구에서도 재해가 발생하면 담당 직원들에게 통보하도록 되어있는 연락처를 5년 전 것으로 해놓고 바꾸지 않았다가 문제가 생기자 거짓 해명을 하고, 산림청에서 산사태 위험지역을 알렸느니 안 알렸느니 해서 잘못에 대해 핑계를 대느라 가뜩이나 덥고 습기 찬 여름철을 더 짜증나게 하는 듯하다.

그런데 어제 뉴스를 보다보니 앞의 IMF 예견 뒷북 사례가 또 나온다. 그것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만든 프로그램이 서울과 춘천의 산사태 예견을 충분히 했었다는 것이다. 강수량이 어느 정도였을 경우 산사태가 예상된다는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 문제는 그렇게 예견이 되었다면 빨리 사전에 전파해서 수많은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지 그랬느냐는 것이다. 때늦은 후회일 뿐이고 공허한 자랑일 뿐이다.

두 가지 사례에서 이러한 것을 느낀다. 어떠한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이든 이론체계든 간에 예측은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말 그대로 이론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확한 내용은 말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저했을 것이다. 수학처럼 정해진 공식대로 대입했을 경우 정해진 답이 나오는 것이 아니어서 발표를 주저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한 이론으로서 존재할지라도 나름 과학적인 체계와 방법으로 만들었다면 당당히 세상에 내놓고서 의견을 말했어야 했다. 왜냐면 사고라는 것은 99%의 확률로 나는 것이 아니라 1%의 적은 확률로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소 불필요하고 시끄러울 것 같아서 주저해서 발표하지 않은 것 때문에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고 많은 재산상 손해를 보아야 하지 않았는가 말이다.

나는 시스템만 만들었을 뿐이고 사용하는 것은 내 책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책임하다. 좋은 뜻을 가지고 만들었으면 세상에 내놓아서 올바르게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도 지식인들의 의무다. 프랑스의 지성인이자 사회철학자인 시몬느 베유는 '관심이야 말로 가장 순수하고 값진 관대함의 표출'이라고 했고, 소설가이자 극작가인 사르트르는 지식인은 간섭하는 사람이라고도 했다. 즉, 자신의 이해와는 무관한 일에 관심을 갖고 간섭하는 것이 지식인의 역할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사회의 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위험함을 알리고 표현하는 것, 그것이 필요한 때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