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6 (화)

  • 흐림동두천 7.0℃
  • 흐림강릉 10.0℃
  • 흐림서울 8.0℃
  • 대전 9.4℃
  • 대구 10.7℃
  • 울산 13.1℃
  • 흐림광주 10.7℃
  • 부산 13.8℃
  • 흐림고창 10.3℃
  • 흐림제주 13.2℃
  • 맑음강화 8.3℃
  • 흐림보은 9.6℃
  • 흐림금산 10.2℃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3.3℃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과학의 양심, 천안함을 추적하다'를 읽고


필자는 인문학과 출신이어서 과학, 특히 자연과학에 대해서는 문외한이다. 그래도 과학이라는 것은 어떤 결과가 나오면 언제 어디서든 똑같은 실험을 하면 증명이 되어야 하고, 재연 가능해서 모두를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과학의 가치는 객관성이며, 증명 가능성이다.

여기 자연과학자로서 진실을 감추려는 불의에 맞서온 한 교수의 이야기가 있어서 소개해 본다. <이승헌 저, 과학의 양심, 천안함을 추적하다, 창비출판사, 2010>이라는 책인데, 천안함 사건에 대한 민군합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의 결과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위해 미국 버지니아대 물리학과 이승헌 교수가 일기 형식과 이메일로 보낸 그간의 여러 기록을 재구성하여 책으로 펴낸 것이다.

이 교수는 조사단에서 침몰 원인으로 발표한 원인에 대해서 과학적 증거를 말하는데 그것이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는, 데이터 조작이 의심되는 증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사단의 어뢰 잔해 ‘1번’의 매직펜 글씨와 어뢰와 배의 흡착물질 분석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해 물리학도로서 과학적 검증을 시도한 것이다.

필자는 이 책을 읽으면서 한 가지 일이 연상되었다. 그것은 2005년에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황우석 전 서울대교수의 논문조작 사건이다. 처음에 MBC <PD수첩>에서 논문조작 등의 의혹을 제기하자 정치권을 비롯한 한국민 대다수는 진실에 눈을 감았고, 심지어 PD들을 국익을 저버리는 매국노로까지 폄훼하였다. 하지만 진실이 드러나는 것은 잠시였다. 여기에는 진실을 알리고자 했던 헌신적인 PD와 국민, 그리고 젊은 과학도들의 모임(BRIC)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문제는 진실을 알리려 노력했던 사람들에 대한 시련과 고초였다. 진실을 밝히려는 자들에게 합리적인 비판과 논박이 아닌 감정이 얽힌 비난이 난무했다. 이 교수 또한 그랬다. 책에는 자세히 나와 있지 않았지만 보수언론과 정치인들을 위시한 전방위적인 압박은 익히 들어봐서 알고 있는 내용이다. 천안함 사건과 황우석 교수 사건의 다른 점이 있다면 앞엣것은 국제관계와 함께 북한이 관련되어 있어서 이념이 개입된다는 점이고, 뒤엣것은 줄기세포 연구로 인한 국부창출과 질병치료의 길이 보였다는 정도다. 우리 사회는 분단국가로 인한 특수 관계로 북한과 관련되어 있다는 심증만 가면 그 사건에 대해서는 이성적인 판단과 논쟁은 종적을 감추기 마련이다.

필자가 궁금한 것은 이 교수가 주장한 데이터 조작이 의심되는 사항인 어뢰 잔해의 흡착물질 성분 분석에 대해서 지금까지 명확한 해명(전문용어라서 이해하긴 어렵지만 이 교수는 EDS와 XRD데이터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는데 조사단이 발표한 것이 재연되지 않았다고 하며, 이에 대한 것을 논문을 써서 학회에 보냄)이 안 되고 있다. 즉, 과학의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재연 검증이 되지 않고 있어서 객관성을 잃게 만든 것이다. 다음으로 어뢰에 쓰여 있던 ‘1번’이라는 글자가 어뢰 폭발시 산화되어 사라질 수 있느냐의 과학적 검증이다. 이에 대해서 이 교수는 고온으로 인하여 타버릴 수 있다고 말했는데, 이에 대해 카이스트 송태호 교수가 안 탈 수도 있다고 말하였다. 하지만 이 교수는 송 교수가 이론을 들어 말한 사항은 가정부터가 틀렸고, 그에 기반한 결과 도출 또한 틀렸다고 말한다.

문제는 앞에서 말한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해서 국내 학계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천안함 사건이 과학적인 분석이 아닌 이념관계가 결부된 문제, 본인 의지와는 상관없이 논쟁에 휘말리기 싫어하는 이유, 보수적인 정권 등장으로 인하여 정권의 주장과 다른 주장을 하는 경우의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 때문일 것이다. 간간히 국내 교수들이 이 교수에게 이메일로 “당신이 주장한 논리와 근거가 맞다”고 동의를 해도 같이 공개적인 의사표시를 하는데 동참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아니면 송 교수처럼 이 교수의 논리가 틀리다고 반박해서 논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도 거의 그런 움직임이 없다. 이것은 우리 사회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반증이다. 자기가 알고 있는, 다른 사람이 다 이해할 수 있는 정상적인 내용을 말해도 사회적으로 배척될 수 있다는 선행학습(?)을 통해 경험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무리 사실을 말해도 국가에 의한 송사는 불가피할 것이므로 자연스러운 입단속이 된 것이다.

필자는 이 책을 읽으면서 과학이란 무엇이며, 과학도로서 가져야 할 태도는 어떤 것일까에 대해서 생각해 봤다. 혹자는 과학은 순수해야 하는데 저자가 너무 편향된 것 아닌가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과학이 정치적이지 않고 순수해야 한다는 그 말이 가장 정치적인 것 아닐까? 자신의 편안 보다는 자기가 가진 학자적 양심을 갖고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할 줄 아는 용기, 이념을 배제하고 과학적인 지식과 검증으로서 현상을 분석해야 하는 것, 설사 이 교수가 주장한 데이터나 이론들이 틀렸다고 판명된다고 해도, 그것이 이 시대 진정한 과학도의 길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