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이 ‘전문가 그들만의 법칙’이라, 그래 나 교사, 모두들 아니 학교 현장에서 교사는 전문가라고 많이 들어왔다. 그래 교사 전문가 맞다. 내가 나 스스로를 전문가라고 생각했던 이유는 적어도 초등학교 아이들을 그들의 지적 눈높이에서 교육 내용을 재구성해서 가르칠 수 있다는 자존심에서였다. 자존심이란 나를 지켜주는 정신적 무기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난 조금은 자존심을 가지고 자신을 표현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만큼 자신 스스로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그래서 그들의 자존심은 지켜주는 게 예의고 그런 당찬 사람을 보는 것도 행복하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전문가 그들만의 법칙>이라는 책은 소위 전문가들이라는 집단의 자존심을 표현하는 책이기에 더욱 더 큰 호기심을 가지고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책의 첫 장을 넘기면서 내가 스스로 전문가라고 느끼던 생각에 회의와 반성의 생각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들기 시작했다. 이 책의 저자는 전문가에 대해서 아주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었다. 사실 창피한 이야기지만 전문가와 관련된 그 어떤 서적도 읽어 본 기억이 없다. 그래서 이 책이 전문가에 대한 모든 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이 책에서 많은 것을 얻었고 적어도 그 깨달음들이 나의 인식의 세계를 바꾸어 놓았음은 틀림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책은 전문가들의 심리적 특성이 무엇이고 그들은 어떻게 전문가가 되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진정한 전문성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새로운 (적어도 나에게는 매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 글의 저자가 제시하는 전문가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란, 전문지식에 안주하지 않고 발전적 문제해결 과정을 실천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었다. <전문지식에 안주하지 않는다>는 말은 무언가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노력하는 것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끊임없이 탐구하고 노력하는 대상은 그 실체가 지적인 요소가 될 수 도 있으며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의 주변에 널리 산재해 있는 문제들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문제란 직장의 문제, 가정의 문제, 아니면 개인의 문제가 될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 구절을 읽으며 책속에서만 지혜를 찾는 자들을 전문가라고 생각했던 나의 편협함을 돌아보는 기회가 되었으며, 생활 속에서 다양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뛰어난 삶의 지혜로움으로, 나의 마음에 교훈과 감동을 선사했던 많은 분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혹 그분들의 일터가 사무실이 아니라고 해서, 그분들에 대한 전문성을 마음으로라도 한시라도 무시한 적은 없었는지 스스로를 돌아보게 되었으며, 세상이라는 무대에서 삶의 현장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든 분들에게, 전문가란 칭호를 내 생활에서, 내 태도에서 붙여드려야겠다는 인식의 변화를 가지게 되었다.
둘째, 발전적인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정의다. 내가 처해있는 교육 현실을 지금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방법을 찾는 과정이 전문가가 추구하는 발전적인 문제 해결과정이라고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다.
셋째, 숙련가와 전문가의 차이를 비교하며 이야기하고 있었다. 숙련가라는 낱말은 무언가를 기계적으로 하는 사람이란 느낌을 받게 한다. 그래서 그 말이 더욱 나를 돌아보게 했다. 그래 지금까지 난 초등학생을 가르치는 전문적인 교사라고 생각했지만 그래 어쩌면 숙련가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세월이 흐를수록 타성에 젖은 일상의 생활들이 스스로 나를 돌아볼 틈도 없이 나를 숙련가로 만들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 부끄러움과 함께 새로운 다짐도 생겼다. 진정한 전문가에 대한 새로운 정의에서 받은 깨달음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했다는 생각이 든다. 교사로서 내가 걷고 있는 길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고 나 자신이 기계적인 숙련공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느낄 때 마다 난 이 책을 다시 찾게 될 것 같다.
마지막으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단어 아니 늘 갈망하지만 마음뿐으로 머무는 단어 그래서 더 좋아하는 단어 실천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 어떤 인식과 깨달음이라도 실천이 수반되지 않으면 무의미하듯이 탐구한 지식을 생활속 에서 활용하고 내가 인지한 내 주변의 문제점을 발전적으로 변화시키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실천하는 사람만이 전문가라고 이 책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전문가는 완료형인줄 알았다. 대학의 졸업장이, 최종학교의 졸업장이 전문가를 결정해주는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전문가를 결정하는 것은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었다. 어제가 아닌 지금 바로 나의 모습이 전문가를 결정한다 생각하니 순간순간 자세를 가다듬게 된다. 히포크라테스가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훌륭한 의사는 아플 권리가 없다고. 그렇다면 이 책의 저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는듯하다. 배움을 게을리 하는 전문가는 전문가로서의 길을 스스로 벗어나고 있는 거라고.
요즘 읽고 있는 내 인생을 바꾼 한 권의 책이란 책에서 만난 보석같은 말이있다. 좋은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와의 차이점은 바로 포기하느냐와 그렇지 않은가하는 것이다. 라는 것이다. 이 문구가 주는 가르침처럼 생활 속에서 지치고 힘들지만 책 속에서의 배움을, 생활 속에서의 배움의 자세를 포기하지 않으며, 초등학교 교사로서 그 누구에게도 당당하게 “내가 전문가이다” 라고 말할 수 있는 삶의 자세를 유지해야겠다고 생각해본다.
어제도 그랬듯이 아마 잠시 후 에도 우리 아이들은 나를 좌절시킬지 모른다. 그러나 난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에게 삶의 지혜를, 삶의 규칙을 깨닫게 해주는 일뿐 아니라 그들에게 세상의 지식을 이해하며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는 방법을 교사인 내가 먼저 배우고 읽히는 일들을…. 이 길만이 무명교사이지만 고관대작보다 더 행복하게, 더 명예롭게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내가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잘 알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