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통영시민문화회관에서는 2012년12월20일부터 12월31일 까지 母川回歸-나전칠기, 고향통영을 품다, 라는 주제로 통영 출신 나전칠기 장인들의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가졌다. 나전칠기(螺鈿漆器)에서 '나' 는 장식에 쓰이는 나선형의 조개류를 가리키며 '전' 은 황금으로 장식했다는 말로 나전칠기란 나무와 가죽, 대나무 등에 옻칠을 하여 밑바탕을 처리한 위에, 영롱한 자개를 톱으로 자르고 줄로 썰어 상사칼로 끓어가면서 정교하게 문양을 붙인 후, 다시 옻칠을 하여 완성 시틴 제품을 말한다. 이번에 전시된 나전칠기 작품은 25가지 공정을 거친 작품으로 적게는 30일, 많게는 1년 이상 걸리는 고난이도 수공예품이다. 통영의 나전칠기는 삼도수군통제영이 통영에 설치된 1593년 부터 12공방에 상하칠방을 두어 나전칠기를 생산하면서 400여년 동안 크게 발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