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6 (화)

  • 흐림동두천 7.0℃
  • 흐림강릉 10.0℃
  • 흐림서울 8.0℃
  • 대전 9.4℃
  • 대구 10.7℃
  • 울산 13.1℃
  • 흐림광주 10.7℃
  • 부산 13.8℃
  • 흐림고창 10.3℃
  • 흐림제주 13.2℃
  • 맑음강화 8.3℃
  • 흐림보은 9.6℃
  • 흐림금산 10.2℃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3.3℃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문방구를 살려야 한다

문방구(文房具). 어학사전을 보니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는데 필요한 도구를 파는 가게라고 나온다. 필자가 어렸을 적 80년대에는 시골의 200여명이 조금 안 되는 작은 초등학교임에도 문방구가 2곳이 있었다. 윗집과 아랫집으로 불렸는데 그곳에는 없는 것이 없었다. 이른바 불량과자로 불리는 5원짜리 캐러멜부터 공책과 필기구 등을 잡다하게 갖추고 있었다. 명절 즈음해서는 장난감이나 화약총을 뽑는 뽑기도 나와서 용돈을 많이 갖다 바친 기억도 난다. 시골 동네에 구판장이 없어서 유일한 먹을거리와 장난감을 살 수 있는 추억의 문방구였다.




그런 학교 옆 문방구가 요즘 사라질 위기라고 한다. 얼마 전 모 신문에 나왔던 문방구 주인들의 인터뷰 하소연이 엄살은 아닌 듯 들린다. 외환위기 때도 이렇게 어렵지 않았는데, 가게를 내놔도 가져가겠다는 사람도 없는 현실이란다. 가게에는 팔다 남긴 물건만 먼지만 수북이 쌓인 채 있는 모습이 불황의 짙은 그늘을 보는 듯하다. 그나마 2000년대 초반만 해도 하루 15만 원 정도는 손에 쥐었으나 요즘은 5만 원 만지기도 어렵다고 한다. 이 정도면 임대료 내기도 버거운 정도다.

문방구 감소 추세는 통계청 통계로도 증명이 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1999년 2만6,986개이던 전국의 문구점 수는 2011년 1만5,750개로 42% 줄었다. 무슨 이유일까. 필자가 보건데
문방구류를 살 수 있는 구입처의 다양화와 저 출산으로 인한 초등학생 수의 격감이 주요인이라고 본다. 거기에다가 청렴행정의 강조로 경쟁 입찰 제도의 도입으로 인하여 도매업체를 통한 대량 물품 구입의 제도화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학습 준비물 지원이라는 제도도 한몫 한다. 학부모의 주머니를 가볍게 해주고 학습준비물 준비 과정을 돕기 위해서 교육청에서는 1인당 학습준비물 예산액을 2012학년도는 25,000 원, 올 2013학년도는 30,000 원을 확보하도록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점차 사라져가는 문방구를 되살리는 방법은 없을까?
우선 동네 문방구의 매출을 어느 정도 올려줄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현재와 같은 공개경쟁입찰을 통한 최저가 물품 구매 제도로는 영세한 문방구가 입찰에 참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돈이 외지로 블랙홀처럼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다. 그러기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지역제한 입찰을 하거나 소규모 지역 문방구들을 컨소시엄 형태로 엮어서 입찰에 참가할 경우 우선권을 주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치 전통시장이 대형유통업체에게 밀리자 여러 가지 지원 혜택을 주어서 상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연상하면 될 것이다.

다음으로 소액이더라도 문방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쿠폰을 지급하는 방안도 대안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큰 금액은 아니더라도 그 지역에서만 통용할 수 있고, 오직 문구류만 구입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해서 지역 문방구 매출을 늘리도록 하는 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사업은 어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고, 쿠폰이 다른 것으로 전용되지 않도록 엄격한 관리가 담보되어야 추진이 가능한 제도다.

박근혜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모토 중 하나로 민생 대통령을 말했다. 그리고 화합과 상생을 누차 강조하였다. 그러한 정책을 실현할 수 있는 작은 것 중 하나가 바로 지역의 소규모 문방구 살리기가 아닌가 한다. 정책과 지원을 통한 관심이 요구되는 대목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