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구름많음동두천 18.2℃
  • 구름조금강릉 14.4℃
  • 구름많음서울 20.4℃
  • 구름많음대전 20.1℃
  • 구름많음대구 15.3℃
  • 박무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19.0℃
  • 구름조금부산 13.2℃
  • 흐림고창 18.6℃
  • 흐림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17.1℃
  • 구름많음보은 15.5℃
  • 구름많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5.7℃
  • 구름많음경주시 11.9℃
  • 구름많음거제 12.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유아보육시설의 불법적 행위 이대로 좋은가?

유아보육시설의 불법적 행위 이대로 좋은가?
최근 신문기사에는 어린이집 아동 학대에 관한 내용으로 기사가 넘쳐나고 있다. 부산 수영구 모 공립어린이집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 있는 유아교육기관(보육시설)에서 아동들에 대한 학대를 일삼았다는 내용이다. 물론 일부라고 생각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교육이 나라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생각해보면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이러한 사실을 알고서도 교사들이 사실을 말할 수 없는 현실이 안타깝다.

아동학대 일삼는 일부 보육시설
아동학대에 대한 소식들은 차마 입에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열악한 상태로 지급되고 있다고 한다. 매일 급식 후 남은 밥이나 반찬을 그대로 다음날 다시 제공한다든지, 똑같은 국을 한달 내내 먹이는가 하면 일부 지역에서는 아동들을 나무·플라스틱 막대로 체벌하게 했고, 욕설을 하는 아동에게 생마늘과 청양 고추를 먹였다고 전해진다. 한창 성장해야 할 나이에 필요한 영양식단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생활지도면에서는 어린아이들에게 강압적인 방법으로만 지도하는 것이다. 이것은 원장등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꾀하고 어린이는 내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국가 보조금 부정 수급 사례도 많아
또 하나는 국가에서 지원되는 학생들에 대한 보육료를 부정한 방법으로 수급하기 위한 온갖 작태가 벌어지고 있다니 또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박근혜 정부 이후 0세~만5세까지는 보육료로 삼십구만사천원(394,000원)에서 이십이만원(220,000원)이 지급되고 있다. 문제가 되고있는 보육시설에서는 학부모와 짜고 보육료를 받기위하여 위장으로 등록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어린아이를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로인한 국가의 재정은 쓰여야 할 곳에 정확히 집행이 되지않고 부당한 방법으로 개인들의 사욕(私慾)을 채우고 있는 현실이다.

원장들이 교사들 블랙리스트 만들어 관리
그런데 위와 같은 사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최근에 일이다. 그 이유는 이렇다. 지자체별 보육시설 운영자 연합회(가칭)에 속한 원장선생님들이 교사들의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잘못을 지적하고 시정하려는 교사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것이다. 얼마전 방송한 모 방송사의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교육현장의 잘못을 고발하려는 선생님들에게 시설장이나 원장등이 교육시설 개선에 족쇄를 체우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블랙리스트에 올라가면 직장을 옮기기가 어렵다 보니 잘못된 일이 줄 알면서도 적극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행이 이번에 알려지게 된 것은 해당 어린이집에 과거에 근무했던 선생님의 증언이 잘못된 교육현장을 바로잡는 계기가 된 것이다.

해결책은 없는가? 교육은 백년지계(百年之計)라는 생각이 필요
먼저 유아교육기관(보육시설)의 설립자에 대한 철저한 사전 검증이 필요하다. 시설장으로서의 자격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해야 할 것이다. 교육은 백년뒤의 미래를 바라보는 것이고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분야이다. 교육자로서의 기초소양이 부족한 사람에게 시설의 설립인가를 준다면 위험 천만한 일이다. 둘째로는 시설에 대한 철저한 정보 공개가 있어야 한다. 학부모나 관련기관에서 언제든지 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 셋째로는 주기적인 점검과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행정기관의 정기적인 감사활동을 통하여 잘못된 점을 철저히 파악하여 다음에 똑같은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 감독을 철저히 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교사들에게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및 보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여 교사의 자질 및 소양을 함양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 관련된 구성원들간의 원만한 의사소통 구조가 필요하다. 교육을 이끌어가는 구성원은 정부, 학생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들을 대화를 통해서 의견을 나누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 간다면 어려운 문제도 해결 할 수 있다고 본다.

오늘도 교육현장에서 애쓰시는 관련자분들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