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가 들어서고 ‘창조경제’가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다. 창조경제란, 창의적 아이디어를 기존 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산업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성장전략을 말한다. 이러한 창조경제는 열린 사고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동안의 닫힌 사고로는 결코 창조경제를 열지 못한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였던 퇴계선생의 맏아들은 스물한 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결혼한 지 겨우 1년이 지난 때였다. 따라서 그의 아내는 하루아침에 청상과부가 되었다.
퇴계선생은 요절한 아들보다도 홀로 된 며느리가 늘 마음에 걸렸다. 남편도, 자식도 없는 젊은 며느리가 그 긴 세월을 어찌 견딜 것인가를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해졌다. 혹여라도 며느리에게 무슨 안 좋은 일이 생기지는 않을까 하여 한밤중에도 집안을 순찰하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퇴계 선생은 며느리 방에서 흘러나오는 소리에 그만 소스라치게 놀라고 만다. 퇴계선생은 한참을 망설이다가 뛰는 가슴을 쓸어내리며 며느리 방을 엿보았다. 한데 며느리의 방에선 기이한 광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며느리가 술상을 차려 놓고 짚으로 만든 선비 모양의 인형과 마주 앉아 마치 살아있는 사람과 정담을 나누듯 혼잣말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 인형 앞에 놓인 술잔에 술을 가득 따르고는 “여보, 한 잔 드세요.” 하며 술을 권하기도 하고 이런 저런 신세타령을 늘어놓다가 끝내 인형을 끌어안고 흐느껴 우는 것이었다.
그 광경을 목격하고 자신의 방으로 돌아온 퇴계 선생은 생각한다. ‘도대체 윤리란 무엇이고 도덕이란 무엇인가?’ 보이지도 않는 윤리와 도덕으로 젊은 며느리를 수절시킨다는 것은 너무나 가혹한 일이란 것을 깨달은 선생은 마침내 며느리를 자유롭게 해방시키기로 결심했다. 인간의 고통을 담보로 하는 윤리와 도덕은 형벌이란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이튿날 퇴계 선생은 사돈을 불러 거두절미 하고 딸을 데려가라고 통보했다. 친구이자 사돈관계였던 두 사람은 서로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하지만 딸을 데려가면 두 사람의 친구 관계도 끊길 것이므로 사돈은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러나 퇴계 선생은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끝내 며느리를 친정으로 돌려보냈다. 당연히 두 사람의 연도 끊어졌다.
몇 년의 세월이 흐른 뒤 퇴계 선생은 한양으로 올라가는 길에 어느 조용하고 평화로운 농촌마을을 지나가게 되었다. 마침 날이 저물어 어느 농가에서 묵어가게 되었다. 저녁상을 받고 보니 반찬 하나하나가 퇴계 선생 자신이 좋아하는 것인데다가 간까지 선생의 입맛에 딱 맞아 아주 맛있게 저녁을 먹었다. 퇴계 선생은 막연히 집주인이 자신과 입맛이 비슷한가 보다 생각했는데, 다음 날 아침상도 반찬이 약간 달라지긴 했어도 여전히 자신이 좋아하는 반찬에 간이 맞는 음식뿐이었다.
아침상을 물리고 길을 나서려는데 집주인이 버선 두 켤레를 들고 와서는 한양 가시는 길에 신으시라며 건네주었다. 버선을 무심코 신어보니 선생의 발에 꼭 맞는 것이었다. 그 때서야 퇴계 선생은 '아, 며느리가 이 집에 시집와서 사는 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집안을 자세히 둘러보니 비록 가난하지만 청결하고 단란해보였다. 그제야 며느리가 그리 고생은 하지 않겠구나. 평범하지만 행복하게 사는구나 싶어 마음이 놓였다. 며늘아기의 얼굴이라도 보고 싶었으나 행여 누가 될까봐 만나고 싶은 마음을 꾹 누르고 대문을 나서는데 그때 한 여인이 돌담에 숨어서 퇴계 선생을 배웅하며 감사의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열녀문이 가문의 영광이요 자랑이었던 꽉 닫힌 유교 사회에서 집안의 규범까지 깨뜨리며 자신의 앞길을 열어준 시아버지에 대한 감사의 눈물이었다.
윤리나 도덕, 혹은 세상의 체면을 의식하지 않고 타인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여겨 어루만져 준 퇴계 선생이야말로 진정한 열린 사고의 소유자였던 것이다.
가울이 깊어갈 수록 고독과 배고픔에 떨고 있는 내 이웃은 없는지 주변을 다시 한번 살펴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