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교육 좋은지 어떻게 알았지요?” 물으니 인터넷을 찾아보고 왔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학교 홈페이지를 보고 찾아왔다는 것이다. 나는 우리학교 홈페이지를 생각했다.
‘우리학교에서 알립니다.’ 이 작은 창문이 우리학교를 말해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누구든 자녀에게 전학문제가 생기면 신경을 곤두세운다. 멀리 뉴질랜드에서 환경을 바꿔 이곳으로 보내는 부모 마음이 우리학교 작은 홈페이지를 두드렸던 것이다. 학교에 대한 정보의 창문 홈페이지 관리, 잘 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요즘 학교 홈페이지 학교 사진, 정보공개 때문에 누구든지 로그인해야 볼 수 있는데 클릭하면 바로 볼 수 있도록 고쳤으면 생각했다.
작년에 그 아이는 김현미 선생님 반 아이로 지냈다. 그때도 지금처럼 학교 스포츠대회를 자주 했는데 피구와 축구, 그리고 몇 가지를 했다. 그 중에서 반대 항 피구는 학급의 명예가 걸린 경기여서 틈틈이 아이들은 연습을 한다. 나는 이 반 아이들 연습을 하는 모습을 몇 번 볼 수 있었다.
뉴질랜드에서 온 아이는 자기에게 온 공을 피하는데 급급했다. 혹시 공을 잡아도 던지는데 자신감이 없었다. 그래서 십중팔구는 상대방에게 공을 빼앗겼다. 며칠 후 나는 이 반 아이들의 피구 연습 장면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이번에도 반 아이들이 공을 잡아 이 아이에게 주는 것이었다. 그러면 뉴질랜드에서 온 아이는 공을 가지고 상대방을 향해 던진다. 그래도 공은 거의 빼앗기기만 했다. 던지는 힘이 약해서였다.
시합인데도 친구들은 공을 잡아 이 아이에게 다시 주고는 했다. 아이는 번번이 상대방에게 공을 빼앗기고는 했다. 이렇게 해서 아이 편은 지게 되었다. 친구들의 얼굴에는 미워하는 모습 하나 없이 즐겁게 경기를 마치고 교실로 들어갔다. 나는 한동안 가슴 뿌듯한 마음으로 지켜보다가 자리를 떴다.
며칠 후 이 반 아이들의 피구 연습 장면을 다시 볼 수 있었다. 이번에도 반 아이들은 공을 잡아 역시 이 아이에게 주고는 했다. 역시 시합은 졌다. 시간이 지나 이 아이가 멋지게 공을 던져 상대팀을 쓰러뜨리고 시합에서 이겼는지 확인해보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준 피구 경기, 또 자신감 없는 친구를 일으켜 세운 피구공은 나의 눈앞에 어른거려 나는 늘 이 아이의 소식에 귀를 기울였다.
그해 가을 이 아이는 우리학교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전교생 앞에 멋지게 연주를 하였다. 얼마 후 우리학교 담임선생님으로부터 이 아이 이야기를 들었다.
“그 아이는 말이지요. 처음에는 많이 위축되어 있었어요. 우리말도 어눌했고, 외톨이에다 친구들과 눈맞춤도 못했어요. 이제는 적극적이 되었어요. 우리말도 잘 하고요.”
‘뉴질랜드라는 나라는 그랬을 거야. 사람을 만나는 일조차 어려운 외딴 곳이 너무 많잖아. 문화도 그랬을 거야.’
해가 바꿔 아침 방송조회 시간 나는 이 아이가 타온 상을 주었다. 경기도 학생 과학 그리기 대회 용인시 대표로 뽑힌 것이다.
"축하해. 그런데 너 뉴질랜드에는 언제가니?" "이제는 안가요." "왜?" "우리학교가 좋아요. 엄마에게 여기서 배울 거라고 했어요."
그 아이 얼굴에는 자신감과 미소가 있었다. 이제는 우리학교 토종 학생이 된 것이다. 그 아이는 용인시를 대표하여 나가 경기도 대회에서도 최우수상을 받았다. 욕설, 왕따 없는 현암초등학교 천사들 너희들이 나에게 가르쳐준 것은 너무 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