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5 (토)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혹시 내 아이, 학교 폭력 희생자가 아닌가?

오래 전 교감으로 근무했던 시절, 어느 날 학교에 아버지가 찾아왔다. 왕따라고 항의하는 전형적인 특성을 가진 아버지였다.

아버지는 나에게 자녀가 당한 학교폭력을 가만두지 않겠다고 했다. 아버지는 괴롭혔다고 생각하는 아이를 다른 학교에 전학시키라고 다그쳤다. 그렇지 않으면 언론에 터뜨리겠다고 협박했다.

담임선생님을 불러 알아보니 아이는 늘 짝과 힘들어했다. 짝과 만났다면 먼저 싸운다. 담임선생님이 짝 바꾸기를 수번해도 힘들어했다고 했다.

이런 경우에 학교는 약자가 된다. 고객만족 교육을 외쳤던 당시는 더욱 그랬다. 신념 없는 교장, 소신 없는 교감은 사실의 확인보다는 정의와 무관한 타협을 했다. 학교는 교육청에서 시킨 대로 고객만족을 채워주지 않으면 비난의 대상이 되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교육청에서도 민원이 평가의 대상이니 고집부리지 말고 학부모 고객의 기분만 맞추라고 한다. 언론사 기자들까지 끼어들면 스토리를 만들 테니 당할 수밖에 없다.

이 아이 문제는 이혼이라는 문제, 그리고 새 아버지와 같이 사는 데 따른 부적응이었다. 새 아버지는 새 부인의 아이가 받는 어려움을 해결해줌으로써 이겼다는 승리감을 자랑하고 싶어서였을 것이다. 며칠 동안 줄다리기 끝에 아이의 새 아버지는 학교로 나오지 않았다.

아이를 키우다보면 어떻게 할지 몰라 갈등을 느낄 때가 많다. 특히 또래 아이들 관계에서 그렇다. 생각 없이 요구를 들어주지만 들어주는 게 맞는지 고민할 때가 생긴다. 예를 들면 친한 친구가 다른 아이 흉을 보며 놀지 말자고 한다. 자녀는 고민하여 엄마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엄마, 그 아이와 놀지 말아야 하지?”

엄마는 아이에게 조언을 한다. 하지만 무심코 던진 말이 옳은지 엄마도 모를 때가 많다. 부모는 아이의 조언자로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가장 나쁜 부모는 나쁜 관계로 되었을 때 해결자로 나서는 경우다. 아이들 간에 있을 수 있는 사소한 일을 학교 폭력이라는 이름으로 서슬이 퍼래서 선생님을 윽박질러 짝을 바꿔달라거나 다른 반으로 보내달라고 하는 부모들도 있다. 때로는 교실로 들어가서 괴롭힌 아이에게 내 아이가 받은 고통을 너도 받아봐야 한다고 직접 가해하려고 하는 부모도 있다. 학교라는 또래 집단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를 부모가 조절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묻지 마 학교 폭력이다.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문제만 해결해주려고 한다. 그러다가 어른이 되면 어떻게 세상을 살아갈까?

부모는 아이의 삶을 대신해줄 수 없다. 부모가 직접 나서서 문제 해결을 해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문제해결의 주인은 아이이기 때문이다.

좋은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능력도 아이가 배우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치로운지, 무엇이 옳은지 판단하는 능력을 도와주어야 한다.

학교생활 적응에 문제가 많아 충돌이 많은 자녀는 부모나 아이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문제 해결도 자녀가 하도록 해야 한다. 적응에 곤란을 겪고 또래 사이에서 다툼을 많이 일으킬수록 부모가 간섭을 많이 하는 경우이다.

교육은 옳고 그름을 가르쳐주는 것이어야 한다. 부모는 옳고 그름에 기준을 두어야 한다. 학교는 더욱 옳고 그름을 가르쳐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이들의 행동을 단순히 가해와 피해라는 공식으로 혹은 고객 만족을 위한 교육으로 옳고 그름을 벗어나면 교육이 안 된다는 뜻이다.

그런데 정치인들은 고객만족 서비스 교육만 강조하여 왔다. 교육부도 그랬다. 학교를 도구로 삼은 것이다. 학교폭력 시작은 가정이다.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가정에서 학대로 숨진 아이는 97명, 그중 84%는 부모라는 보도기사를 보아도 알 수 있다. 이혼율 33%도 그렇다. 가정이 건강한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복지라는 이름으로 학교를 탁아소로 만드는 것은 부모로서의 교육을 방임하게 만드는 일이다. 학교폭력 가해 행동에 부모의 맞벌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럼에도 정부(여성부)는 맞벌이 가정 여성일자리 늘리기에 안간 힘을 쓰고 있다. 하루 한 끼 식사도 나누지 못하는 가족, 부모의 건강한 가정만들기와 건강한 교육관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부모의 교육관은 가정에서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에게도 해당된다. 우리 청소년 문제는 오랫동안 점수 올리기와 등수 높이기 교육 때문에 옳고 그름을 가르쳐주지 않은데서 생겨났다.

아이들에게 가치관을 길러주자. 학교와 어머니들이 나서자. 그러자면 무엇보다 건강한 가정이 늘어나야 한다. 아이들에게 무엇이 옳은지, 무엇이 그른지 고민하는 습관을 들이자. 그것이 가치관 교육이다. 학교 폭력, 가치관 교육 안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