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평가 방식이 바뀐다.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한다. 이를 성취평가제라고 하는데 성취기준을 미리 밝히고 일정 기준을 성취한 학생들에게 A부터 E까지의 등급을 부여하는 방식이다. 이는 2012년 중학교와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시작해 2014년에 일반계 고등학교까지 확대되는 정책이다.
성취평가제는 줄 세우기 등급제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훌륭한 취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학교에서는 반기지 않는 눈치다. 가장 큰 이유는 교육 정책이 자주 바뀌는 것에 대한 반감 때문이다. 대학입시와 관련해서는 자주 바뀐다는 인식도 팽배하다.
이런 의식은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개인은 물론 국가도 적응하기가 힘들다. 그렇다면 거기에 맞게 교육이 변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교육과정은 근본적인 철학적 배경 위에 그 사회의 이념과 가치 지향에 맞아야 한다. 동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정신 위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급변하는 세상에 맞는 인재를 키우기 위해 교육은 변화를 거듭해야 한다. 변화를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성취평가제 방식의 도입도 같은 맥락이다. 제7차 교육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며 살아갈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그리고 이 교육과정은 과거와 다르게 급변하는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수시 개정 방식을 취했다. 그래서 나온 것이 2009개정 교육과정이다. 2009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창의성과 인성 교육이다. 등급제는 학생들이 미세한 점수를 두고 경쟁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부담을 느낀다. 석차에 대한 무게감에 짓눌려 창의적인 사고 활동이 어렵다. 게다가 동료와 등수로 경쟁하는 틀에 갇혀 있다 보니 협동 학습을 통한 나눔과 배려하는 마음도 생성되지 않는다. 성취평가제는 학생들이 등급변별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학업 성취수준에 관심을 집중할 수 있어 학습 부담이 준다. 서열 중심의 평가는 지나친 경쟁으로 인해 삭막한 교실 문화가 만들어지지만, 성취평가제는 존중, 배려, 협력 중심의 교실 문화가 꽃핀다.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적성과 수준, 다양한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등급제 평가에서는 이런 현실을 반영하기 어렵다. 상대평가 방식 때문에 소수 인원이 신청하면 등급이 불리해지기 때문에 진로 희망에 맞는 과목 선택을 꺼린다. 하지만 성취평가제에서는 이런 부담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는 문화가 확대된다.
성취평가제는 10년을 내다보는 정책이다. 이미 나타나는 것처럼 고등학교 졸업자 수가 줄어들고 있다. 정부 발표에 의하면 대학 입학 정원이 2018년부터 고교 졸업생 수를 추월한다. 2020년에는 학급당 학생수가 23명, 교원 1인당 학생수가 13.7명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모든 학생의 적성과 소질 계발 교육 체제를 준비해야 한다.
성취평가제의 의미는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그리고 교육평가의 유기적 연계 체제를 구축한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이다. 과거에 우리는 수업과 평가가 괴리되어 온 측면이 있다. 이번 평가 방식은 수업 계획 단계부터 성취기준 즉 무엇을 학습할 것인가를 설계하고 그에 따라 도달 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개별 학생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향상이 가능하다. 모든 정책은 양면성을 띠고 있다. 마찬가지로 금번 성취평가제도 이익을 보는 집단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불리한 경우도 있다. 그 예로 특목고와 일반고에서 어디가 유리한가를 따지고, 시행하기도 전에 성적 부풀리기 우려가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이러한 문제점이 미래지향적인 평가 방법의 근간을 흔들지는 못한다. 모든 정책은 공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듯이, 성취평가제는 당면한 현재 문제를 해결하고, 미래의 인재를 키우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평가 방식의 변화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그렇다면 그 이유를 이해하고, 평가 방식의 변화가 가지는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 현명한 대처 방법이다.
교사의 전문성을 여러 측면에서 이야기 한다. 그중에 최근에는 교육과정 전문가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이번 평가 방식은 교사가 성취수준을 개발하는 등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에 주체가 된다. 그리고 교사는 단순한 행정의 소비자가 아니다. 교육행정 전문가로 정책의 철학적 배경을 이해하고 행정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문제는 2014년 전면 실시되는 성취평가를 언제 대입에 반영할지 확정안이 없다는 것이다. 고등학교는 대학교 입시와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시일 내에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는 안이 나와야 한다. 교육 당국은 2019년도 반영 여부를 2015년에 발표한다고 했는데, 가능한 한 조기에 확정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것만이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정책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