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해가 마무리되는 세모(歲暮)가 되면 사람들의 발걸음이 점점 빨라지기 시작한다. 지난해 못 다한 일을 다 하려는 조급한 마음에서 일까?
자동차의 물결도 도로에 넘실거린다. 터미널에도 인파가 북적이고 선물가게도 사람들이 늘어난다. 한해를 보내며 아쉬움을 달래기 위함인지 식당가와 노래방에도 인파가 넘쳐난다. 송년회라는 이름으로 모임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함박눈이라도 펑펑 내리면 연인이나 가족끼리 삼삼오오 팔짱을 끼고 거리를 누비는 모습이 참으로 정겹다. 산타 복장을 하고 흔드는 자선냄비의 종소리가 불우한 이웃의 마음을 녹여주고 있는 한해의 끝자락이다.
예전에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한다는 뜻으로 송구영신(送舊迎新), 또는 근하신년(謹賀新年)이란 문구가 들어간 연하장을 지인들에게 보내며 안부를 전하는 아름다운 풍습이 전해오고 있다.
정성들여 만든 연하장에 육필로 쓴 덕담을 읽고 존경과 사랑의 정을 주고받으며 오래도록 간직하였다. 그러나 문명의 이기(利器)인 정보통신이 발달하면서 요즘은 간편하게 스마트 폰으로 연말연시 인사를 주고받는 편리한 시대에 살고 있다.
원래 송구영신(送舊迎新)이란 말은 관가에서 구관(舊官)을 보내고 신관(新官)을 맞이했던 송고영신(送故迎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은 중국 당나라 말에서 송나라 초까지 살았던 학자이자 시인인 서현(徐鉉)의 시구(詩句)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寒燈耿耿漏遲遲(한등경경루지지)-"찬 겨울밤 등불은 깜빡이고, 물시계의 시간은 더디 가건만, 送舊迎新了不欺(송구영신료불기)-옛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을 맞는 일은 속임(어김)이 없구나." 이 시구는 세밑을 아주 적절하게 표현한 시라고 생각한다.
송(送)자는 회의문자로 착(辶 : 쉬엄쉬엄 가다)와 关(웃을 소)가 합하여 웃으면서 떠나보낸다는 뜻을 담고 있다. 그래서 가는 해에 있었던 모든 일과 이웃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웃으며 한해를 보내라는 뜻이다.
맞이할 영(迎)자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착(辶=辵쉬엄쉬엄 가다)와 음을 나타내는 ‘우러러 본다’는 뜻을 가진 글자 卬(앙→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오는 사람을 우러러 맞이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닥아 오는 새해(甲午年)는 꿈과 희망을 품고 경건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맞이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연말 민속풍습은 수세(守歲)라 하여 섣달 그믐날이면 방, 마루, 부엌, 마구간, 측간까지 온 집안에 불을 켜놓고 조상신의 하강을 경건하게 기다리는 성스러운 밤이었다. 부엌신인 조상신은 일 년 내 내 그 집안사람들의 선악을 낱낱이 지켜보았다가 섣달 스무 나흗날 승천하여 옥황상제에게 고(告)하고 이날 밤에 하강하는 것으로 알았던 것이다. 따라서 연말 1주일은 일 년 동안의 처신에 대한 심판을 기다렸던 만큼 경건함을 지켰으며, 흥청거림은 꿈에도 생각지 못할 일 이었다고 한다. 오늘날 한해를 보내는 변질된 세시풍습에 경종을 울려주고 있다.
한해가 지나간다는 시간적인 의미는 천체의 운행법칙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지구의 공전(空轉)주기에 의해 제자리에 돌아왔다는 의미이다. 해가 바뀌는 영시(零時)에 제야(除夜)의 종을 치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고 있다. 우주천체의 법칙은 수십억 년을 지나도 변함이 없이 일정하게 운행되면서 밤과 낮을 만들고 춘하추동계절의 변화를 일으키며 인류가 발전하고 진화해오고 있는 것이다.
지구촌의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정세가 예측하기 힘든 불안한 상태에다 연말이 되면 사회전반의 분위기가 들뜨기 마련이다. 송구영신을 잘하려면 무엇보다도 마음을 한곳으로 모아 지난 한해를 되돌아보며 물질을 쫒아 지나친 경쟁을 하며 정신없이 달려왔다면 차분한 마음으로 자아의 존재감을 찾아 생기(生氣)를 모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닥아 오는 새해에는 마음을 챙기고 주변을 돌아보며 더불어 살아가는 따뜻한 마음으로 각자의 소원을 가슴에 새기는 소중한 시간을 가져야 한다. 갑오년 새해는 모든 가정에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으로 밝은 빛이 함께하길 소망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