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5 (토)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중산층의 기준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이 바뀐다고 한다. 정부가 나서서 바꾸겠다는 것이다. 중산층이라는 것은 원래 재산을 기준으로 하여 정한 것이다. 그러니까 많이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의 중간층에 속하는 사람을 칭하는 것이다. 중산층이 많으면 사회가 건강해지고 국민 통합이 잘 되는 사회로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을 1인당 국민소득을 24,000불을 기준으로 하여 환산한다면 3인 가족의 경우 72,000불 (우리 돈 750만 원 정도) 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교원을 비롯한 대다수 국민은 괴리감을 느낄 것이다.

보도된 우리나라 중산층의 기준은 월평균 500만 원 이상 소득, 부채 없는 30평대 아파트, 2000㏄급 이상 중형차를 가진 경우를 중산층이라고 한다. 물론 여기에 억대 현금과 매년 1∼2차례 해외여행을 다닐 수 있는 여유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현대경제연구원이 2012년 7∼8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4인 가족 기준 월 가구소득이 494만 6000원을 넘어야 중산층이라는 답변이 나왔다. 국민일보와 글로벌리서치의 지난해 8월 여론조사에서는 연소득 6231만원은 돼야 중산층으로 볼 수 있다는 응답이 나왔다. 월평균 소득 대략 500만 원 정도 돼야 중산층이 된다는 것이다.

이상의 보도를 살펴보면 국민소득이라는 것은 믿을 만한 것이 못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국민소득이란 가게와 기업, 정부의 경제활동을 총망라한 것이다. 우리나라 기업이 아무리 높은 이익을 실현했다하더라도 대표 기업은 외국인 지분은 50%를 오르내린다. 또한 소득은 가진 자에게 유리하게 분배되는 것이 자본주의 본질이다. 거기다가 가게와 기업, 정부의 부채가 소득 증가의 발목을 잡는다. 이러한 것을 감안하면 국민소득과 중산층이 생각하는 소득 괴리의 답이 나올 것이다.

최근 중산층을 보는 기준이 소득 기준만을 삼지 않고 있다. 선진국의 중산층 기준은 소득과 재산보다 교양과 사회적 책임의식을 중시한다. 프랑스의 경우 퐁피두 전 대통령은 외국어를 구사하고 악기를 다룰 줄 아는 것을 중산층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손님이 왔을 때 집안에서 접대하는 요리를 만들 수 있는 능력,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 등이 중산층의 필수요건이라는 것이다.

영국에서는 페어플레이 정신, 불의·불평·불법에 대응할 것,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고 약자를 두둔할 것 등이 중산층 기준에 포함된다. BBC방송은 인맥 등의 사회적 자본, 문화적 자본을 기준에 포함시켜 중산층을 구분하기도 했다. 미국의 경우,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것,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것 등이 중산층의 기준에 포함된다.

중산층의 기준이 소득을 중심으로 한 경제계급에서 사회계급으로 바꾸고 있다. 경제적 안정뿐 아니라 민주시민으로서의 책임감,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을 일상에서 실천하는지가 새로운 중산층 기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중산층이라는 이름, 남의 이야기가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로 들려야 한다. 우리나라 국민들을 패배자로 만들고 행복하지 않는 것은 중산층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 중산층에 대한 새로운 인식, 그것은 가치관을 바꾸는 일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행복과 성공의 기준이 사회적 신분 상승과 부를 축척하는 기준에서 바꿔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적인 구호가 아닌 사회운동으로 확산시켜 야 한다. 새로운 중산층의 기준은 계층이동의 장벽을 해소하고 사회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산층 기준의 변화에는 교육이 앞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 교육의 현주소를 다시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