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맑음동두천 -2.1℃
  • 흐림강릉 4.2℃
  • 맑음서울 1.6℃
  • 구름많음대전 0.1℃
  • 구름조금대구 0.7℃
  • 구름많음울산 5.6℃
  • 구름많음광주 2.9℃
  • 구름많음부산 8.8℃
  • 구름많음고창 -0.5℃
  • 구름많음제주 11.0℃
  • 구름조금강화 2.4℃
  • 구름많음보은 -2.4℃
  • 구름많음금산 -2.3℃
  • 구름많음강진군 2.9℃
  • 구름많음경주시 0.7℃
  • 구름많음거제 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청명(淸明)과 한식(寒食)의 재조명

이번 주말은 5일이 청명이자 식목일이고, 6일이 한식이라 나무를 심고 조상의 묘를 찾는 날인데다가 휴일과 겹쳐서 교통이 많이 막힐 것으로 예상된다. 개나리 진달래 벚꽃이 만개(滿開)하여 봄나들이를 나서는 상춘객까지 겹치면 예정 시간에 이동하기가 어려울 것 같다. 천지간에 양기가 왕성해지는 때라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는 속담이 말해주듯이 나무심기 좋은 시기인데다가 식목일과 겹치는 날이다. 청명(淸明)은 글자를 풀이하면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옛날 풍속에는 봄밭갈이, 가래질하기, 날씨 점을 치는 날로 농사일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청명은 음력으로는 3월,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에 드는데 태양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寒食)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일 수 있으며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다. 한글로 ‘한식’이라고 쓰면 한자를 모르는 세대는 한국음식(韓食)으로 생각하기 쉽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청명조(淸明條)의 기록에는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면, 임금은 이 불을 정승과 판서를 비롯한 문무백관 그리고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를 ‘사화(賜火)’라 하였다. 수령들은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고 한다.

청명이나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그 해 농사가 잘 되고 좋지 않으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하여 농사 점(占)을 쳤다고 한다. 바닷가에서는 청명과 한식에 날씨가 좋으면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하여 날씨가 좋기를 기대하였다. 반면에 바람이 불면 좋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이날 성묘(省墓)를 가기도 한다. 한식은 지상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을 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는다. 이날은 손이 없기 때문에 묏자리 고치기, 비석 세우기, 집 고치기 등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하였다.

진달래 피니 볍씨를 물에 담그고 논농사를 시작하는 청명은 입춘에 돋아나기 시작한 봄나물이 쇠고 진달래꽃이 피기 시작하는 때다. 한낮엔 여름 같다가 새벽엔 서리가 오니 이 흐름에 맞추지 않으면 몸에 이상이 오기 쉽고 때 이르게 나온 싹들은 꼬부라지는 찬 기운이 마지막 힘을 뻗히는 때이다. 마당에는 살구, 자두, 앵두꽃이 피고 울타리에 개나리 산에 진달래 봄꽃이 한 번에 피어난다. 양지꽃 민들레꽃 땅에 엎드려 피어나고 갖가지 제비꽃이 곳곳에 피어 있다. 논둑에는 할미꽃이 피고 알에서 나온 병아리들이 햇살 좋은 마당을 돌아다니는 계절이다. 나비가 날아다니고 아이들은 온 들을 쏘다닌다. 아이들이 꽃 소식 전하는 소리를 들으며 어른들은 일손을 놀린다. 아이들 자라는 기운이 봄과 하나가 되는 때이다.

청명일(淸明日)부터 날이 풀리기 시작해 화창해지기 때문에 청명이라고 한다. 예로부터 청명에서 곡우 이전까지의 15일 동안을 다시 3후(三候)로 나누어 1후에는 오동나무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2후에는 들쥐 대신 종다리가 나타나며, 3후에 비로소 무지개가 보인다고 하였다. 이 무렵을 전후해 찹쌀로 빚은 술을 청명주(淸明酒)라 하여 담근 지 7일 뒤,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셨다. 이때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하여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그기도 한다. 청명과 관련된 속담에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가 있는데, 청명과 한식이 겹치거나 하루 차이밖에 나지 않아 별 차이가 없음을 나타낼 때 쓴다.

한식을 다른 말로 고초일(苦草日), 금연일(禁煙日), 숙식(熟食), 냉절(冷節)이라고 한다. 관련풍속으로는 성묘(省墓) 산신제, 개사초(改莎草:잔디를 새로 입힘), 제기차기, 그네타기, 갈고리던지기 등을 하였다. 한식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중요한 명절로 여겨졌지만, 오늘날에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되어 특별한 행사 없이 지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불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은 거의 지켜지지 않는다. 민간에서는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절사(節祀)라 하여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를 했는데, 그 중에서도 한식과 추석이 가장 성하여 교외(郊外)로 향하는 길에 인적이 끊어지지 않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