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맑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5.2℃
  • 맑음서울 2.6℃
  • 맑음대전 0.6℃
  • 맑음대구 1.8℃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4.4℃
  • 맑음부산 7.8℃
  • 맑음고창 -0.2℃
  • 구름조금제주 11.1℃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1.9℃
  • 맑음금산 -1.2℃
  • 구름조금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1.9℃
  • 맑음거제 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각자도는 팽이가 되자

생각하면 서러운 것인데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공통된 그 무엇을 위하여 울어서는 아니 된다는 듯이
서서 돌고 있는 것인가
팽이가 돈다
팽이가 돈다
- 달나라의 장난/김수영-
 
김수영이 위대한 이유는 시인의 예민한 감수성 외에도 치열한 자기성찰과 반성의 시간을 보낸 시인이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김수영의 시는 시인의 예민한 감수성에 지적인 성찰이 더해져서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만든다. 김수영의 시를 접하면서 지금까지 ‘시’ 대해 내가 가지고 있던 프레임을 어느정도 수정하고 확장해야 할 것 같은 생각이 들 정도로 말이다.

김수영은 천상 시인이다. 돌아가는 팽이를 보고 자기이해, 나아가 인간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 어려운 일을 김수영은 해냈다. 삶은 역동적으로 돌아가는 팽이다. 온갖 장애물에 부딪칠 때 마다 스스로 다잡지 않으면 팽이는 돌기를 멈추고 속절없이 땅바닥에 내팽개쳐저버릴 것이다. 돌기를 멈춘 팽이는 더 이상 팽이가 아니다. 팽이의 존재이유는 도는 데 있기 때문이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자신의 힘으로 돌지 못한다면 살아 있다고 할 수 없다. 멈추어 서 있거나 남에게 의탁해서 돌고 있는 사람은 숨은 쉬고 있어도 진정한 의미의 삶을 살고 있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의 통찰은 돌고 있는 팽이가 서로 붙으면 안 된다는 사실로 확장된다. 돌고 있는 팽이는 모두 자기만의 중심을 가지고 돈다. 그런데 팽이가 부딪쳤다는 사실은 어느 하나가 다른 팽이의 회전 스타일을 수용했다는 의미이고 바로 그 순간 허망하게도 팽이는 쓰러지고 만다. 자신만의 중심을 잃어버린 인간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오직 철저하게 자신을 채찍질하고 성찰하지 않은 채 타인에 의지해서 살다보면 쓰러지는 팽이의 신세를 면치 못하게 될 것이다. 팽이가 하나의 중심을 향해서 돌다보면 서로 부딪쳐서 돌기를 멈출 수 밖에 없지만 각자가 자신의 중심을 가지고 돌게 되면 팽이의 수명을 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잠시 읽던 책을 덮고 조용히 생각하게 만드는 구절이다.

우리나라 현대사는 갖가지 고난과 비극으로 점철되어 있는 고난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60년대 경제개발 시대를 거치면서 개인의 자유는 철저히 무시된 채 경제성장이라는 단일한 목표점을 향해 우리 모두는 돌고 돌았다. 그 결과 눈부신 경제성장이라는 이면에 가려져 철저히 소외되었던 여러 가지 사회 문제들이 하나 둘씩 불거지기 시작했다.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다. 그래서일까? 내가 자유롭다고 느끼면 거의 무한하게 무언가를 할 수 있지만 내 의지에 반해서 어떤 일을 하게끔 강요당한다는 느낌이 들면 그 일을 하고 싶지 않을 때가 많다. 자유로움 속에서 창의성이 잉태되고 각자의 창의성이 모여 사회는 다양한 삶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이다. 사회성원들의 창의성을 무시하고 본성을 억압한 채 한 가지 가치만을 강요할 때 우리사회는 부자유한 사회가 될 것이다. 요즘은 신문이나 뉴스를 보기가 두려울 정도로 갖가지 사회문제들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지고 있다.

교육계에 몸담고 있으면서 교육현장에서 아이들을 만날때면 우리의 암울한 미래를 보는 것만 같아 마음이 무거울 때가 많다. 아이들이 곧 우리의 미래이고 아이들이 행복해야 우리의 미래도 밝다. 하지만 성적이라는 단일척도를 향해 외롭고 치열하게 돌고 있는 아이들에게서 희망을 발견하기란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일이다. 만약 30명의 아이가 있다면 30개의 고유의 기질과 성격이 있을 것이고 30개의 흥미와 적성이 있을 것이다. 또 30개의 가치관과 삶의 프레임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교육현실은 이런 모든 것을 깡그리 부정한다. 30명의 아이들은 각자의 본성대로 고유의 궤도를 따라 자유롭게 도는 팽이가 되지 못한 채 서로 부딪치고 상처 받으면서 힘겹게 돌고 있는 것이다.

시인 김수영의 안목은 이미 불행한 오늘을 예견하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시인이 그렇게도 처절하게 자유를 외치고 자유가 아닌 일체를 부정하려 했던 것도 인간의 본성이 타자 혹은 권력에 의해 억압받는 것은 부당하다고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아이들의 자유롭고 창의적인 본성을 억압한 채 성적과 경쟁이라는 단일점을 향한 가혹한 팽이질을 멈추지 않는 한 우리사회가 가야 할 길은 멀고도 험난할 뿐이다.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우리사회의 경직성은 모든 사회구성원들을 한 줄로만 세운다. 서로 다른 가치관이 공존하는 가운데 다양한 줄서기가 가능할 때 개인의 고유한 가치는 인정받을 수 있고 빛을 발할 것이다. 김수영의 지적대로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 공통된 그 무엇을 위하여 울어서는 아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스스로 돌지 못하고 여기 저기에 의지해서 가까스로 돌고 있는 내가 팽이를 보면서 문득 설움을 삼킨 건 애써 외면했던 내 안의 억압된 자유의 몸짓 때문인가.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