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질병 이름은 아니지만 요즘 유행하는 '디지털 치매'라는 말이 있다. 이 용어의 뜻은 '휴대전화 등 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기억력과 계산능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그렇다면 나도 디지털 치매인가? 경험을 통해 진단해 보고자 한다.
우선 외우고 있는 전화번호가 몇 개 안 된다. 우리 집, 나, 아내, 직장 전화번호가 고작이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스마트폰에 연락처가 저장되어 있어 전화번호를 구태여 외울 필요가 없다. 아들, 딸 전화번호도 단축번호 내지는 바로 걸기로 되어 있어 전화 걸기가 편하다. 자연히 두뇌를 사용하지 않는다.
얼마 전 차량 내비게이션이 고장이 났다.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부터 불안 증세가 나타났다. 혹시 출장 중 처음 가는 곳을 어떻게 찾아갈까 걱정이 생기는 것. 내비게이션이 없을 때는 지도를 보았다. 그리고 찾아가는 방법을 연구했다. 교통표지판을 보면서 주요 지형지물과 방위를 생각하여 찾았다. 이게 모두 머리를 쓰는 행위다.
몇 년 전 마을 노래자랑에 출연한 일이 있다. 노사연의 '사랑'을 부르는데 노래방 기기 자막에 익숙하여 자막이 없으면 가사가 생각나지 않는 것이다. 음악 교사에게 물어보았다. 노래하면서 다음 가사를 생각하란다. 그러다 보니 노래가 제대로 되질 않는다. 노래 가사를 외우기 위해 나름대로 머리를 썼다. 빈 종이에 노래 가사를 외워서 쓰는 것. 그렇게 세 번 하니까 가사가 완전히 내 것이 됐다. 자막 보고 부르기가 습관화되어 자막이 없으면 가사가 통 생각이 나지 않는다. 우리의 뇌, 자막에 글자가 나오므로 외울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가끔 각종 심사를 할 적이 있다. 서류심사도 있고 면접심사도 있다. 평가 기준표에 점수를 넣고 합계를 내는 데 언제부터인가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100점 만점이라 충분히 암산으로 할 수 있는데도 머리를 쓰지 않는 것이다. 이럴 때는 일부러라도 계산기를 멀리해야 한다.
우리 집 아파트에서 보이는 일월 저수지, 빠른 걸음으로 조깅하는 사람들 손에 하나씩 들려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폰이다. 운동할 때는 운동에 전념해야 하는데 전화기를 들고 있다. 스마트폰을 소지하지 않으면 불안한 것, 디지털 치매 초기 증상이다.
같은 사무실에 근무하는 동료들, 점심 식사 할 때도 수시로 스마트폰을 본다. 긴급 연락을 기다리는 줄은 몰라도 스마트폰과 함께하는 것이 습관화되어 있다. 취침 시 머리맡에 스마트폰을 놓고 자는 사람도 보았다. 모두 다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행위다. 하루 일정 시간을 정해 스마트 기기를 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메모를 생활화하는 것이 디지털 디톡스(해독)이다. 필자의 경우, 수첩 뒷면을 활용하여 주요사항을 기록해 놓았다. 집과 사무실 우편번호와 주소, 가족 연락처, 주민등록번호를 적어 놓았다. 수첩에는 일일 주요사항이 메모 되어 있다. 집에서는 탁상달력을 활용하여 주요 일정과 금전출납을 기록한다.
2012년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스마트폰 중독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용자 비중은 8.4%다. 인터넷 중독률 7.7%보다 높다. 스마트폰을 통한 메신저·게임·인터넷 사용 비율(41%)이 통화한 비율(34%)을 앞질렀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지금 우리는 디지털 치매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하루 일정 시간을 정해 디지털 기기를 멀리하고 두뇌를 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머리의 휴식과 육체적 운동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