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인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대학 순위를 보고, “어머, 한국에는 대학 순위가 있어?”하고 놀랐다는 이야기가 있다. 프랑스의 교육제도는 어떻길래 이 사람은 한국의 교육제도를 듣고 기겁한 것일까?
프랑스 학생들은 시험을 보고 그들의 등수를 모른다. 시험을 보면 프랑스 학생들은 그들의 목표 대비 성취도가 표시된 성적표를 받게 된다.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을 통한 성장이 아닌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는 경쟁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는 상반되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프랑스 학생들이 제대로 된 시험을 보는 것은 딱 한 번이다. ‘바칼로레아’라는 대학 입학시험으로 우리나라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유사한 것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바칼로레아’ 시험은 학생들을 줄 세우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일정 점수만 넘으면 모두가 원하는 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 일정 점수를 받지 못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별 수업이 진행되어 그들의 대학 입학을 적극적으로 국가에서 돕는데, 이것이 프랑스 교육에서 ‘차별’이라고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바칼로레아 시험이 주관식이라는 것이다. 한 논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쓰는 것인데, 이 시험이 끝나면 온 국민이 이 문제에 관심을 두고 같이 토론한다. 결국, 프랑스가 강조하는 참된 교육의 목적은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이다.
프랑스는 학생들끼리 경쟁을 하지도, 대입이 우리나라처럼 어려운 것이 아닌데도 OECD 국가를 통틀어 시행한 시험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는 경쟁을 통한 교육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믿어 온 우리나라에 생각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경쟁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교육 때문에 많은 학생이 스트레스를 받고,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낀다. 이제는 다른 나라들의 교육 제도를 살피고 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을 모색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