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오전 8월 14일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을 앞두고 카톨릭 교계와 정부에서는 손님맞이 준비가 한창이다. 지난해 3월 제266대 교황으로 취임한 프란치스코의 아시아 지역 방문은 이번이 처음이며, 한국 방문은 1984년과 1989년 요한 바오로 2세에 이어 25년 만이다. 본명이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인 교황은 지난해 즉위명(名)으로 프란치스코를 선택했다. 청빈을 실천했던 13세기 이탈리아의 성인 프란치스코의 삶을 실천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 볼 수 있다.
교황의 방한은 이번이 세번째이지만 한국과의 인연은 그보다 훨씬 더 역사가 깊다. 교황의 존재가 우리 역사에 처음 알려진 것은 400년 전(16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수광(1563~1628)은 저서 '지봉유설'에서 마테오 리치가 쓴 '천주실의'를 소개하면서 “그 풍속이 군(群)을 교화황(敎化皇)이라 하고 혼인하지 않은 독신으로 세습해 계승하지 않으며 현자를 가려 세운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점에는 교황 관련 서적들이 잇달아 출판되고 있다. 교황 관련 책들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교황이 취임 후 아시아 국가로는 우리나라를 처음 방문하는 데다 그동안 교황이 보여준 평화 중재와 협상력 등이 우리들에게 큰 의미를 전해주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종교 지도자들은 메시지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행보가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받고 있는 이들, 지역분쟁의 갈등으로 고통을겪고 있는 인류사회에 새로운 힘과 용기를 심어주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어 이번 교황 방한이 세월호 참사로 슬픔에 빠져 있는 우리 국민에게도 큰 위로와 용기를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같은 교황 방문은 가톨릭 신자들 외에 일반 국민들에게도 관심을 받고 있다. 종교서적 코너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지은 '뒷담화만 하지 않아도 성인이 됩니다'라는 책이 눈에 띈다. 그리고 기타 교황 관련 서적에도 많은 사람들이 기웃거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카톨릭 신자는 아닐지라도 종교와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메시지를 받고 싶어하는 분위기를 읽을 수 있다. 그만큼 내 마음을 위로해 주는 것을 찾는 풍토가 최근 사회적 배경에 깔려 있는 것은 아닐런지!
우리 민족의 소식을 처음 접한 교황은 알렉산드르 7세(재위 1655~1667)다. 그는 제사 금지를 완화하고 중국 복음화에 관심이 많았으며 예수회 선교사들의 요청에 따라 1660년 조선을 ‘난징교구’에 예속시켜 선교를 권장했다. 그후 1962년 요한 23세때 한국교회는 정식교구 자격을 얻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