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는 짧은 시간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저출산과 삶의 주거 환경 변화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찾아 이동하였고, 도시의 중심지도 새 개발 지역에 밀려 구도심은 버려진 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서울만이 아닌 대도시, 중소도시 구도심에서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농촌 지역도 아닌 서울에서 학생이 적어서 학교를 통폐합한다는 건 몇년 전만해도 상상하기 힘들었다.
서울에서 역사가 깊은 교동초등학교는 올해 신입생이 서울 시내에서 가장 적은 21명에 불과했다. 120년 전 '관립교동왕실학교'로 문을 연 국내 최초의 근대식 초등 교육 기관인 교동초는 한때 매년 9백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하지만 신입생이 줄면서 이젠 전교생이 117명에 불과한 미니학교가 돼 통폐합을 걱정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주변이 상업지대이고, 주민이 선호하는 아파트가 없기 때문이다. 이제 젊은 세대가 없어 아기들의 울음 소리는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다.
신입생 감소는 서울의 교동초 만의 문제가 아니다. 저출산으로 학생 수가 줄어든 데다 주거지역이 외곽으로 옮겨가면서 생긴 구도심 공동화 현상 때문이다. 필자가 근무하는 지방 중소도시인 순천동사여자중학교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4년 전에 비하여 재학생 수가 반토막이 났다. 그런데 새로 개발된 주변의 아파트 단지가 있는 학교는 학생 수가 넘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지역의 정치를 맡아하는 시장과 교육을 담당한 지역 교육장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한다.
신설 학교 설립도 필요하겠지만 학생의 이전 재배치에 좀 더 관심을 갖고 노력을 기울인다면 어느 정도 해결이 가능하다. 무조건 새 거주지에 학교를 세우고 기존 교육시설을 남아돌게 함으로 엄청난 재정의 손실이 나타나고 있다. 점차 공동화되어 가는 구도심의 교육력을 살리는 방향의 교육정책이 요구된다. 그러나 누구하나 책임지고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사람은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 농어촌 거점학교에는 엄청난 돈을 투자하면서 죽어가는 도심의 학교는 방치하는 교육관계 당국의 관심이 달라져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