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깊은 568돌 한글날을 맞았다. 23년 만에 법정 공휴일의 지위를 되찾은 의미 있는 첫 한글날이다. 한글날이 다시 법정 공휴일로 재지정된 의미도 되새겨야 할 것이다. 한글의 세계화가 우리 시대의 삼명이기도 하다.
정부는 내달부터 2단계 언어문화개선운동 시작할 예정이다. 우리 동포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언제 어디서나 우리글과 우리말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을 한층 강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우리의 언어문화가 갈수록 속되고 거칠어진다면 문화융성도 기대하기 어려우며 세계적인 한국어 배우기에 대한 자긍심도 크게 훼손될 것이므로 이의 예방과 회복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정부는 당장 금년 11월부터 '바른 언어, 고운 언어, 품격 있는 언어의 생활화'를 목표로 2단계 언어문화개선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자발적인 참여와 생활화를 통해 우리 언어가 더욱 아름답게 꽃피우기의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 고유의 언어인 한글은 많이 아프다.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 인터넷 언어, 은어 비속어와 욕설 난무, 한자 병용 내지 한자 혼용의 줄기찬 주장 등으로 매우 어려운 입장에 있는 게 사실이다. 한글날을 맞아 국민들 모두 고민을 해봐야 할 사안들이다.
교육전문가, 언어전문가, 국어교육학자, 국어학자들은 한결같이 한글이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청소년의 욕설 사용이 늘어난 근본적인 이유에 대해서 청소년기의 공교육과 가정교육이라는 양대 축이 모두 망가진 결과로 진단하고 있다. 즉 가정에서 부모·자식 간의 대화 단절과 소통 부재, 입시 점수 위주의 학교 교육으로 인성 교육 소홀, SNS 스마트폰, 인터넷과 대중매체의 언어 파괴 부채질, 또래 집단 사이에서의 욕설이 일상용어로 통용 등이 건전한 한글 사용과 언어 생활을 왜곡하고 있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최근 한국교총의 교원 대상 설문 조사에 의하면 현재 우리나라 교원 61.4%가 거의 매일 학생들의 비속어, 은어 사용을 보거나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고등학교에서는 교원 77.4%가 거의 매일 이 같은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학생 언어문화 개선이 매우 시급한 상황임이 드러나 특단의 언어교육이 필요함을 재재인식하게 하고 있다. 한글의 우수성을 인정하면서도 그동안 한글 전용과 한자 병용, 혼용 등의 논쟁은 계속돼 왔다. 1970년 정부가 강제로 한글 전용정책을 시행한 이래 끊임없는 논쟁을 이어 왔다. 알파벳을 비롯한 다른 문자를 두고는 이런 논란이 별로 없지만, 오랫동안 한국 역사와 함께 존재한 한자에 대해서는 첨예한 주장이 맞선다. 한글단체들을 중심으로 한국어를 한글로만 표기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2005년 제정된 국어기본법도 그와 같은 원칙을 따른다. 반면 우리나라가 한자문화권의 중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한자 병용, 혼용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그동안 한글 전용 정책으로 한자를 배제한 결과 국민의 언어생활과 문화에 막대한 장애가 생겼다는 지적인 것이다.
한글 전용론자들도 한국어 어휘에 한자어가 많고 이를 무조건 배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어려운 말은 줄이고 한자어라도 쉬운 말로 바꿔 쓰는 방향이 옳다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혼용론자들과 견해를 달리한다.
한글 전용에 찬성하는 측은 낱말의 뜻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것은 체험과 독서, 토론 등을 통한 맥락의 이해이지 꼭 한자어를 한자로 표기해야만 뜻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 국한문 혼용론자들은 언어와 인성, 문화 측면에서 한글 전용이 상당한 악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한자와 한자어가 오랜 세월 민족의 사상과 정서를 전승하는 도구였으므로 전통 문자와 언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 실ㅈ노하는 현실을 우리 고유의 글자가 아니라고 해서 도외시하는 것이야말로 세계화 시대 언어 정책에 정면 위배된다는 논리이다.
국한문 혼용론자들은 한국어에서 고유어와 한자어가 담당하는 영역과 기능이 서로 달라 한자어를 고유어로 대체하기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복잡한 사물이나 추상적 개념을 압축한 문자가 한자이므로 한자어의 정확한 의미는 한자를 통해서만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와 같은 대립, 갈등과 혼란 속에 최근 한글과 한자 혼용론자들은 한글 전용을 규정한 국어기본법에 대해 헌법소원을 냈고, 한글 전용론자들은 최근 교육부가 내놓은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확대 방안에 강하게 반발하는 등 갈등과 대립이 점차 첨예화되고 있어서 우려스럽다.
1443년 한글이 창제된 지 500년이 넘었다. 하지만 아직도 우리 사회에 한글이 안정적으로 자리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하루빨리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들이 한글을 바로 쓰고 한글정책이 전용이든 한자 혼용이든 바로 서야 할 것이다.
글은 말과 함께 사람의 인격과 사고의 표현이기도 하지만, 반대경로로 인격과 사고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우리말과 글을 소중히 여기고 아끼는 정성과 노력이 대인 간 소통과 사회분위기를 밝게 한다. 그러려면 공문 작성 등 정부기관의 역할과 신문.방송 등 언론 공공미디어 매체가 수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자라나는 학생들이 한글을 바른 말 고운 말로 바로 사용하고, 한글 정책이 일관성 있게 바로 서야 할 것이다. 한글날에 즈음하여 반작 관심을 갖는 한글 사용과 한글 정책이 아니라 일년 365일 날마다 일상생활에서 한글 바로 쓰기가 생활화되고, 우리 현실에 아주 적합한 한글 정책이 수립되어 국민 언어 생활을 뒷받침하기를 기대한다. 언어는 의식주처럼 우리 생활과 사회, 문화를 아우르는 중요한 도구임을 부언함을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