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는 유일하게 세계에서 하나인 분단국가이다. 이 나라가 통일을 이룬다면 어떤 변화가 올 것인가. 2050년 통일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약 7만 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핑크빛 전망이 나왔다. 통일준비위원회는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통일대박 가능하다’를 주제로 개최한 첫 공개세미나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통준위 경제분과 전문위원인 김병연 서울대 교수는 통일한국의 1인당 GDP 추정치를 7만3747달러(약 7817만 원)로, 연간 성장률을 4.51%(남한 2.63%·북한 9.55%)로 각각 제시했다. 또 2011년 미국 달러 기준 환율 절상 효과를 감안해 주요 20개국(G20)과 1인당 GDP를 비교하면 통일한국의 GDP는 8만3808달러로 미국(9만4264달러)에 이어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교수는 남북한 경제통합 및 통일이 현실화하면 안보 불안과 한국 경제가 저평가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없어져 역내 거래가 증가하고, 자원 이용의 효율성이 증가하고 사회갈등 비용이 줄어들 것이다. 또, 군 병력 감축 효과와 국내 창출 부가가치가 증가해 경제성장을 촉진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이 같은 ‘핑크빛 전망’은 통일이 경제 통합을 거치는 점진적 방식으로 진행되고, 북한이 점진적으로라도 시장경제 제도를 도입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미래를 열어가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국민들의 의식 속에 통일이란 염원이 가득 차고 주변국들의 협조를 이끌어 낼 리더십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