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사교육 공화국이라는 지표가 다시 증명됐다. 즉 한국에서는 4년제 대졸자가 취업을 위한 사교육에 기간은 1.2년, 비용은 평균 500만원 넘게 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15년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4년제 대졸자의 취업 사교육 기간 및 비용' 자료에 따르면 2012년 2월 대졸자(2011년 8월 대졸자 포함) 1만 8천2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의 입학부터 졸업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5.2년이었다. 정규 학제 이수 후에도 1년 이상 사교육을 이수해야만 비로소 정규 취업을 한다는 반증이다.
즉 대학의 정규 과정 4년을 제외한 1.2년을 어학연수, 공무원 시험 준비, 자격증 취득 등 취업 사교육에 쓴 셈이다. 대졸 이후에 취업을 위한 사교육에 엄청난 물심양면 에너지를 쏟고 있는 것이다.
선언적으로 각 대학들이 취업률 1위, 상위권 취업률, 공무원 사관학교, 기업체 취업률 1위, 정규직 취업률 전국 1위 등 그럴싸한 광고 문구를 제시하고 있지만, 실상은 취업하기가 ‘낙타 바늘구멍 통과하기’처럼어려운 것이다. 구체적으러 대졸자의 특성별로 구분해서 분석해 보면 남성(1.4년)이 여성(1.1년)보다, 사립대 졸업자(1.3년)가 국공립대 졸업자(1.1년)보다,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1.5년)가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1.1년)보다 취업 사교육 기간이 더 길었다. 상대적으로 사교육 기간이 긴 대학이 취업이 어려운 구조인 것이다.
또한, 전공별로는 인문·사회 계열(1.5년)의 취업 사교육 기간이 가장 길었고, 교육 계열(0.5년)이 가장 짧았다. 4년제 대졸자의 취업 사교육 비용은 평균 511만원으로 총 대학 교육비의 12.5%를 차지했다. 대학 등록금만큼의 사교육비를 지불해야만 겨우 취업의 문을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여성(558만원)이 남성(468만원)보다, 수도권 대학 출신(631만원)이 비수도권 대학 출신(435만원)보다, 사립대 졸업자(536만원)가 국공립대 졸업자(442만원)보다 더 많은 사교육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사항은 부모의 소득 차에 따른 취업 사교육 비용의 격차도 컸다. 학생들이 대학 입학 당시 부모 소득이 월 1천만원 이상인 대졸자의 사교육 비용은 1천92만원에 달했지만, 부모 소득이 월 100만~300만원인 대졸자의 사교육 비용은 363만원에 불과했다. 구체적인 사교육 비용을 유형별로 보면 어학연수 비용이 1천541만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공무원 및 전문자격 준비(900만원), 교육 및 훈련(126만원), 자격증 취득(112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같은 대졸자의 사교육비 대거 지출은 우리나라 고등 교육의 전면적 혁신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즉 16년 간의 6.3.3.4 학제의 정규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이수하면 어렵지 않게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체제가 확립돼야 하는데, 우리나라 현실은 영 그렇지 못한 현실인 것이다.
대졸자들이 졸업과 동시에 정규 취업을 하는 바람직한 체제가 확립되려면, 대학의 교육과정과 사회에 요구하는 인재의 역량이 상호 연계돼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 현실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 대학의 교육과정이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의 역량과 연계되려면 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질과 능력을 담보하는 ‘친환경 교과목’이 대거 설강, 이수돼야 한다.
예비 교사 양성 대학인 교대, 사대도 마찬가지이다. 현재 이들 교원 양성 대학의 ‘친환경적 교과목’은 졸업, 취업과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직실무’와 ‘학교폭력예방과 대책’ 정도뿐이다. 교대, 사대를 졸업하고도 공문 한 장 제대로 작성하지 못하는 것이 우리나라 사범교육의 현주소인 것이다.
결국 교대, 사대 등 예비 교사 양성대학에서 취업률을 높이고, 졸업생들이 취업과 동시에 학교의 교사로서 그 능력과 자질을 최대한 발휘토록 하려면 이들 대학의 교육과정과 사회 변화에 따른 사회와 학교가 요구하는 역량과 자질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 설강과 교육, 그리고 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의 내용을 부적응 없이 온전히 학생 교육과 학교 업무 수행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설부터 전면 재검토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