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7일 아침 7시 에코그라드 호텔에서 최병수 작가를 만났다. 최근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순천시에서는 매월 한 차례 인문학 강의를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강사는 번듯한 학력과 배움을 앞세우는 강사로 채워졌지만 오늘 강사님은 중학교 1학년을 마치고 가출(?)이 아닌 출가를 한 사람이다. 그의 흐르는 삶에서 절절히 흐르는 그를 움직인 힘은 진정한 영혼의 자유로움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그의 작품에서 호기심을 느끼게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는 면을 발견하게 된다.
그는 어느 곳에 정착하지도 않으며,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보일지를 신경쓰지 않으며, 돈이나 기타의 물질에도 연연하지 않는다. 그저 한 몸뚱이 건강하게 살 수 있다면,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또한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세계 어디든 가리지 않고 발벗고 나선 사람이다.그는 알고 있다. 자신이 세상을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그가 누구인지를. 그리고 그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그는 목수이다. 그는 화가이다. 그는 철학자다. ‘목수, 화가에게 말걸다’는 화가의 인생으로 시작해 목수의 인생을 맞이한 최병수라는 사람에 대한 탐색이다. 김진송은 묻는다. 그와 반대의 인생을 살아온 최병수라는 사람에게.
풍요로운 가정에서 자라 서울의 명문를 나왔고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의 삶을 살아온 사람이지만 언제부턴가 그것을 버린 김진송이, 처음부터 가난했고 학교를 다닐 수 없었으며 생계를 위해 안 해본 직업이 없을 만큼 치열하게 삶을 살아온 그러나 언젠가부터 환경운동가 겸 행동주의 화가로 변신한 그리고 또 목수가 된 최병수를 만나 대화를 나눈다. 하지만 대담집 형식으로 기획되었던 이 책은, 최병수가 김진송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의 형식으로 바뀌었다.
‘목수, 화가에게 말걸다’는 그렇게 탄생했다. 제목은 두 가지를 의미한다. 하나는 앞서 이야기한 목수 김진송이 화가 최병수에게 말을 거는 것이요, 또 하나는 애초 목수였던 최병수가 화가가 된 최병수 자신에게 말을 거는 것이다. 김진송은 두 최병수를 매개해주는 역할을 한다.
김진송은 그(최병수)의 “말이 그의 행동에 미치지 못한다.(p194)”고 말한다. 필부나 대개의 정치인들처럼 말만 앞선다는 뜻이 아니라, 말로 자신의 행위를 포장하고 정당화하는 대신 몸으로 부닥치고 현장에 뛰어든다는 것이다. 그는 “그 스스로 그가 던지는 말의 골간을 따라 행동할 뿐이다.(p194)”
김진송의 말마따나 최병수의 솔직함은 그의 삶의 바탕이 되었으며, 행동의 실천으로 옮겨졌고, 사람들로부터 미움과 사랑을 동시에 받는 근본이었다.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해서 그의 말이 '잘못되었다, 틀렸다'라고 할 수는 없다. 그가 거침없이 내뱉는 말들은 논리를 벗어나 삶에 천착하고 있고, 그것은 그 어떤 논리보다 '현실적이고, 옳음을 지향'한다.
요즘 중요성이 부각되는 것은 상상력이다. 그의 상상력은 현재와 미래를 융합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어떤 사물의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집요한 관찰과 생각은 세상이 단순하게 알려주는 지식을 넘어선다. 담배 하나늘 보아도 담배값, 구멍가게, 공장, 정부 등 관계 된 것들 속에서 존재한다. 그는 끝없이 생각이 무엇인가를 질문하였으며, 그 접점을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그는 융합의 본질을 이미 알고 실천하고 있다.
마음을 비우고 그를 접하면 기이한 삶이 보인다. 이 책을 읽기 전, 그리고 강의를 듣기 전에는 최병수가 누구인지 나는 전혀 몰랐다. 소개글을 보면 '아, 화가이구나'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그는 행동하는 지식인으로 살아간다. 환경문제 전문가로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전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 중에서 인류 공통의 가치를 추구하는 행동주의 미술가이자 실천적인 화가의 한 사람이 최병수다. 난 오늘 인간 최병수를 만났다. 괴짜 인생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가 너무나 존경스럽다. 그리고 내가 너무나 부끄럽게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