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4 (목)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섬 사이로 달이 뜨니 이곳이 바로 선경이 아니던가


아침부터 제법 세차게 내리던 비도 그치고 그 비를 몰고 왔던 먹장구름도 어느새 자취를 감췄으니 늦가을 하늘은 더없이 청명했다. 청명한 하늘을 보니 내가 평소 저런 하늘을 머리에 이고 살았던가? 하는 신기한 생각이 들면서 마음까지 맑아지는 기분이다. 역시 여행은 날씨가 반 부조라는데 하늘도 우리를 돕는가 보다.

마침, 우리 가족이 간월도의 간월암을 찾았을 때에는 다행히 썰물이라 걸어서 간월암에 오를 수 있었지만 밀물이 되면 간월암은 그야말로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는 한 송이의 연꽃이 된다고 했다. 그런 때를 대비해서인지 늙은 해송 아래엔 비상용 쪽배 한 척이 고즈넉이 매여져있었다.

신기하게도 바다가 잠시잠깐 방문객에게 길을 열었다. 길이 100여 미터 정도의 바닷길이다. 석화(石花)가 덕지덕지 붙은 원시의 갯벌을 지나 일주문인 염궁문을 통과하자 드디어 간월암이었다. 말로만 듣던 바다 위에 두둥실 떠 있는 섬 간월도. 그곳에 자리한 간월암(看月庵). 그 앞마당에 선 것이다.
 
아, 장쾌하다는 말밖엔 더 이상 형용할 말이 없다. 나는 푸른 바다와 상쾌한 공기와 따사로운 햇살을 배경삼아 향토시인 박주태 님의 시 ‘간월도’ 한 구절을 나직이 암송할 뿐이었다.

  간월도가 소나무 숲 사이에 떠 있다.
  안에는 바다를 바라보는 절이 있어
  자꾸 미끄러지는 운명을 불러
  그 속을 훤히 떠, 바다를 어루는 밤이면
  섬도 몸을 열어 교교한 달빛을
  쐬게 되는 것이리라.
  철새들의 떼가 바다 위를
  가로질러 갔다가는 다시,
  제 곳으로 되돌아간다.

저 멀리 시야가 머무는 곳엔 푸른 물감을 풀어놓은 듯한 서해바다가 끝없이 펼쳐져 있고, 무지개처럼 아름다운 섬들이 둥그렇게 간월암을 에워싸고 있다. 일망무제. 거칠 것 없는 바다! 바로 이런 때를 묘사하라고 만들어진 낱말인가보다. 이처럼 귀한 선물을 주시려고 하늘은 어제부터 그렇게 가을비를 뿌리셨는가.

보면 볼수록 명당이다. 대저, 우리나라 사찰이 들어선 곳마다 명승대지가 아닌 곳이 어디 있으리오마는, 여기처럼 지리와 서기가 동시에 빛나는 곳도 드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정말 세상만사 모든 번뇌를 짊어진 자들이 이곳 간월암 마당에 서서 바다와 맞닿은 하늘에서 떠오르는 달을 바라본다면 정녕 깨우치지 않을 자가 없을 듯하다.

나 또한 어느새 섬에 서서히 동화되고 있었다. 해송 사이를 헤치며 불어오는 짭조름한 바다냄새를 따라서 몇 미터를 걷자 갈라진 바위틈 사이로 성난 파도소리가 들려왔다. 속세의 거친 신음소리에만 익숙하던 내 귀에 어느 태고의 신비한 소리가 무척이나 낯설게 느껴졌다.
간월암에서 바라본 바다!





나는 잠시 눈을 감고 파도가 해안의 암석을 때리는 소리와 댓잎 서걱이는 소리를 감상했다. 가끔 간월암 처마 끝에서 부딪히는 풍경소리는 내 마음에 정점을 찍었다. 바다 한가운데에서 풍경소리와 파도소리와 솔바람 소리를 동시에 듣다니, 세상에 어떻게 이런 곳이 있을 수 있단 말인가. 나는 감탄에 감탄을 연발하며 한동안 움직일 줄을 몰랐다.

간월암에 관한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일찍이 태조 이성계의 왕사였던 무학대사가 이곳에 간월암을 짓고 토굴정진을 하던 때가 약관 이십 세였다고 한다. 하루는 달빛이 사무치게 밝아 대웅전 뜰 앞에 내려서서 서해바다 위에 걸려있는 달을 바라보는 순간 대오각성!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 하여 이름을 ‘무학(無學)’으로 고치고 함경도 백련암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조선을 건국할 태조 이성계를 만나 그 유명한 이성계의 서까래 세 개를 짊어진 꿈을 해몽하여 그를 태조로 등극시켰으니 사실 조선의 시원(始原)이 이곳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또 한 가지 무학대사에 관한 신기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6백 여 년 전의 일이다. 관청의 돈을 빌려 쓰고 갚지 못하여 관가로 끌려가는 만삭의 여인이 있었다. 여인은 학돌재(鶴石峴, 현재 충남 서산군 인지면 무학로) 고개 마루에서 모진 산고 끝에 첫아들을 낳았다. 그래도 포졸들은 태어난 아이를 고개에 내팽개쳐 둔 채 신음하는 여인을 끌고 가서 서산 관아 사또 앞에 꿇어앉혔다. 자초지종을 다 듣고 난 사또는 대로해서 말하길,

"에끼, 이 인정머리 없는 놈들아! 누가 애까지 낳는 여인을 끌고 오라더냐. 당장 저 여인에게 먹을 것과 아이에게 입힐 것을 주어 집으로 돌려보내라! 그리고 산모와 신생아에게 드는 돈은 모두 내 월급에서 탕감하라.“

인자한 사또의 명령대로 포졸들이 허겁지겁 아이를 버려 둔 학돌재에 당도해보니 신기한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어디서 날아왔는지 수많은 학들이 커다란 날개를 펼쳐서 아이를 감싸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이때부터 이 아이의 이름은, 춤추는 학이 돌보았다고 해서 춤출 ‘무’자 즉 무학(舞鶴)이 되었다는 것이다.

간월암의 명물 대나무숲





간월암은 동서남북 어디에서 보더라도 참 아름답다. 바다 쪽에서 보면 육지가 배경이 되고 육지 쪽에서 보면 바다가 배경이 된다. 마침 가던 날이 장날이라고 늦가을 바람이 몹시도 불었다. 소금기를 머금은 해풍이 사정없이 귓전을 때리고 심지어 새로 산 모자까지 앗아갔다. 간월암 뒤뜰에 심어둔 대나무 밭에서 댓잎 서걱이는 신비로운 소리가 마치 바다사자 울음소리처럼 들렸다. 태곳적 추억을 상기시키듯 업장소멸을 발원하는 듯 길게 때론 가늘게 이어지는 바람소리를 들으며 간월암을 한 바퀴 돌아보았다. 절 주변은 모진 해풍을 막기 위해 시멘트로 단단한 옹벽을 쳤다. 옹벽마다 석화와 해초들이 다닥다닥 붙어있어 운치를 더해준다. 좀 더 바다 쪽으로 물러서서 관조하니 하나의 성벽이라 해도 손색이 없겠다. 바다는 천혜의 해자(垓字)요 일주문만 닫아걸면 바로 난공불락의 요새인 셈이었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며 절 주변을 돌고 나서 사람들을 관찰해보았다. 주 5일제와 가을이 겹쳐서인지 관광객들이 꽤나 많다. 대형버스를 대절해 온 사람들도 보이고 자가용을 이용한 가족단위의 나들이객들도 많았다. 관광객들의 얼굴도 한결같이 밝았다. 간월암의 수려한 풍광과 서해에서 불어오는 상쾌한 바람에 한껏 취했음이리라.

두 시간 남짓 간월암을 친견한 뒤 나는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경내엔 그 흔한 탑조차 없다는 점이다. 대신, 탑이 있어야할 자리엔 오랜 세월 해풍에 시달린 늙은 사철나무 한 그루만이 외로이 서 있을 뿐이었다. 그래, 탑마저도 한낱 미망일터 눈에 보이는 것이 무에 그리 중요하리요. 삼라만상 모두가 부처이고 진리인 것을.
간월암의 특산물 - 간월도 바지락

갑자기 배가 고프다. 그도 그럴 것이 아침부터 집을 나서 오후가 훌쩍 지난 시간이었으니 말이다. 우리는 간월암 인근에 위치한 굴밥집에 들렀다. 차림표에는 1인분에 8,000원이라고 적혀 있다. 두툼한 돌솥에 간월도 근처에서 자라는 굴과 대추, 밤, 은행을 듬뿍 넣은 영양굴밥이다. 먹는 방법도 간단하다. 고슬고슬하면서 윤기가 흐르는 적당량의 굴밥을 대접에 덜어 양념장에 쓱쓱 비벼먹는 식이다. 금세 입 안 가득 담백한 맛이 감돈다. 취향에 따라 비빈 굴밥을 마른 김에 싸서 먹기도 하며 밑반찬으로 나오는 어리굴젓에 비벼 먹어도 진한 굴 향기가 코끝에 와 닿는다.

부른 배를 두드리며 집으로 돌아오는 길, 아내가 말하길 다음번엔 간월암의 야경을 보러오자고 말했다. 그 말을 들으니 정말 간월암의 야경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해졌다. 우리가 다음을 기약할 때 자동차는 A방조제를 막 통과하고 있었다.

마침 바다와 접한 간월호 수면 위로 늦가을 햇살이 부처님 미소처럼 환하게 번지고 있었다.

<오시는 길>


<방법1>
시원스레 뚫린 서해안고속도로를 타고 오다 홍성 교차로에서 빠져나와 안면도나 서산A지구 방조제 방향으로 10여분을 달리다보면 ‘간월암’으로 가는 이정표를 만난다.
<방법2>
서해안고속도로 서산IC에서 나온 뒤 32번 국도를 따라 서산을 지나 649번 지방도를 이용, 부석을 거쳐 서산방조제 방향으로 올 수도 있다.
<방법3>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려면 천안IC에서 나와 아산, 예산을 지나 29번 국도로 덕산, 해미, 부석을 거쳐 서산방조제로 진입하면 된다.
<방법4>
서울남부터미널에서 운산, 음암, 해미 등 서산 방면으로 가는 시외버스를 타면 1시간 40분 만에 도착한다. 여기서 간월암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서울남부터미널 (02) 521-8550

<인근 관광지>


돌아오는 길에 천수만의 철새탐조도 즐길 수 있다. 간월암에서 정서적 안정을 되찾았다면 천수만에선 새들의 군무를 보며 새로운 삶의 의욕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간월암에서 승용차로 5분 거리에 있다.

남당리 대하축제(해마다 9월 말부터 10월 초순까지 열려)
간월도 인근 홍성의 남당리에선 해마다 시월이면 대하축제가 열린다. 또한 각종 공연 및 대하판매가 이루어져 글자 그대로 인산인해를 이룬다. 홍성 일대에서 생산되는 무화과도 싼 가격에 살 수 있다.

<먹을거리>

어리굴젓과 굴밥이 유명하다. 특히 이곳에서 나는 어리굴젓은 굴 알의 크기가 작고 굴 알에 미세한 털이 많아 양념이 잘 배어들어 맛이 뛰어나다. 무학 대사가 이곳에서 생산되는 어리굴로 담은 굴젓을 태조 이성계에게 진상한 뒤로 궁중진상품이 되었다고 한다. 간월암 인근 공판장에서 통조림으로 제조해 판매한다.
<간월도 특산 어리굴젓>, <영양만점의 굴밥>
굴밥도 먹을 만하다. 돌솥밥에 간월도 근처에서 자라는 굴을 듬뿍 넣은 영양굴밥이다. 먹는 방법도 간단하다. 고슬고슬하면서 윤기가 흐르는 적당량의 굴밥을 대접에 덜어 양념장에 쓱쓱 비벼먹는다. 금세 입 안 가득 담백한 맛이 감돈다. 취향에 따라 비빈 굴밥을 마른 김에 싸서 먹기도 하며 밑반찬으로 나오는 어리굴젓에 비벼 먹어도 진한 굴 향기가 코끝에 와 닿는다. 1인분 8,000원. 굴파전 10,000원. 간월도 인근에 굴밥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들이 즐비하다. 간월도 맛동산(041–669-1910), 간월도 영양굴밥집(041-663-7776), 오뚜기 횟집(041-662-2708) 등이 유명하다.

<숙박시설>

간월암 인근에는 고급 숙박시설이 없다. 서산 시내에도 호텔급 숙소는 없고(현재 건설중임)대부분장급여관이다.계림장여관(041-665-5255),창리장여관(041-664-1369), 유니콘 모텔(041-669-4466) 등이 있고 민박을 원하신다면 간월민박(041-662-0895), 천수만민박(041-663-7572), 현대민박(041-662-2724)이 있다.
서산과 인접한 태안군 안면도에는 큰 숙박시설과 깔끔한 펜션이 많으니 이곳과 연계하는 것도 좋다. 오션캐슬리조트(041-671-7000), 비치캐슬(041-673-9948), 안면프라자호텔(041-673-0744) 등이 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