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에서 서술형 평가 및 수행평가 중심 방안이 강조되고 있다. 21세기 교육의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창의력, 비판적 사고능력 등을 기르기 위해서는 평가 장면이 이렇게 가야 한다. 교육부가 지난 3월 4일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및 관리지침(교육부 훈령)의 개정을 추진해 수행평가 비중의 확대를 유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출제 비율을 일정 이상 확보하도록 강조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중에 서술형 평가 문항은 어려움을 토로하는 경우가 있다. 수행평가와 달리 출제 문항 설계를 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학생들은 점수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비중이 커서 부담을 느낀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서 가장 선행되어야 할 문제는 역시 수업이다. 수업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키우는 과정이 있어야 한다. 수업에서 학생이 배우고, 배운 것을 요약, 서술, 토론, 말하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한다.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기 위한 수업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서술형 평가의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이 과정이 그대로 평가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것이 과정 중심의 수업 밀착형 평가다.
서술형 평가 문항의 제작도 수업의 목적과 목표를 확인하고 이를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그것은 평가의 목적과 목표와 연계되어 있어야 한다. 수업의 목적과 목표는 성취기준에서 만들어진다.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중시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성취기준을 무작정 따르려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은 포괄적이고 추상적인 경우가 많다. 학생들의 수준에 걸맞게 성취기준을 수정·보완해야 한다. 결국 서술형 평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을 평가 목표에 맞게 수정·보완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평가 문항을 제작할 때는 이원목적분류표를 활용한다. 성취기준 분석부터 난이도 배점 등의 결정이 따르기 때문에 질 높은 평가 문항 제작의 방편이다. 이 과정은 학생의 학업 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 중요한 절차이므로 심도 있는 실천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교사들은 이원목적분류표를 핵심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출제가 끝난 후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 평가요소를 내용 영역(지식 차원)과 행동 영역(인지단계)으로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다. 이는 교사들이 평가 목표를 제대로 점검하지 못하고, 경험을 바탕으로 문항개발을 수행한다는 뜻이다. 이렇게 뒤바뀐 출제 방식은 평가 결과가 학생들의 학습을 위한 정보 제공자로서의 역할이나 수업의 개선을 위한 자료로서 환류 되지 못한다.
이원목적분류표에 근거한 평가 절차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평가 문항을 만드는데도 기여한다. 서술형 평가는 객관식 선다형 평가와 비교할 때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이원목적분류표에 채점기준을 명확히 설정한다. 학습자들은 서술형 문항 채점기준에 따라 평가 문항을 이해하고 해결한다. 채점기준이 지시하는 방향으로 학생들의 능력이 길러진다. 이 표에 의한 문항 제작은 학생의 지식 정도와 인지발달의 정도를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쉽게 파악하여 개별화된 학업향상 처방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서술형 평가의 핵심은 평가자가 설정한 문제 장면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 설명, 해석하거나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때 수험생은 알고 있는 정보나 지식 등을 활용하여 평가 장면에서 제시하는 평가 요소의 결과를 제시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수험생의 사고 과정이 드러나는 것이다. 따라서 전제와 결론, 인과 관계, 현상과 추론, 주장과 근거, 예시와 일반화, 과정과 결과 등의 통합적 사고 작용을 측정하는 평가 장면을 설정하면 바람직하다.
교사들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서술형 평가에 관한 연수와 기타 예시 자료집을 보기를 원한다. 기타 평가에 적합한 교육 여건 등도 언급한다. 마찬가지로 학생도 서술형 평가에 대한 불안감을 안고 있다.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장면 그리고 평가로 이어지는 자료와 학생들이 답안 작성 방법 등을 담은 학생용 교육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평가의 중요한 영역은 평가 결과의 활용이다. 현재 선택형 평가는 나이스에서 제공하는 통계를 활용한다. 하지만 서술형 평가에 대한 채점 상황은 체계적으로 구비되어 있지 못하다. 개인별 오답 현황의 유형은 물론 동일 집단 내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학생 성장 과정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엑셀 등을 이용해 서술형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단계별 점수 상황을 누적적으로 관리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교사는 학생의 꿈과 끼 실현을 위한 학습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학생들의 평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을 위한 노력과 함께 학생들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바람직한 평가에 대해서도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전문가라고 하는데 거기에는 평가 전문가의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