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수업은 학습할 가치가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하여 개별 또는 모둠을 구성하여 협력하고 연구하며 발표하는 학생활동중심 수업의 한 형태이다.
이는 ‘교수란 분리된 교과목이 아닌 학생의 정서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통합되어야 하고, 프로젝트 지향적이어야 하며, 실제적인 경험으로부터 시작하여 통합된 연구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듀이(Dewey)의 진보주의 교육이론에 출발점을 두고 있다.
프로젝트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협의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여러 대안 중에서 학생이 선택하며, 수행기간이 길고, 주로 학생 중심으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교사 위주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단편적이고 통일성이 부족한 수업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모든 학생에겐 누구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실제 발달 수준이 있고, 주변의 성인이나 능력 있는 또래가 옆에서 도와줄 때 성취 가능한 발달 영역이 있다는 비고츠키(Vygotsky)의 주장이 교실 수업에 적용되면서 프로젝트 수업은, 정형화된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인성 계발과 심도 있는 지식 교육의 균형을 가져올 수업 방식으로 재조명되고 있다.
교사는 큰 틀만 제시... 주제선정은 학생 몫
프로젝트 수업의 목적은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하여 내적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 성향을 발달시키는 데 있다. 학생들은 주제를 깊이 있게 조사하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더 넓고 깊이 있는 학습 세계로 유도된다. 그리고 텍스트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봄으로써 교과서 자체에 매몰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를 넘어, 주변을 바라보고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 결과, 학생들은 대부분 만족감과 보람을 느꼈다. 조사의 어려움이나 비협조적인 친구들 때문에 마음을 상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프로젝트 수업을 반복하면 이러한 문제는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 번의 프로젝트 수업에도 학생들은 자신감이 생겼다. 국어 시험의 지문 이해에 대한 두려움이 조금씩 감소되었고, 실제 독서에서 문해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조금 더디더라도 학생들이 직접 이끌어가는 프로젝트 수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주의할 점은 교사는 큰 틀만 구성하고 주제 선정은 학생들과 함께 논의해야 하는 것이다. 교사가 모든 것을 계획하여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형태가 아니라, 학생의 역량과 경험을 이끌어내는 촉진자, 안내자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 영역 및 단원
영역 :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 - 서정문학
단원 : 고려가요, 동동
≫ 주제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구비문학 작품의 작가와 시대 유추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