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3 (토)

  • 구름조금동두천 9.6℃
  • 흐림강릉 7.8℃
  • 구름조금서울 11.5℃
  • 구름많음대전 10.8℃
  • 구름조금대구 12.3℃
  • 구름많음울산 11.9℃
  • 맑음광주 10.8℃
  • 맑음부산 15.7℃
  • 맑음고창 11.2℃
  • 흐림제주 12.1℃
  • 맑음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0.7℃
  • 구름조금금산 10.3℃
  • 맑음강진군 12.4℃
  • 흐림경주시 10.5℃
  • 구름조금거제 13.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새 교과서로 질문이 있는 교실 연다

공주교대부설초,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범수업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학생참여중심 수업

성취기준 검색 시스템 등 행정 지원 필요

 

[한국교육신문 정은수 기자] “민수 아빠에게 물어볼게요. 자기 아들이 어떨지 걱정하지 않고 힘만으로 칠판에서 떼어내려고 했을 때 어떤 느낌이었나요?”

 

30일 공주교대부설초(교장 김연화) 4학년 2반의 국어 수업 시간. 아이들은 앞자리에 민수 아빠가 되어 앉아 있는 김상곤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에게도 스스럼없이 질문을 이어갔다. 이 교실에서만큼은 우리나라 학생들이 질문이 없다는 말은 다른 세상 얘기였다.

 

오히려 이런 수업에 익숙하지 못한 김 부총리가 가상 인터뷰임을 잊고 혹시 자녀에게 무엇이 재미있고 즐거운지 물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나는 딸이 셋 있는데, 나도 동훈 엄마처럼 일만 하느라 신경을 쓰지 못해 안타깝다며 등장인물이 아닌 실제 자신의 심경을 고백하기도 했다.

 



이 날 수업은 칠판에 딱 붙은 아이들이라는 창작동화를 읽고, 세 명씩 등장인물이 돼 친구들과 인터뷰를 주고받으면서 등장인물의 입장과 심정을 이해해보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기웅, 민수, 동훈 등 주인공 3명에 대한 가상 인터뷰를 한 차례 하고 나서 기웅 엄마, 민수 아빠, 동훈 엄마 등 부모 캐릭터를 대상으로 한 가상 인터뷰에 김 부총리가 참여한 것이다.

 

수업을 진행한 주길준 교사는 아이들이 약간은 엉뚱한 질문과 대답을 해도 각자 자기 생각으로 다양한 질문과 대답을 할 수 있도록 기다려주고 수업을 이끌었다. 맥락을 벗어난 부총리의 대답에도 학생들의 엉뚱한 대답을 받아넘기듯 넘어가는 재치까지 보였다.

 

수업을 참관한 4학년 학생 학부모 김은진 씨는 이런 수업 참관은 두 번째인데 학생들이 참여해서 수업한다는 것이 제가 느끼는 가장 큰 수확이라며 교사가 질문할 때 기대하는 대답이 있을 텐데 정답을 정해놓지 않고 아이들이 생각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수업이 돼 각각 경험이 다른 아이들이 내 생각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다른 친구의 생각도 중요하다는 것을 새롭게 배우는 큰 경험을 할 것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어떻게 이런 수업이 가능할까. 이 수업은 2015 개정교육과정을 올해부터 새로 적용해 시행한 학생참여 중심 수업이다. 실제 읽기보다는 읽기에 대해공부하는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젝트로 국어 시간에 책 한 권을 선정해 읽고 그 과정에서 토의하고 생각을 표현하도록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 학기 한 권 읽기활동 수업의 실제 모습이다.

 

물론 뜬금없이 질문하고 생각을 나누란다고 학생들이 갑자기 질문을 잘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이 수업 11차시의 프로젝트 수업 중 9차시 수업이었다. 학생들은 이미 8차시 동안 책을 선정하고 읽는 과정에서 책의 내용 짐작하기 질문의 가치와 중요성 이해하기 책을 읽으면서 질문 만드는 방법 알기 자신 있게 질문하는 연습하기 궁금한 내용 생각하며 책읽기 붙임 쪽지로 질문 거리 찾으며 읽기 질문 나무에 붙은 질문 함께 알아보기 등 질문에 대한 연습을 계속해왔다.

 

가상 인터뷰 활동 전에도 학생들은 6면에 각각 , 누가, 어떻게, 무엇을, 만약, 상상하여가 적힌 질문 주사위를 모둠별로 던지며 서로 질문해보고 답하는 활동을 하며 질문 있는 수업을 했다.

 

주 교사는 수업을 처음 했을 때 한 시간 동안 책을 읽은 학생이 두 명이었는데 가장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이었다아이들은 각자 나름의 방식으로 책을 읽는다는 것을 알게 돼 그동안 학교에서 독서활동의 양적인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독서량을 점검한 것이 허구라는 반성하고 아이들이 자기 생각을 얘기하고 친구의 생각을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협력이 일어나도록 수업하기로 했다고 수업 전과 후에 달라진 교사의 태도를 설명했다.

 

물론 이런 교실수업 개선은 교사 개인의 노력에만 기댄 것은 아니었다. 공주교대부설초는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학생참여 중심 수업을 준비하면서 역량 중심의 수업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불가피하다는 것에 공감하고 2017년부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합 프로젝트 학습과 융합 수업을 적용하고 있다.

 

김 교장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자체가 분과형이라 교사들의 불만도 많지만 당장 시스템을 바꿀 수 없어도 지금 바꾸지 않으면 변화를 이끌 수 없다는 생각에 2016년부터 협의를 한 끝에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작하게 됐다고 했다. 그는 특히 교육과정 재구성은 모든 교과를 펼쳐놓고 비슷한 성취기준을 찾는 등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라며 교육과정 정보를 제공하고 연계된 성취 기준을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