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보급 저연령화와 유튜브 등 1인 미디어 확산에 따라 교육부가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에 나섰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미디어 교육을 명분으로 정치편향 교육을 강화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교육부는 28일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학생들이 콘텐츠를 제작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해 미디어를 책임감 있게 이용하는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미디어 교육 지원 △학생의 미디어 교육 기회 확대 △미디어 교육 교원역량 강화와 지원체계 구축 등 세 가지 영역별 과제로 이뤄졌다.
교육부는 학교 교육과정을 통한 미디어 교육을 위해서는 1인 크리에이터와 웹툰 작가 등 최근 학생들의 관심사와 진로희망을 반영한 수업 자료를 개발할 계획이다. 2020년까지 교과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등에 활용 가능한 자료를 개발하고, 2021년까지는 주제중심 프로젝트 수업 자료를 개발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고교학점제와 연계해 미디어 교육 관련 선택과목을 신설하고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 역량에도 미디어 교육 관련 내용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시·도교육청의 학습 자료와 인정도서 개발도 지원한다. 또 학교 내에 메이커 스페이스 등 제작 체험 공간을 조성하고 공간혁신사업과 연계해 미디어 체험 공간을 확대할 계획이다.
학생의 미디어 교육 기회 확대는 단순한 소비자의 관점을 벗어나 프로슈머 개념을 도입한 미디어 ‘생비자(생산자와 소비자)’ 교육을 할 예정이다. 또 공공 이슈·정책에 대해 미디어를 활용하는 사회 참여 학습도 확대한다.
실습·제작 중심의 미디어 교육을 메이커 교육과 접목해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하고, 무한상상실 등 미디어 제작도 지원한다. ‘한 학기 한 권 읽기’ 사업과도 연계한 미디어 프로그램 개발도 계획하고 있다.
학교 밖 청소년이나 농·산·어촌 등 소외계층을 위해서는 관계부처와 협업해 지역의 다양한 센터나 도서관 등 지역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체험 버스 형태의 미디어 관련 이동형 교실 등을 지원한다.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교사 연구회 중심의 연수를 확산하기 위한 미디어 관련 교사 연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현장지원단을 양성해 권역별 워크숍을 추진한다. 2021년까지 교사 4500명, 관리직 2200명에 대한 연수를 준비하고 있다. 또 교원양성대학 시민교육 역량강화사업과 연계해 예비교원의 역량을 함양한다. 미디어교육센터 설립도 추진한다.
겉보기에는 시대의 요구에 부합한 계획 같지만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정치·이념의 도구화를 경계하는 목소리가 높다. 언론 등 미디어에는 정치적 목적이 포함돼 있어 특정 언론이나 정당, 정치세력, 정치인, 사회적 이슈에 대한 기사를 다루면서 교사의 주관적 시각을 제시하거나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 선별을 가르친다는 명목으로 특정 언론사의 보도를 집중적으로 가짜 뉴스로 몰아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교육부 계획에도 포함된 ‘사회참여 학습’의 경우를 보더라도 정치적 현안에 대한 활동으로 이어질 여지가 크다. 올해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매체를 통한 학습 경험이 많을수록 온라인 정치 참여가 활발하다. 국내에도 유사한 연구 결과들이 제시됐다.
김동석 한국교총 정책본부장은 "대상 미디어와 기사의 선정 등이 교사의 정치적 지향과 언론 선호도에 따라 갈릴 가능성이 있다"며 "이는 또 다른 정치이념 수업이 되므로 교육부는 무엇보다 가치중립적 수업과 교육이 될 수 있는 기준을 마련·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디어 선택과목 개설, 인정도서 개발은 필요하지만 독립교과 신설이나 입시 반영으로 이어져 학생, 교사에게 부담이 되지 않도록 기존 교과목과 방과 후 활동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