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리석고 사리판단도 할 줄 모르는 내가 나라의 대업을 이어받긴 했지만, 나는 지혜도 모자라고 현명하지도 않다. 깊은 못과 살얼음을 건너야 하는데 건너갈 방법을 모르듯,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1611년 광해군은 이렇게 운을 띄며, 책문(策問-과거의 최종합격자 33인의 성적을 가리기 위해 임금이 출제하는 문제)합니다. 인재등용, 세제개혁, 토지정비, 호적정리 등의 문제에 있어 임진왜란 이후 살아남은 백성을 소생시키기 위해 ‘지금 가장 시급한 나라일이 무엇이냐’고. 서른다섯의 유생 임숙영은 답합니다. “나라의 병은 임금에게 있습니다. 왜 스스로의 실책과 허물에 대해선 거론하지 않느냐”고 말입니다.
권력에서 소외됐던 북인을 대거 기용하며 개혁을 표방했지만 후궁과 북인세력이 결탁한 ‘코드인사’, 국가재정 마련을 위한 매관매직, 이를 비판하는 언관에 대한 탄압 등으로 자멸의 길을 걷고 있었던 광해군은 임숙영의 답을 읽고 크게 노해 합격자 명단에서 이름을 삭제할 것을 명합니다. 3개월에 걸쳐 파문을 일으켰던 삭과(削科)파동은 좌의정 이항복, 영의정 이덕형 등이 그 부당함을 지적한 끝에, 결국 ‘향후 질문요지에서 벗어난 답을 한 자는 과거에 선발하지 말라’는 임금의 교시와 함께 무마되었습니다.
‘책문’(소나무)에는 이처럼 국가적 고민을 담은 책문 13건과 명신(名臣)들의 대책(對策) 15건이 실려 있습니다. 물론 그 대책은 유교적 형이상학에 기초해 있지만, 광해군과 임숙영의 예처럼, ‘죽음을 무릅쓰고’(‘책문’에 단골로 등장하는 수사(修辭)입니다) 국가를 책임진 통치자에게 고하는 젊은 인재들의 치열함이 녹아 있습니다.
왕과 선비의 문답을 읽다보니 ‘조선=낡은 봉건 사회’라는 명제에 서슴없이 한 표를 던지기가 망설여집니다. 연일 시끄러운 정치, 풀리지 않는 교육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 지도자는 어떻게 길을 찾아가야하는지, 엘리트는 지도자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지, 인재는 어떻게 발탁되고 활용되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해답을 이 책 ‘책문’이 내놓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대의 물음에 답을 원하십니까. ‘책문’의 낡고 오래된 답안지 위에, 수백 년 전 조선의 인재들이 찾아낸 현답(賢答)들이 번뜩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