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30 (목)

  • 맑음동두천 9.0℃
  • 맑음강릉 19.0℃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0.7℃
  • 연무대구 12.3℃
  • 연무울산 13.6℃
  • 연무광주 11.4℃
  • 구름많음부산 16.1℃
  • 구름많음고창 6.3℃
  • 구름많음제주 13.9℃
  • 맑음강화 9.8℃
  • 맑음보은 8.0℃
  • 맑음금산 8.9℃
  • 구름많음강진군 9.2℃
  • 구름많음경주시 11.9℃
  • 구름많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전문직원 전형에서 만나 본 기획

지역별로 교육전문직원 선발을 위한 전형은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서류전형부터 논술·기획·면접까지 2~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획은 주로 1차나 2차 전형에서 평가되고 있으며, 기획안만 평가하는 경우와 기획력과 발표력을 함께 평가하는 경우 등 지역에 따라 평가방법과 내용이 다르다. 기획안도 정책기획안만 작성하도록 하는 경우와 기획안과 요약보고서를 동시에 작성하도록 하는 경우 등 지역에 따라 달리 출제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기존의 교육정책기획안 작성법에서 더 나아가 기획안에 대한 요약서나 정책제안서 작성에 관해 예시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지역별로 시험유형은 해마다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니 사전 예고된 전형방법과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자신이 소속된 지역의 유형을 찾아 체계 있게 준비하도록 하자. 


정책기획안 평가유형
1. 기획력 평가

교육전문직원 전형에서 기획력은 교육전문직원 필수역량 측정을 위한 영역으로 1차나 2차 전형에서 평가된다. 보통 기획력 평가는 <표 1>의 경상남도교육청처럼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기획안을 작성하게 하여 사업계획안 작성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한다. 

 

정책기획안만 평가하는 지역에서도 충청북도교육청처럼 평가영역을 달리하여 정책기획을 두 가지 유형으로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표 2>처럼 <정책기획안❶>에서는 주로 정책기획능력을 평가하는 문제로 문항 배점은 40점이고, 소요시간도 80분 내외이다. 이와는 달리 <정책기획안❷>에서는 창의성 및 문제해결능력을 중점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배점은 30점, 시간도 30분 내외로 짧은 것을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