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생 주도성 성장을 위한 초등 교육과정 재구성

 

1. 프로젝트 수업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하기

초등학교의 가장 큰 특징은 담임 교사제라는 것. 대부분의 교과를 담임 교사가 가르치기에 가장 폭넓은 교육과정 재구성을 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교과를 함께 넣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니 혹시 무엇인가 빠진 것은 없는지 걱정이 되기도 한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처음 시작할 때는 프로젝트 수업을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 환경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생각하면 교과서를 살펴보며 환경에 관한 단원을 모아본다. 과학, 실과, 사회, 도덕 등에서 관련된 단원을 찾을 수 있다. 미술에서 재활용품을 활용한 만들기를 발견할 수도 있겠다. 그렇게 찾은 단원을 적절하게 배치해 보면 된다. 세계의 환경 문제를 아는 것(사회)부터 시작할 수도 있고, 환경 생태계 구성(과학)부터 시작할 수도 있겠다. 프로젝트 수업은 같은 기간에 이루어져야 하니 비슷한 시기에 그 단원의 진도를 나갈 수 있게 단원의 순서를 바꾼다. 이렇게 하나의 주제를 가진 프로젝트 수업을 한다고 생각하면 교육과정도 쉽게 시작할 수 있다.

 

2. 이리저리 선 긋기(feat. 국어)

프로젝트 수업을 위해 교과서의 단원을 모으고 나면 조금 더 긴밀한 관계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더불어 이런 수업을 할 시간이 나올 수 있을까 고민될 것이다. 여기에서 필요한 것이 바로 선 긋기다. 선 긋기는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닌다. 첫 번째는 방법 중심의 단원과 연결하는 의미의 선 긋기이고 두 번째는 성취기준과 상관없는 활동을 삭제하는 의미의 선 긋기다.

 

방법 중심 단원의 선 긋기에는 주로 국어 교과가 활용된다. 프로젝트 수업을 위해 찾은 부분과 함께 하면 좋은 단원을 찾아 연결해 본다. 예를 들어 세계의 환경 문제 알아보기와 국어의 뉴스 단원을 연결하면 뉴스를 보며 세계의 환경 문제를 알아보고, 알아낸 것을 뉴스로 제작하는 교과 통합 수업이 탄생하며, 동시에 사회과 한 단원과 국어과 한 단원만큼의 넉넉한 시간(차시)이 생긴다. 이렇게 하고도 프로젝트 수업을 할 시간이 부족한 것 같을 때 혹은 진도 나가느라 교육과정 재구성은 생각도 하지 못할 때는 성취기준과 상관없는 활동을 삭제하는 선 긋기를 진행한다. 지도서의 단원 개관을 편 후 해당 단원의 성취기준과 차시별 목표를 비교한다. 차시를 채우기 위해 성취기준과 상관없는 활동이 있다면? 과감하게 삭제한다.

 

예를 들어 6학년 1학기 국어 ‘6. 내용을 추론해요’ 단원의 경우 성취기준과 상관없는 ‘알리고 싶은 내용을 영상 광고로 만들 수 있다’가 계획되어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6국 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해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라는 성취기준으로 다른 단원에서도 구현되니 삭제해도 괜찮다. 중복된 성취기준으로 이루어진 단원이 있다면 과감하게 합쳐도 좋다. 그것만으로도 좋은 교육과정 재구성이 되며 프로젝트 수업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3. 주제와 방향을 결정하는 학급운영관 한 스푼

일단 프로젝트 수업을 시작했으나 프로젝트의 주제나 목표, 방향은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그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학급운영관이다. 1년을 아우르는 멋진 철학이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으나 만약 아직 어떤 학급운영관을 가졌는지 알 수 없다면? 다음 질문에 답을 생각해보자. “나와 함께 1년을 지낸 아이들의 마음에 딱 하나를 남겨야 한다면 어떤 것을 남기고 싶은가?” 즉, 1년 동안 다른 건 몰라도 이것만은 나에게서 배웠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을 떠올려 본다. 그것은 다름, 존중, 예의 같은 가치일 수도 있고 다양한 글쓰기 같은 경험일 수도 있다. 이것이 교육과정 재구성과 만나면 우리 반만의 특색 있는 교육과정이 탄생한다. 프로젝트 수업의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똑같은 ‘환경 프로젝트’를 진행하더라도 ‘다름’에 가치를 둔 교사는 다양한 생명체가 서로의 다름을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는 데 초점을 맞출 테고, ‘만들기’가 중요한 경험인 교사는 새 활용품을 만드는 것과 관련된 활동을 진행할 것이다. 체험이 중요한 경우에는 실제 현장에 나가서 플로깅을 하는 활동을 프로젝트 내에 배치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리해 보면 교육과정 재구성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4. 3월 교육과정 재구성만! 나머지는 아이들과 함께!

어느 정도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작했을 때 문득 걱정이 든다. ‘우리 반 아이들이 과연 내 마음처럼 해줄까?’ 사실 2월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아이들을 만나기 전 상황이기에 교육과정의 가장 큰 핵심인 아이들에 따라 완전히 바뀔 수 있다. 그럴 때는 일단 하나의 3월 프로젝트만 준비해 두고 아이들과 만나 다음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필자는 3월 학급세우기 주간과 연계해 ‘나 프로젝트’를 준비한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 드라마, 웹툰 <유미의 세포들>, 그림책 <짖어봐 조지야> 등을 활용해 많은 예시를 보여준 후 나의 머릿속, 마음속에는 어떤 것이 사는지를 표현하고 서로 얼마나 다른지 인식하는 프로젝트다. 이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3월 첫 주 자기소개는 물론이고 우리 학급 운영관인 ‘다름’에 관해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통해 우리 반의 학생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마리를 찾는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의 머릿속을 통해 민정이가 방탄소년단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소현이가 명심보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제재 대신 방탄소년단의 노래나 명심보감의 구절로 수업을 꾸려 보는 등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생 주도성 성장’을 위해 아이들과 함께 교육과정 재구성을 진행하고 싶다면? 하나의 수업이 끝난 후 아이들에게 이 수업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다른 차시, 다른 단원, 다른 과목을 찾아오라고 한다. 만약 그 부분을 찾아온다면 선생님이 그 수업은 하지 않겠다고 말해주면 아주 열심히 찾는다. 아이들이 찾아온 내용이 성취기준 차원에서 문제가 없다면 아이들이 보는 앞에서 그 단원 목차에서 그 부분을 지워 버리거나 교과서 페이지를 접어 표시한다. 선 긋기의 경험을 아이들도 함께 해보는 것이다. 이후 하나의 통합 주제를 주고 교과서에서 관련 단원이나 차시를 찾아보게 하고, 찾아온 교과와 단원, 차시를 적절히 배치한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이 프로젝트를 위해 어떤 자료를 활용하면 좋을지 찾아오게 한다면? 아이들의 눈높이, 흥미에 맞는 자료로 좋은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혼자 하기보다 훨씬 쉬울 뿐 아니라 함께 주인인 교실을 만들 수 있다.

 

Tip. 블렌디드 수업, 교육과정에 미리 적용할 수 있을까?

코로나19가 3년 차에 접어드는 상황. 이제 우리는 언제든 원격 수업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교육과정에 어떻게 미리 적용할 수 있을까?

 

먼저 2월에 원격 수업에 대한 학년의 기준을 마련한다. 쌍방향 원격 수업 등 반별 수업을 할 수도 있을 테고, e학습터 등을 활용해 학년이 함께 수업을 준비하는 방법도 있다. 이에 대해 먼저 논의한다. 그 후 학년이 원격 수업이 가능한 단원과 차시를 뽑는다. 원격 수업의 장점은 가정에서 진행된다는 것, 아이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충분히 활동할 시간이 있다는 것, 자신의 개인 컴퓨터 등의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등이 있다. 이 장점에 맞는 내용을 골라낸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검색하거나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 활동, 글쓰기, 만들기, 그리기 등 자신의 속도에 맞춰 진행하면 좋은 활동, 인터넷, 휴대전화, 컴퓨터 사용 자체가 주된 학습 내용이 되는 단원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교실에서 진행하는 것보다 원격 수업이 훨씬 더 효과적이다. 이런 단원을 뽑아 미리 원격 수업 때 진행하는 것으로 합의를 보고, 필요한 학습 자료도 미리 만들고 준비물도 챙겨 둔다. 그 후 3월에 이에 관해 안내하고 가정에 꾸러미를 보내 두면 갑작스러운 원격 수업에서 교과서 없이도 바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다행히 원격 수업 전환이 없다면? 학기 말에 가장 마지막 단원으로 진행하면 되겠다.

 

교육과정 재구성은 일단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내용으로 아이들과 만나고 나면 교실 수업이 훨씬 즐거울 테고, 즐거운 경험은 자연스럽게 다음 교육과정 재구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그렇게 경험이 쌓이면 나만의 교육과정, 콘텐츠도 생기게 된다. 새롭게 시작하는 2022학년도를 늘 랜선 옆 반에서 응원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