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작가의 소설 『외딴방』은 다음과 같은 물음으로 시작한다. “이 글은 사실도 픽션도 아닌 그 중간쯤의 글이 될 것 같은 예감이다. 하지만 그걸 문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인지 글쓰기를 생각해 본다, 내게 글쓰기란 무엇인가? 하고.” 마지막 역시, 비슷한 물음으로 끝이 난다. 자전적 소설이기도 한 이 글은 ‘나’가 열여섯에서 스무 살까지의 시간을 배경으로 유신 말기에 구로공단에서 일하면서 ‘산업체 특별학급’에 다니던 시절의 이야기이다.
외사촌 언니와 함께 고향을 떠나 서울로 온 주인공은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학교에 다니는 큰오빠와 함께 가리봉동의 외딴 방에 기거하며 동남전기주식회사에 다닌다.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고된 노동을 하고, 가난과 절망에 시달렸던 주인공은 열망하던 공부를 할 수 있는 야간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된다. 외딴방에서 만나 의지하고 좋아했던 희재 언니는 가난하고 불우한 일상을 보내야 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희재 언니의 끔찍한 죽음을 저도 모르게 방조한 충격으로 인해 외딴방을 탈출하고 외딴방은 오랫동안 자물쇠로 봉인한다.
하지만 같은 학교에 다니던 오래전 급우는 “그 시절의 우리가 부끄러웠느냐?”고 질문하고, 나는 비로소 그 시절을 열어보려 한다. 외딴방 시절의 과거와 그 시절을 집필하는 현재 나의 이야기는 시간이 교차하며 독자들에게 알 수 없는 무늬를 그린다. 이 소설에서 또 하나의 모티프로 등장하는 것이 내가 우물에 빠뜨린 쇠스랑과 외사촌 언니의 백로 이야기이다. 소설을 읽으며 계속 등장하는 이 두 가지 모티프의 변주가 흥미로왔다. 자본주의의 추악한 뒷모습과 노조에 대한 부당한 탄압과 YH사건, 광주 학살과 삼청교육대의 인권 유린에 대한 내용이 생생하게 어린 소녀의 눈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살아있다는 것. 우리가 그 골목에서 간이숙박소 같은 삶을 살았다고 해도, 중요한 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야. 일상에 매여 일 년을 통화 한번 못 한다고 해도 수첩 속에 오래된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다는 것. 내 손을 뻗어 다른 손을 잡을 수 있다는 것. 설령 내가 언니가 이 세상에 존재했었다는 걸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도 언니가 이 세상의 어느 공기 속에서 아침마다 눈을 뜨고 숨을 쉬며 악다구니를 쓰며 살아가고 있다면… 나는 내 열여섯에서 스물까지의 시간과 공간들을 피해오지 않았을 거야. 내가 기억한들, 언제까지나 기억한들… 그런들… 그런 것이 무슨 소용이지? 기억으로 뭘 변화시켜놓을 수 있어? p.221
이 소설을 읽는 나 역시 80년대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인문계가 아닌 상업계고등학교로 진학하였다. 그리고 내가 다니던 여상(여자상업계고등학교)에는 교실을 공유하던 야간의 언니들이 있었다. 아침에 등교하면 가끔 어지러운 흔적을 접할 수 있었다. 아마도 반장이었던 나는 주간 아이들을 대표해서 저녁에 남아, 같은 교실을 쓰던 야간반 반장 언니를 만났다. 나보다 몇 살은 나이가 들어 보이던 창백한 얼굴로 교복을 입은 언니를 기억한다. 그 언니와는 말이 잘 통해 꽤 오랫동안 이야기를 하였던 것 같다. 그리고 교실은 깨끗해졌다. 삼십여 년 전의 마산은 전국에서 여성의 성비가 높았던 곳으로 유명하였다. 수출자유지역 공장으로 전국의 빈촌에서 어린 동생의 학비를 벌기 위해 왔던 소녀들이 쏟아져 나오던 풍경을 나는 아직도 기억한다. 새까맣게 윤이 나던 단발머리 소녀들이 끝없이 밀려 나오던 수출자유지역 후문 앞... 와르르 쏟아지던 웃음들, 수런수런하게 들리던 그녀들의 목소리들, 옅은 푸른색의 근무복....
『외딴방』은 결국 나의 이야기이고, 아픈 노동의 역사이다. 어깨에 무거운 짐을 지고 천천히 뻘밭을 걸어 가는 낙타처럼 살았던 가난한 장남들의 눈물이고, 웃음 많고 정이 넘치는 누나의 희망일 것이다. 지금 우리의 외딴방은 어디에 있을까? 교무실 창밖으로 햇살이 쏟아진다. 아, 여름이 여름여름하고 있다. ^^
『외딴방』, 신경숙 지음, 문학동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