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잠 못 이룬 적이 있다. 두 살 터울의 언니에게서 항상 작아진 옷을 물려받다가 저만을 위한 새 옷을 샀을 때로 기억된다. 날이 밝으면 친구에게, 선생님에게, 또 나를 아는 모든 사람에게 자랑하고 싶어서였을 거다. 나와 우리 연수와의 인연이 바로 그렇다. 혼자 간직하기에는 너무나 소중하고 아름다워서, 모르는 사람들에게조차 막 이야기해주고, 알려주고, 자랑하고 싶었다. 그런데 그 이야기가 이제 바람대로 돼서 정말로 기쁘다. 함께 하고 싶은 마음에 연수에게 전화를 했다. 전화 너머로 반가움과 그리움이 전해진다. 참으로 예쁜 아이다. 이런 아이가 세상에 또 어디에 있을까? 이유 없이 좋고, 그냥 좋고, 마냥 좋으니 말이다. 나와 연수의 인연은 앞으로도 이렇게 쭉 계속될 것이다. 나와 우리 연수의 아름다운 인연이 작은 희망이 되고 싶다. 교단에서 묵묵히 우리 아이들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해 힘들고 고된 날들을 이겨내시는 모든 선생님에게 말이다.
“선생님!, 정말 정말 축하드려요.”교감이 된 내게, 내가 가장 좋아하는 나의 제자 연수가 보내온 문자다. 그 아이를 만난 건 2013년 9월 1일. 수업을 하고 있는데 조심스런 노크소리가 들렸다. 문을 열고 나가보니,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어머니와 어두컴컴한 복도를 밝힐 수 있을 것만 같은, 유난히도 빛나는 눈을 가진 여학생이 서 있었다. 아빠는 한국인, 엄마는 태국인인 연수는 그렇게 우리에게 왔다. 우리반 아이들의 모든 관심도 뒤로 한 채, 그 아인 항상 조용했다. 수업 중 웃긴 일이 있으면 그냥 배시시 웃을 뿐, 말이 없는 아이. 그래서 연수와 나의 대화는 대부분 일기장에서 이루어졌다. 그 당시에는 학생들에게 일주일에 3번 이상 일기를 쓰도록 했는데, 그냥 의무감에 쓰는 학생들과는 달리 연수는 일기장을 마음을 털어놓는 친구처럼 여겼었다. 처음 한 달 정도까지 연수의 일기는 지금 학교가 낯설다는 것과 예전학교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 찼었다. 소규모 학교에서 작은 수의 학생들이 가족처럼 생활하던 곳이라서 그만큼 그리움도 컸으리라. ‘연수야 우리 학교에 전학 온 것, 그리고 우리 5학년 3반이 된 것 축하해! 우리 잘 지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