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泰山)이 놉다 하되 하늘 아래 뫼히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理) 업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흘 놉다 하나니.” 조선 중기 문신(文臣) 양사언(梁士彦, 1517~1584)이 지은 평시조이다. 잘 알려진 위의 시조에는 열심히 노력하면 할 수 있는데 핑계를 대며 하지 않는 것을 비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어떤 일이든 차근차근 꾸준히 해나가면 결국 성취해 낼 수 있을 것인데, 왜 사람들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는 것일까? 우선 성취에 대한 자기 믿음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럴경우 자기 앞에 주어진 현실적 상황이나 조건이 커 보이고 더 어렵게 여겨질 것이다. 그리고 어떠한 외부 환경보다 자기 내면에 있는 능력이 더 크다는 자기 신뢰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힘들어 주저앉아 포기하고 싶기도 하지만, 결국 힘든 과정을 이겨낼 수 있는 자신의 내면적 힘이 있음을 깨닫는 순간 그 어떤 환경보다도 자신의 능력이 크다는 신뢰를 확인할 수 있다. 끊임없이 올라가면 자신의 능력의 크기가 태산보다 더 크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게 된다. 크고 많음을 비유하는 말로써 태산에 관한 속담도 많이 있다. ‘할 일이 태산 같다.
6월이 되면서 한 학기를 마무리하는 때가 돌아왔다. 3월부터 시작한 한 학기의 기획과 목표가 잘 달성되었는지, 또 뜻하는 일들에 성과가 있는지 염려와 기대가 중첩되는 때이다. 한 학기의 매듭을 짓는 시점에서 어떻게 하면 목표를 달성하는 성공의 삶을 살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인생에 성공의 비결이 있을까? 있다면 그것은 ‘어떤 상황에서든 그때에 맞추어 가장 적절한 최선의 방향과 방법을 찾는 것’ 곧 ‘시중(時中)’을 찾아 노력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공자는 《중용(中庸)》이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했다. “군자가 중용을 실행한다는 것은 군자로서 늘 때에 맞추어 행동한다는 것이며, 소인이 중용을 어긴다는 것은 소인으로서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것이다.”(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 小人之反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군자’는 좋은 사람, 삶을 잘 살아가는 사람으로 ‘소인’은 그 반대이다. 좋은 삶을 사는 원리를 공자는 ‘시중’이라고 한 것이다. 장수하는 사람의 건강 비결에 비유해서 말하면 ‘시중’은 의외로 간단함을 알 수 있다. 때에 맞추어 거르지 않고 필요한 만큼만 식사를 적당히 한다. 잠을 잘 때 잠을 자고, 활동할 때 일을 한다. 생활 속 ‘시중’의 실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