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Higher Education for ASEAN Talents, HEAT)’을 통해 박사학위를 취득한 장학생들을 축하하고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26일 ‘제4회 아세안 교수초청 장학사업 장학생 교류 및 박사학위 취득 축하행사(4th HEAT Scholar‘s Networking Event - Celebration on Acquisition of Doctoral Degrees)’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동대문에서 개최했다. 해당 사업은 ‘한-아세안협력기금(ASEAN-ROK Cooperation Fund, AKCF)’의 지원을 받아 아세안 국가의 석사학위 소지 교원을 한국으로 초청해 박사과정 이수를 돕고 있다. 제1차 사업(2020~2025년) 기간 총 82명(라오스 2명, 말레이시아 1명, 미얀마 7명, 베트남 22명, 인도네시아 33명, 캄보디아 1명, 태국 6명, 필리핀 10명)을 장학생으로 선발해 총 36명의 박사학위를 취득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아세안 국가의 장학생은 한국 대학(강원대, 경희대, 고려대, 이화여대, 전북대, 중앙대)에서 SSCI, SCOPUS, KCI 등재 학술지에 공동 논문을
교육부는 학생 사생활 보호, 주거비 부담 경감을 위해2026년 국립대 임대형 민자사업(BTL) 기숙사 신축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민간자본을 활용해 대학 기숙사를 신축·리모델링 하는 BTL 기숙사 신축은2005년부터 시작돼 총 76개가 운영되고 있다.현재 17개 사업이 추가돼 고시, 또는 공사진행 중인 상황이다. 2026년 사업은 BTL 기숙사 신축·리모델링을 희망하는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적격·타당성 검토 후, ‘시설사업 및 안전 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오는 5월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특히 2026년부터는 기숙사 규모를 결정하는 학생 1인당 기준 면적을 기존 18㎡에서 22㎡로 확대한다. 또한 학생 사생활 보장을 위해 모든 실을 개인침실로 구성하고, 생활관에 학습공간·세탁실·편의점·택배보관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등을 개선 방침으로 내놨다. 박성민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숙사 공급 확대를 넘어, 학생들에게 사생활 보호와 편의성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더 많은 학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주거비 부담 없이 학업에 집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지난해 지정한 글로컬대학 제2기 10개(17개교)에 대한 혁신지원에 나선다. 교육부는 2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원광대-원광보건대와 ‘2025년 제1차 글로컬대학 혁신지원 토론회’(사진)를 개최했다. 이를 시작으로 제2기 글로컬대학 사업 선정 학교들과 순차적으로 토론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날 교육부는 대학 측의 규제혁신 과제에 대해 검토한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해결 전략에 대해 모색했다. 규제혁신 방식으로는 관계법령 및 지침 등 개정, 지방대학육성법상 규제특례를 받을 수 있는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 활용 등 대안을 논의했다. 원광대-원광보건대는 생명산업 중심으로 특성화하고 ‘지산학연병(지자체-산업체-대학-연구소-병원)’ 협력 지구(클러스터) 모델을 구축해 지역산업 혁신을 주도하는 모델을 수립·추진 중이다. 두 대학은 2026년 통합대학을 출범해 대학 내 생명산업 관련 학과들을 생명융합대학(의생명‧농생명‧생명서비스)으로 재편하고, 생명산업 융합 인재 육성과 함께 관련기업 유치‧성장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비수도권 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3년부터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를 추진해 2023년과 2024년 각 10개씩 총 20개(31개
대학과 전문대학 졸업 후 학점은행제 학위를 취득하는 비율이 3년째 증가했다. 직장인 중 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는 57.4%에 달했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25일 ‘2025년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온라인 학위수여식’을 개최한 자리에서 이 같은 내용이 공개됐다. 올해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 중 2만2118명(59.0%)은 대학‧전문대학 졸업 후 새로운 학위 및 자격 취득, 자기계발 등을 위해 도전한 학습자다. 이처럼 대학·전문대학 졸업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현황은 지난 2023년 52.1%에서 2024년 54.7%로 오르는 등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의 경우 일‧학습 병행을 통해 업무 역량을 개발하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이 총 320명(57.1%)으로 나타났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총 3만8059명이 교육부 장관 명의의 학위를 취득했다. 학점은행제 학사와 전문학사는 3만7499명, 독학학위제 학사는 560명이다. 이 중 우수한 성적으로 학점은행제 전문학사(사회복지 전공)를 취득한 6명에게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며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 취득의 꿈을 실현한 14명에게 특별상을 각각 수여했다.
교육부는 24일 서울역 회의실에서 의과대학 학장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2025학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학생 복귀 및 신학기 교육 준비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7일 의과대학 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이하 KAMC)가 정부에 보낸 협조 요청 공문을 바탕으로 학생 복귀 방안과 학습권 보호, 2025학년도 교육 준비 상황을 논의했다. 당시 KAMC는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2025학년도보다 1500명 정도 줄여 2024학년도 정원(3058명) 수준으로 재설정하고, 2027학년도 이후 정원은 의료계와 합의해 구성한 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하는 등 교육부의 지원책을 건의한 바 있다. 이번 간담회에서도 의대 학장들은 정원 3058명 재설정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의과대학 학생 보호·신고센터로 복귀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민원과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들이 마음 편히 학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대학에서의 학습권 보호 등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달라고 요청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올해는 학생들이 복귀하고 의대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정부도 대학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문수(사진) 의원은 교사 포함 교직원 정원 산정 기준을 기존의 ‘학생 수’에서 ‘학급 수’로 변경하는 '초·중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최근 밝혔다. 개정안은 학교에 배치되는 교직원의 정원을 산정할 때 ‘학급 수’를 기준으로 교육 수요 및 교육 여건을 고려하여 정하도록 규정(안 제19조제4항)했다. 교육부 장관이 적정 교직원 확보를 위한 시책을 수립·시행하고, 그 계획과 결과를 매년 국회에 보고하도록 하는 조항(안 제19조제5항)도 신설했다. 현재 교직원 정원은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학령인구가 감소할수록 교직원 수도 자동으로 감축되는 구조다. 그러나 학교 운영과 교육과정 편성은 학생 수가 아닌 ‘학급’을 기준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직원 정원이 줄어들면서 교육 현장에서 운영상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학생 수는 적지만 학급 수가 많은 농산어촌의 교사 수가 부족해 교육 여건이 열악해진다. 농산어촌 및 중소도시의 소규모 학교는 교사 1인당 업무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학생 수가 적더라도 정규 수업 외 다양한 학교 업무를 적은 수의 교사가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중·고교에서는 교사 정원이
교육부와 법무부는 ‘2024년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심사 및 유학생 유치‧관리 실태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하고 “절대평가 결과 인증대학, 어학연수과정, 유학생 수 등이 늘었다”며 “대학에서의 유학생 관리가 체계적으로 정착되는 중”이라고 밝혔다. 우선 교육국제화역량 인증 심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인증대학은 학위과정 158개교, 어학연수과정 103개교다. 2023년의 경우 학위과정은 134개교, 어학연수과정은 90개교였다.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 수는 약 18.2만 명에서 약 20.9만 명으로 2.7만 명이 늘었다. 유학생 유치관리 실태조사 결과 2024년 비자심사 강화대학 중 비자정밀 심사대학은 학위과정 11개교, 어학연수 과정 13개교다. 이 학교들은 2025년 2학기부터 1년 동안 비자 발급이 제한되며, 대학이 희망할 경우 연구재단이 제공하는 상담(컨설팅)을 받을 수 있다.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는 신청 대학을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기준을 통과하면 인증대학 지위를 부여하는 것으로 기간은 최대 3년이다. 매년 점검에서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정부는 인증대학에게 외국인 유학생 사증(비자) 발급을 위한 심사 기준 완화, 해외 한국유학박람회 참여
교육부는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 본부(필리핀)에서 25일(현지시간) ‘아시아개발은행-대한민국(ADB-ROK) 장학금 신설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아시아개발은행-대한민국 장학금’은 지난해 교육부-아시아개발은행 간 업무협약에 따라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사업(GKS, Global Korea Scholarship) 내에 신설되는 장학금이다. GKS는 전 세계 우수 인재를 초청해 국내 대학(원)의 학위 취득을 지원하는 국가장학사업으로 지난해까지 160개국 1만7532명의 해외 우수 인재 선발·지원해 왔다. ADB-ROK를 통해서는 아시아개발은행 협력 대학이 추천하는 우수한 외국인 학생을 최대 50명 선발해 석·박사 학위 과정 이수를 지원하게 된다. 지원 내용은 어학연수비, 등록금, 왕복항공비, 생활비 등이다. 이번 기념 행사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되며, 참석자들은 대한민국 교육부와 아시아개발은행 간 장학금 신설을 축하하고 동반 관계 확대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눈다. 1부에서는 필리핀 바탄가스 주립대 부총장, 스리랑카 켈라니야 대학 부총장 등이 참석해 ‘인적자원개발 및 고등교육 협력’에 대해 논의하
정부 8개 부처(고용노동부·기획재정부·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중소벤처기업부)는 3월 19~20일 서울 서초 ‘aT센터’ 제1전시장에서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전국 고용센터 중심으로 온라인 채용박람회를 3월 10~28일 지역별 채용행사도 개최한다. 지역의 기업과 구직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는 다양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 정부, 경제단체 등이 공동으로 개최한다. 특히 관계부처의 공동 개최는 올해 처음이다.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 6단체는 지난 14일 민생경제 점검회의에서 이번 채용박람회를 적극 지원하기로 한 바 있다. 관련 부처에 따르면 이번 박람회에는 약 120개의 산업별 주요 구인기업이 참여해 현장 면접을 하거나 채용계획 등 정보를 제공하며, 8개 분야(정보통신, 문화콘텐츠, 월드클래스 중견, 외국인투자, 바이오헬스, 해외취업, 청년친화‧일자리으뜸, 중소벤처)의 담당 부처가 참여기업을 섭외하고 꾸민다. 다양한 부대행사도 운영한다. 채용박람회에 참여하는 청년 등 구직자에게 고용센터 직업
경인교대(총장 김창원)는 지난 14일 경기캠퍼스에서 ‘2024 전국 교대 공동교육혁신센터 성과포럼’을 개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번 성과포럼은 전국교원양성대학교 총장협의회(교총협) 운영 규약에 따라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성과 창출 및 2024년 공동개발한 정책 연구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12개 회원교 기획처장 및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2024년 공동개발 사업 및 연구는 번역사업에 참여한 청주교대 등 총 5개 대학이 6개 과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이날 포럼에서는 ▲실험실습실 안전관리 업무매뉴얼 개발 연구(경인교대) ▲늘봄학교 성공적 안착을 위한 지원체계 방안 연구(대구교대) ▲국립대학 부설초등학교 운영 개선방안 연구(부산교대) ▲학생 선택권 강화를 위한 학생 운영 유연화 방안 연구(전주교대) 등발표가 진행됐다.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각 대학 기획처장들이 패널로 참여해 전국 교원양성대 공동교육혁신센터의 혁신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심창용 경인교대 기획처장은 “교원양성기관 및 미래교육에 대해 논의하고 교육회복을 고민하게 되어 뜻깊게 생각한다”며 “오늘 공유된 성과가 진정한 교육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교육부와 동북아역사재단은 21일 ‘디지털 독도체험관’(https://zep.us/play/R5dPlZ)을 개관하고 "독도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독도교육 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독도체험관을 구축·완료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독도체험관에서는 17개 시·도교육청의 독도체험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독도의 지형을 탐험하는 ‘독도 탐험대’, 독도의 역사를 학습하는 ‘독도 역사지킴이’ 등 독도의 역사·자연을 주제로 한 게임도 경험할 수 있다. 디지털 독도체험관은 별도 프로그램이나 앱 설치 없이 컴퓨터·휴대폰에서 접속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ZEP’을 활용한 덕분에 손쉽게 접속이 가능하다. 확장 가상세계(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마련돼 현장 방문을 하지 않아도 독도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함께 교원에게 디지털 독도체험관을 활용한 교수·학습과정안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 온라인 전시관(https://www.nahf.or.kr/dokdomuseum/index.html)에서는 △독도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 △기획전시 ‘동해의 갈라파고스, 울릉도와 독도’를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제공한다. 교육부와 동북아역사
올해 새 학기부터 학교에 도입되는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의 선정 비율은 전체 학교 중 32.3%로 드러났다. 가격 협상은 총 76종 중 74종의 합의를 마쳤다. 교육부가 올해 3월부터 도입 예정인 AIDT에 대해 학교별 자율적 선정을 진행한 결과 17일 기준으로 전체 학교 중 32.3%가 선정한 것으로집계됐다. 대구가 98%로 가장 높았고 강원(49%), 충북·경북(45%) 순으로 나타났다. 세종이 8%로 최저를 기록했고, 전남과 경남도 각각 9%, 10%에 그쳤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AIDT 선정을 위해 학교에서 교과협의회와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추가 선정을 통해 학교 선정 비율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교육부는 국회 등 현장 의견을 고려해 올해 전면 도입 대신 희망하는 학교에 한해 자율 선정하도록 한 바 있다. 또한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정부협상단을 구성해 발행사와 5차에 걸친 가격협상을 진행한 결과 20일까지 총 76종 중 74종의 이용료를 합의했다. 가격은 AIDT 이용료와 클라우드 이용료로 구성되는데, 이중 클라우드 이용료는 합의되는 대로 현장에
정부가 169억 원을 들여 대학 수준의 온라인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는 ‘온라인 공개강좌 사업(K-MOOC, 케이무크)’에 성인을 위한 ‘재직자 인공지능·디지털(AID) 집중과정’을 추가하기로 했다.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1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온라인 공개강좌 활성화 사업 기본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AID 30+ 집중캠프’(2024.10.16.) 방안의 후속조치로 올해 처음 시행되는 사업이다. 2015년 시작돼 대학 수준의 온라인 강의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케이무크에 AID 집중과정을 추가하는 것이다. 지난 2015년 시작된 케이무크는 2018년부터는 기업과 교육기관이 함께 단기 직무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매치업(Match業) 강좌를 추가하는 등 총 2897개 강좌를 개발·운영해 누적 수강신청 건수는 411만 건(2024.12.기준)이다. 교육부는 이번 사업에 대학생 및 재직·구직자 등 대상으로 대표기업-교육기관의 협업으로 신산업·신기술 분야 핵심직무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매치업 강좌의 신규 연합체(컨소시엄)를 3개 선정·지원하고, 케이무크 지역중심형 강좌 1개와 개별강좌 5~6개 내외도 지원한다. 지
교육부가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과 관련해 교원 양성 단계부터 현직 교원까지 마음건강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교총은 교육부의 방향에 대체로 공감하면서도, 교원 정신건강의 근본적 저해 요인 해결 부분도 병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교육부는 지난 10일 대전의 한 초교에서 1학년 학생이 사망하는 사건 발생에 대한 대응방향을 18일 발표했다. 전날 당정협을 통해 발표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을 담은 내용이다. 당정협 당시 교육부는 긴급 상황 발생 시 학교장 판단하에 분리 조치 및 긴급대응팀 파견 등 조치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하늘이법’ 추진, 전체 교원 마음건강 지원, 귀가 지원 인력 강화, 사각지대 CCTV 추가 설치, 학교전담경찰관(SPO) 증원 등을 내놨다. 이날 교육부가 공개한 내용은 전달 당정협에서 교원 전반에 대한 '마음 관리'를 구체화한 것이다. 대부분의 대책은 국회, 경찰청, 시·도교육청 등과 협의가 필요하지만 교원 마음 관리는 교육부가 자체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원 양성 단계에서 교직적성 및 인성검사 개선, 신규교원 채용 시 임용시험 교직적성 심층면접(2차) 강화, 재직교원의 마음건강 상태 파악 및 지원을
감사원은 지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사교육업체로부터 5000만 원 이상의 고액 수취 교원의 문항 거래 행위를 중점 점검한 결과 교원 249명이 재산상 이득을 취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날 감사원은 지난 2023년 교원과 사교육업체 간 문항 거래 등의 문제가 지속 제기됨에 따라 공교육의 신뢰성 회복 및 교원의 복무 기강 확립 차원에서 3개월간 진행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그 결과 249명의 교원이 2018년부터 2023년 6월까지 사교육업체와의 문항 거래를 통해 212억9000만원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가공무원법, 사립학교법,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된다. 이 중 29명에 대해서는 비위 정도가 중하다고 판단해 징계요구 등을, 나머지 220명에 대해서는 교육부에 적정 조치할 것을 각각 통보했다. 결과 통보를 받은 교육부 관계자는 “관련자 조치는 관계 기관과 협의해 추진 예정”이라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지도 감독을 철저히 하고, 제도개선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감사원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출제 과정에서 사설 모의고사와의 중복 여부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은 데 이어, 이에 대한 이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