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칼럼] 콩글리시와 자랑스러운 학생들

“왜 자녀를 영어공부에 매달리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곧 세계 누구를 만나더라도 그 나라 언어로 실시간 통역해 주는 기기가 나올 텐데요.” 오래전부터 제가 학부모 대상 강의를 할 때마다 한 말이었습니다. 근데 최근에 그런 기기가 정말로 상품화되었다는 놀라운 뉴스를 접했습니다.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했기 때문이 아닙니다. 누구라도 한 번쯤 상상할 수 있는 미래이니까요. 그 미래가 바로 2023년이 지나기 전이라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인공지능(AI)과 챗봇·챗GPT는 미래가 다가오는 속도를 가속시키고 있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발명품이 등장하고 우리의 생활방식을 바꿔놓고 있습니다. 신기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합니다. 스마트폰이 지닌 기능을 아직도 두루 활용하지 못하는 판국에 새로운 기능이 탑재되었다니 주눅부터 듭니다. 외국어 학원의 미래도 걱정됩니다. 우리 학생들도 마냥 기뻐할 일은 아닙니다.

 

아무래도 요즘 학생의 미래는 둘 중 하나가 될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위에서 여유부리며 살거나 인공지능 밑에서 여지없이 살거나 입니다. 명문대를 졸업했어도 후자로 살아갈 확률이 높은 시대가 돼버렸습니다. 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이 20년 전부터 예고한 ‘노동의 종말’과 ‘잉여인간’ 같은 무서운 말이 현실이 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저는 잉여인간이 되는 것을 거부하기에 일부러 매일 챗봇을 부립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가장 먼저 챗봇한테 지시를 내리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마치 200년 전 미국 서부의 골드러시 시대에 마차를 잘 부리면 가장 먼저 유용한 지역을 차지했듯이 오늘날 챗봇을 잘 부리면 가장 먼저 유익한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차는 말이 이끌 듯이 챗봇도 말(질문)이 이끕니다. 말의 질이 얻어지는 지식의 질을 결정합니다.

 

챗봇에 영어로 질문하는 게 유리합니다. 인터넷 세계에 저장된 문서 중에 한국어로 기록된 건 1% 정도인데 이보다 50배 이상이 영어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제 한국어로도 방대한 지식 창고를 열 수 있으니 이 얼마나 다행입니까.


그러니 이 칼럼의 목표는 지금 학교에서 학생에게 영어(잉글리시)를 가르칠 것인가 아닌가를 논하고자 하는 게 아닙니다. 저는 잉글리시는 저물고 콩글리시가 뜨는 언어임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굳이 여기에서 이 사실을 밝히는 이유는 콩글리시 발명가들이 학교에 많이 모여 있기 때문입니다.


챗봇은 알려줍니다. “사전에 가장 많은 말(단어)이 수록되어 있는 국가는 한국”이라고 합니다. 어느덧 한국어가 영어를 제치고 당당하게 1위를 차지한 것입니다. 영어는 본래 앵글로색슨에 이어서 스칸디나비아(바이킹)·그리스·라틴·프랑스·독일·아라비아 등 수많은 주변 국가의 언어를 수입해서 풍요로워졌고 세계 최고로 많은 어휘력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그러니 영어는 거대한 언어적 짬뽕의 결과물입니다.

 

어휘력 사이즈는 개념 세계의 영토 크기입니다. 그러니 영국은 세계 곳곳에 유니언잭을 날리기 전에 먼저 개념 세계 여기저기에 깃발을 꽂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이제 한국어가 영어의 자리를 꿰차게 되었습니다. 한국어가 영어보다 수용력과 포용력이 훨씬 더 넓어진 언어가 되었습니다. 아마 K-문화가 세계로 뻗어 나가는 현상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한국어의 어휘력이 이토록 풍부해진 것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짬뽕이기 때문입니다. 순우리말에 한자 기반 단어, 불교 기반 산스크리트어, 일본식 한자어를 비롯하여 영어가 엄청나게 추가되었습니다. 한국어 사전에 수록된 단어 중에는 컴퓨터·스마트폰·챗봇·뉴스·아파트·셀프·오렌지·커피·트로트 등 영어를 그대로 한글로 표기한 단어들이 넘쳐납니다. 이런 단어들을 사용하지 않고는 일상생활이 거의 불가능해진 지 이미 오래되었습니다. 일부 단어는 시골 할머니와 할아버지들도 다 아는 단어들입니다.

 

하지만 이런 단어는 사실상 잉글리시가 아니라 콩글리시입니다. 영어권 사람에게 콩글리시를 말하면 그게 무슨 말인지 잘 알아듣지 못합니다. 한국을 강타하고 있는 ‘트로트’란 단어나 시도 때도 없이 외치는 ‘화이팅’이라는 단어도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의미와 달라도 너무 다릅니다. 심지어 식당에서 통용되는 ‘물은 셀프’라는 말은 오로지 한국에서만 이해되니 영어가 아니라 한국어로 보는 게 합당합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가 영어권에 귀속된 게 아니라 반대로 영어 단어가 우리 문화의 일부가 돼버렸다고 생각합니다.


영어 단어를 우리말로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태세를 한탄할 필요가 없습니다. 한국어는 콩글리시 이전에 오래전부터 ‘쭝글리시’를 애용해 왔으니까요. 한국어의 절반 정도는 한자 기반 단어들이지만 모두 중국어를 직수입한 것이 아닙니다. 일부는 고려와 조선에서 만들어진 그 시대의 콩글리시인 셈이며, 저는 그걸 ‘쭝글리시’라고 칭합니다.

 

챗봇이 전해주는 정보를 언어학자·인류학자·고고학자는 가소롭게 여길 수 있겠지만 종합해 보면 한자 기반 단어들 일부가 쭝글리시라는 결론에 도달됩니다. 중국어는 80%가 단음절이며, 하나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가 압도적으로 많은 게 중국어가 다른 언어와 다른 독특한 특성입니다.

 

이와 반대로 한국어는 80%가 두 음절로 이루어졌는데 이 또한 한국어의 특성입니다. 그래서 저는 두 음절로 이루어진 한자 기반 한국어는 한 음절짜리 중국어 두 단어가 한국에서 조합된 신조어 쭝글리시일 확률이 있다고 추측합니다. 마치 한 음절 영어단어 캔(can)이 두 음절 단어인 ‘깡통’이라는 콩글리시가 되었듯이 말입니다.


한자 기반 단어 중에 ‘쟁글리시’도 있습니다. 19세기 말에 앞서가는 서양의 개념을 일본이 한자 기반 단어로 번역한 게 일제 강점기에 한국에 그대로 유입된 단어임을 강조하기 위해 제가 재패니즈와 잉글리시를 합쳐서 콩글리시 형태로 급조한 단어입니다. 대다수 이공계와 사회과학 계열 학문적 기본 용어가 ‘쟁글리시’입니다. 사실 깡통도 일본을 통해 들어온 쟁글리시입니다.

 

평소 우리는 쭝글리시와 쟁글리시를 다 한국어로 인식하고 매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유별나게 콩글리시만 다르게 취급할 이유가 없습니다. 오히려 콩글리시를 선호할 수밖에 없는 이유마저 생겼습니다.


세계적으로 ‘오리지널 한자’(번체)가 사라지는 추세여서 한자 기반 쭝글리시와 쟁글리시는 더 이상 뜻풀이와 뉘앙스를 알 수 없게 돼버렸습니다. 그래서 용어의 뜻과 맥락을 정확하게 전달할 필요성 때문에 점점 콩글리시로 대체되고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필요가 발명의 어머니라고 하지 않던가요. 이처럼 신조어는 현존하는 단어를 그냥 대체하는 게 아니라 새롭고 정확한 개념을 추가해 줍니다.

 

언어는 살아 있는 문화입니다. 변하고 진화되고 적응하고 창조되는 생태계입니다. 그래서 콩글리시를 황소개구리나 배스처럼 토종을 밀어내는 외래종과 비교하지 말아야 합니다.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파괴하기보다는 유연함과 다양함을 강화해서 생존력을 높여줍니다. 저는 콩글리시를 우리말을 혼탁시키는 외래어로 여기지 않고 되레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우리의 발명품으로 환영합니다.


제가 서구에서 해외생활을 오래 했기 때문에 콩글리시를 너무 쉽게 수용하는 게 아닙니다. 저희 선친은 일제 강점기에 한국어 말살 정책에 맞서 투쟁하신 애국지사입니다. 특히 우리말을 사랑했던 윤동주 시인과 같은 시기에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살이를 치렀습니다. 그래서 저도 우리말을 각별히 사랑합니다. 특히 순우리말은 오묘하고 신기하다 못해 신비로운 면이 있다고 여깁니다. 그래서 꼭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하지만 저는 콩글리시도 우리말이라고 믿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콩글리시와 신조어를 창조해 내는 학생들이 자랑스럽습니다. 신조어와 언어유희를 즐기는 학생들, 더욱더 힘내주세요. 화이팅!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