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3 (월)

  • 구름조금동두천 0.8℃
  • 흐림강릉 3.7℃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4.6℃
  • 구름조금대구 3.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4.7℃
  • 맑음고창 5.4℃
  • 구름조금제주 8.5℃
  • 구름많음강화 1.1℃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4.2℃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어머니의 부엌

시골집 부엌은 100년이란 시간의 저장고이며 어머니의 기도가 있는 곳이다. 설을 앞두고 잘 찾지 않던 시골집을 찾았다. 페인트가 벗겨져 녹슨 철 대문엔 시간이 멈춰 있다. 대문을 들어서자 얼고 녹기를 반복하여 푸석푸석한 흙 마당에 발자국이 드러난다. 마치 달나라에 처음으로 발자국을 찍은 셈 같다. 이 마당은 타작도 하고 곡식도 말리고 때로는 구슬치기하는 유년의 놀이터였다. 고개를 들어 지붕을 본다. 빛바랜 주황색 슬레이트 지붕엔 뒤란 대숲을 스친 골바람, 새소리만 미끄러진다. 인적이 머문 지 오래된 집은 기운을 잃어가고 있다.

 

삐거덕, 비명을 지르는 마찰음과 함께 가난한 시간이 늙어서 들어찬 두 짝의 정지문을 연다. 침침한 실내는 눅눅한 이끼 냄새와 적막이 흐른다. 투사처럼 머리에 수건을 두르시고 결연한 의지로 아궁이에 불을 지피신 어머니의 모습은 없다. 대신 거미줄 사이로 새어 나오는 음산함과 입 벌린 아궁이에서 나오는 죽은 재 냄새, 식은 반찬 모여있는 찬장에서 기억되는 시큼한 김치 냄새뿐이다. 세월의 더께를 쓴 부엌은 조리와 난방이라는 제 기능을 잃어버리고 창고가 되고 말았다.

 

 

시간을 거슬러 본다. 유년의 부엌은 눈물 콧물도 있고 먹거리와 어머니의 기도가 스며있다. 요즘처럼 추운 날이면 따뜻함이 생각난다. 겨울철 하루는 참 무료했다. 하지만 짧은 낮 솰그랑하는 가마솥 뚜껑 소리가 울리면 쪼르르 부엌으로 달려가 어머니께서 아궁이에 불 지피는 것을 도우며 부지깽이로 장난을 치기도 했다.

 

함석 물동이로 우물에서 이고 온 물을 가마솥에 갸웃이 부리면 아늑하게 움푹 팬 아궁이 앞에 짚방석 깔고 앉아 솔가리를 밀어 넣는다. 통 성냥 한 개비 뽑아 불당기면 푸른 기운 머금고 뽀얀 연기가 피어오른다. 톡톡 타닥 바늘잎 터지며 쌉싸한 상큼한 솔향이 터진다. 하지만 청솔가지를 아궁이에 넣을 때면 나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꽁무니를 뺀다. 굴뚝이 역할을 하지 못해 불길이 부엌 쪽으로 역류하며 나오는 연기는 눈물 콧물 범벅을 만든다. 이런 매캐한 청솔가지 연기가 가슴 앞섶에 스며도 눈 깜짝이며 지우던 눈가의 물기, 어머니는 수심의 빛 눈썹 끝에 서린 재처럼 고생을 가라앉히며 긴 한숨 내쉬셨다.

 

부엌에는 어머니의 옛 맛이 스며있다. 70년대 가난한 시절엔 구호 물품 밀가루가 주된 식량이었다. 칼국수를 만드는 날에는 신이 났다. 밀가루 반죽을 홍두깨로 방석처럼 밀고 밀가루로 덧칠하여 접어서 칼질하는 어머니는 한석봉 어머니보다 더 잘 썰어 내셨다. 엄마 조금만 조금만 하며 결국은 큰 국수 꼬랭이를 얻어서 솔가리 잿불을 앞으로 조금 꺼내 얹으면 금세 살아서 꿈틀꿈틀 부풀어 올랐다. 수포 끝이 노릇하게 구워지는 것은 잠시뿐, 구운 밀가루 빵은 요즘 빵에 비교할 수 없이 맛있었다. 그리고 여름철이면 말린 갈치를 구워 무침을 할 때면 어머니 옆에 보채고 앉아 있다. 그러면 아시는 듯 가시 없는 뱃살 부분을 죽 찢어 주신다. 나중에 가시 있는 부분은 아버지 상에 올라갔다. 그 맛은 구운 오징어도 따라오지 못한다.

 

 

부엌에는 어머니의 애한이 있다. 모시 베 길쌈을 하셨던 어머니는 여름철이면 부엌 바닥에 앉아서 모시를 삼으셨다. 밖은 무더위지만 물동이가 있고 습도조절이 잘 되는 흙벽에 바람이 잘 통하는 그곳이 시원해서 그러셨다. 모시를 삼으시면서 흥얼거리는 곡조에는 열여덟에 시집온 가난한 세월의 신세 한탄과 아픔이 녹아 있었다. 나중에는 엄마 그 소리 청승맞다며 듣기 싫다고 짜증까지 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마음을 알 것 같다. 이런 부엌에도 웃음꽃이 필 때가 있으니, 그것은 명절이었다. 커다란 돌 세 덩이 가져다 부엌 바닥에 놓고 가마솥 뚜껑 거꾸로 놓고 그 밑에 불을 지펴 부쳐 먹는 부침개는 정말 맛이 있었다. 밀가루에 사카린을 넣은 하얀색 부침개는 언제나 아들인 내 몫이었다.

 

텅 빈 아궁이 세월의 때를 토해내듯 검게 그을린 부엌은 어머니의 사랑과 기원을 품고 있다. 지금도 가마솥 부근에는 조왕신께 물을 떠 올려놓는 흙으로 만든 원통의 턱이 있다. 조왕신은 가택신으로서 부엌과 불씨를 지키는 여신으로 각시나 할매라 일컫기도 한다. 이 조왕신은 가마솥 밥이 잘 익게 해 주고 누룽지도 만들어 주며 한겨울에 구들장에 엉덩이를 지질 수 있게 해 준다.

 

자식은 어머니의 훈장이다. 어머니는 희끄무레 날이 밝기 전 정지문도 없는 휑한 부엌 앞 가지런히 늘어선 장독 위에 정한수 한 그릇 담아 놓고 객지에 나간 자식의 안녕을 비셨다. 부엌의 조왕신 물그릇과 장독대 정한수 한 그릇에 담긴 어머니의 정성은 바다보다 더 넓고 깊다. 하지만 어머니 떠난 지금 부엌 옆 장독대는 먼지를 뒤집어쓴 채 윤기는 찾을 길이 없다. 다만 자식을 향한 가슴에 피는 소망의 불꽃, 가난과 어려움을 사랑으로 녹이신 그 마음만 스며있다.

 

 

설을 앞두고 있어서일까? 서걱거리는 뒤란의 대숲 바람과 문 앞 미나리꽝으로 샘물 넘쳐흐르던 고향집이 그리워진다. 가난을 계급장처럼 달고 다닌 그 시절 부엌은 가족을 지킨 어머니의 기도와 사람을 묵는 가족의 중심이었다. 부엌을 바라보면 어머니의 사랑과 그리움이 밀물처럼 밀려와 가슴을 적신다. 어머니와 정의 중에서 하나를 택하라면 어머니를 택하겠다는 카뮈의 말에 공감이 간다.

 

어머니는 부엌이었고 부엌은 어머니였다. 부엌은 가족을 먹여 살리는 성단이었다. 설이 다가온다. 부모님이 살아 계신다면 큰 행복이다. 요즈음 자식들은 고향집에 와서 컴퓨터나 핸드폰만 보고 간다고 하는 데 부모님 마음 한 번 훑고 가면 참 좋겠다. 어머니의 부엌은 영원히 가슴속에 흐르는 눈물의 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