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제35회 한·일교육연구발표회가 개최됐다. 이 자리에서 20여 명의 교육 대표는 양국의 교육 현황과 문제를 공유하며 서로의 고민을 나눴다. 불현듯 10여 년 전, 귀국학생 특별학급 담임교사로 재직할 당시, 일본 학생과 한국 학생 간 갈등을 경험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특히 ‘독도’ 문제는 아이들 간 정서적 벽을 더욱 두텁게 해 정착 과정에서 힘들었던 아이들에게 지금까지도 미안함이 남는다.
교권 추락 경험 공유 안타까워
역사적 사건에 대한 책임은 중요하지만, 한일 간의 교류는 별개로 이뤄져야 한다. 교류를 통해 우리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그에 따라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번 발표회는 그런 의미에서 중요한 계기가 됐다. 국가적,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교육 여건과 교원 처우의 실태 및 개선’이라는 주제로 공교육 회복을 위한 교육자들의 만남이 이루어진 것은 고무적이었다.
우리는 서로 다른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교권 추락, 낮은 교원 처우, 업무 과중 등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다. 한국 발표에서는 2006년 일본 도쿄의 한 초등교사 사망사건과 2023년 서이초 사건을 언급하며 교권 보호를 위한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려운 교육 현장을 지적했다. 일본 교사들도 이에 공감하며 함께 마음 아파했다. 교사로서의 자존감이 상처받고, 교사에게 민원을 제기하는 ‘몬스터 페어런츠’로 인한 압박이 커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일본의 디지털 대전환 시대(DX)에 대한 논의는 매우 흥미로웠다. 일본은 업무 방식 개혁으로 재교 시간이 단축됐음에도 교사들의 실제 업무 시간은 여전히 줄지 않았다는 점에서 양국의 공통된 고민이 드러났다. 반면 일본에서는 ‘Bring Your Own Device’(BYOD) 정책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태블릿을 구매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는데 이는 우리와 확연히 다른 양상이었다. 학생에게 책임감을 부여하는 것이 교육 현장에서의 새로운 도전 과제로 제시됐으면 한다.
대한민국은 뛰어난 디지털 인프라와 우수한 교사진을 갖췄음에도, 왜 이렇게 힘든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일까? 학교를 지키기 위해서는 학생 인권과 교권의 대립이 아니라, 교사와 학부모의 상호 신뢰를 바탕이 중요하다. 우리보다 앞서 교권 추락을 경험했던 일본은 초·중학교에서 등교를 거부하는 아동이 3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과연 이 아동들에 대한 책임은 누가 질 수 있을 것인가. 이러한 문제들이 우리에게도 반복될까 두려움이 느껴졌다.
교육 동반 성장 기회로 삼아야
양국 간 왜곡된 시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이 절실하다.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다.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과정이다. 앞으로도 한일 간의 교육 교류가 지속되어 서로의 고민을 나누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기를 바란다. 이러한 협력이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초석이 될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