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토)

  • 맑음동두천 -3.2℃
  • 맑음강릉 0.1℃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1.4℃
  • 맑음대구 1.5℃
  • 맑음울산 1.4℃
  • 맑음광주 -0.7℃
  • 구름많음부산 2.5℃
  • 구름조금고창 -3.0℃
  • 구름많음제주 2.9℃
  • 맑음강화 -2.8℃
  • 맑음보은 -1.6℃
  • 맑음금산 -1.0℃
  • 구름많음강진군 0.2℃
  • 맑음경주시 1.7℃
  • 구름많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세상 밖으로 날아간 명화(名畵)’를 만나다

2.17∼22 수원 노송갤러리에서 개인전 여는 오명화 화가

 

시인이 화가가 된다면? 그 시인 화가를 만난다면? 작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정말 물어볼 말이 많다. 실제로 그런 화가를 만났다. 장안구민회관내 노송 갤러리에서 그 주인공을 만났다. ‘세상 밖으로 날아간 명화’ 2025 오명화 개인전이다. 명화(名畫)와 명화(明和)라? 우리말로 보면 동명(同名)이다. 개막 첫날 아침, 주인공은 개막 준비하느라 작품 배치와 전시에 여념이 없다.

 

2018년 노송갤러리에서 ‘쉼표전 1’을 시작으로 이번이 열한 번째 갖는 개인전이다. 추상화 20점, 스케치 20여 점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이 전시회에 가면 ‘추상화는 어려운 것’이라는 사회 통념을 깰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된다. 작가의 작품 설명을 들으면 귀에 쏙 들어오는 추상화 감상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추상화를 가까이하는, 추상화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다.

 

이런 전시회를 하필이면 엄동설한에? “겨울 동백 피우기까지 기나긴 겨울밤 어스름 여명의 빛으로 너와 눈싸움하며 시름을 잊는다” 개인전 준비하며 잠깐 사이에 그에게서 나온 한 편의 시(詩)다. 개인전을 준비하는 그 자체가 행복하다. ▲동상이몽 ▲흐르는 시간을 붙잡는 Sketch ▲바라봄 ▲밀고 당기는 사이 ▲보통의 하루가 쌓인 시간들 1,2,3 ▲페르소나 1 ▲페르소나 2 ▲이상을 향해 ▲지구인의 하루 ▲너는 꽃이야 ▲시원(始原)의 춤 등 이번에 전시된 작품명이다. 도대체 어떤 작품일까? 궁금증으로 인해 전시장으로 달려가고 싶다.

 

 

이 중 화가가 가장 애정을 갖는 추상화 작품은 ▲시원(始原)의 춤 ▲지구인의 하루 ▲너의 미소. 여기 있는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데 무려 3∼4개월이 걸렸다. 힘들면 쉬기도 하고, 책을 읽기도 하고 두뇌 속 순환과정을 거치기도 하고 생각이 막힐 땐 소품작에 잠시 손대기도 했다.  그의 스케치 작품 소재는 매일 일상 속 오고가는 풍경과 삶 속이다. 문득 떠오르는 생각을 메모한 후 적용한다. 추상화의 경우는 막연하게 생각이 떠오르는 것을 붓끝 움직임에 따라 상상이 이어진다.

 

오명화 화가는 관람객에게 작품 감상 방법을 조언한다. 정답을 찾으려 하지 말라는 것이다. 작품은 ‘답정너’가 아니라는 것.  “추상은 무의식의 흐름에 따라 터치과정을 반복한다. 완성이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그런 과정 속에서 우연의 만남이 교차하기도 하는 어떤 교감이 일어나는 과정”이라며, “관람자와 함께 생각이 교차할 때 진정한 공통분모를 만나는 것, 확장하고 조합하며 비껴나는, 조화로운 색의 대비 속에서 마치 숨바꼭질하듯 찾아가면 된다”고 한다.

 

오명화 화가는 시인이다. 독서문화활동가, 수원시작은도서관협의회 회장, 독서인문학 강사, 수원어반스케쳐스다. 국문학을 전공한 시인이 어쩌다가 화가가 되었을까? 전시장엔 오 시인의 ‘침묵의 시(詩)’도 볼 수 있다. 2024년 하반기 수원시 버스정류장인문학 글판 수상작이다. 그는 2023년과 2024년 여기에서 네 번 수상했다. 작가의 약력 대신 등장한 ‘나는 무명인! 당신은 누구세요?’(에밀리 디킨슨 작)라는 시(詩)는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

 

 

오 화가의 말이다. “막연하게 생각만 하고 꿈꾸었던 일들이 어느 날, 쓰나미 같은 파도로 날 덮쳤다. 어렸을 때 만화그림 따라 그리기를 좋아했던 소녀는 ‘한 가지 재능만 가져야한다’는 고정관념 속에 살아왔었다. 일하면서 그림을 그린다는 것이 쉽지 않았다. 관심만 있었다. 우연히 문화센터에서 ‘현대미술추상’을 만났다.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추상이 좋았다. 봄빛처럼 찾아온 스케치도 흑백에 칼라를 입히는 순간 그림이 내게 말을 걸어오기 시작했다.”

 

그는 뭔가를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은 때란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했다. 예술향유자로만 살아왔던 인생은 결국 모든 것이 예술로 통한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2018년 마치 오랜 시간 소식 없던 친구가 찾아오듯이 그에게 그림 친구가 생겼다. 그는 자신의 추상화에 대해 생각한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있을까? 그저 발상의 전환, 발견하고 느끼고 그 느낌을 표현하는 것이다. 추상이 그렇다. 맞다. 내 그림이 그렇다.”

 

 

그가 이번 2025 개인전을 갖는 이유로 “행위의 반복과 정신, 물성이 다른 것끼리 조합하고 분리해보고 생각하는 예술, 생각을 토해낸 것들을 무(無)로 돌리는 단순화, 선과 선이 교차할 때 미지의 길이 되고, 동그란 파장(波長)은 낯선 동경으로 퍼진다. 가치를 잃은 것들이 추상으로 다시 태어나 사이사이에서 밀어내기도, 마음 위에 마음(collage)이 겹치기도 한다. 바라봄과 마주봄, 돌아서는 시선 끝에서 느낌이 다른 어떤 신비로움. 집중을 통해 묵상하듯 나를 비워내고 지워내는, 치유의 과정으로 날 찾고 싶었고 널 만나고 싶었다”고 고백한다.

 

오 화가의 계획은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그림을 통하여 내 삶을 성장시키고 삶이 익어가게 하는 것이다”라며 “새로운 세계에 도전하는 삶을 즐기겠다”고 한다. 수원시민들에게도 “자신이 현재 위치에서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보라고 한다. 여기에서 남과의 비교는 금물이다. 마음에 드는 여러 방법으로 자신을 표현하다 보면 행복에 도달하게 된다. 내면의 세계가 행복한 삶을 꿈꾸라”고 조언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