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은복 경남 관동초 교사는 장기재직휴가 기간 중인 27일 김해신안초를 찾아 3·4학년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저서 『보석동굴』을 선물하는 재능기부 북콘서트를 진행하였다.

올해 처음 도입된 장기재직휴가는 교사들이 학기 중에도 건강증진과 재충전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다. 그러나 구은복 교사는 개인 휴식 대신 평소 찾아가기 어려웠던 타 학교 학생과 교사를 만나기 위해 이 기간을 전적으로 나눔 활동과 강연, 책 기부로 채우고 있다.

이날 북콘서트에서 김해신안초 학생들은 시청각실에서 한 시간 동안 책을 선물 받고, 각자의 장점과 보완해야 할 미덕을 찾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자신의 꿈을 성찰하는 활동까지 이어지며 학생들의 호응이 매우 높았다.
안지향 김해신안초 교사는 “책의 저자가 직접 학교에 방문해 북콘서트를 연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번개처럼 신청했고, 우리 반이 선정되는 행운을 누렸다”며 “아이들이 책을 선물 받고 기뻐하는 모습을 보니 교사로서도 큰 보람을 느꼈다”고 소감을 전했다.
또한 김○○ 학생(4학년)은 “선생님께서 들려주신 이야기를 듣고, 나도 내 장점 미덕을 찾아 반짝이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다짐이 생겼다”고 말했다.

구 교사는 이날 오후와 지난 24일에도 김해신안초에서 경남 관내 초등교사 42명을 대상으로 북콘서트를 진행하며 책을 선물하였다.

23일에는 진영금병초에서 교사들에게 『보석동굴』 60권을 전달하였으며, 28일에는 마산상남초 교사를 대상으로 북콘서트를 열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장기재직휴가 기간에는 학기 중 여행이나 개인 휴식을 계획하는 경우가 많지만, 구 교사는 5학년 담임으로 평소 2시 30분 이전에 학교를 비우기 어려웠던 상황을 고려해 “휴가 기간만큼은 더 많은 학교와 학생들을 만나고 싶었다”며 여러 학교를 직접 방문하며 책 나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만 하더라도 구 교사는 관동초, 내서초, 진주초, 마산상남초, 교동초, 태룡초, 대청초, 김해신안초 학생 및 교사에게 자신의 책을 선물했으며, 방학과 주말에는 김해신안초·관동초·대청초 돌봄교실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적으로 북콘서트를 진행해 왔다.


또한 자신이 회장으로 활동 중인 경남 소외계층 영재키움 프로젝트 행사에서도 학생과 멘토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북콘서트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난 10월 18일 경남테크노파크에서 열린 행사에서는 학생 및 멘토 교사 모두에게 『보석동굴』을 선물하며 진로·정서적 성장을 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현재까지 구 교사는 1000권이 넘는 책을 직접 구입해 기부했으며, 50회 이상 재능기부 강연을 진행하였다. 2025년 대한민국 수업혁신 교사상을 수상할 만큼 뛰어난 전문성을 갖춘 명강사로, 연 50회 이상의 강의를 진행하고 1회 강사료가 최소 20만 원 이상임에도, 소외계층 학생·학교 및 교육적 의미가 큰 자리에서는 대부분 재능기부 형태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책으로 이익을 얻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아이들이 책을 통해 자신의 꿈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 구 교사의 신념이다.
특히 주말에는 KTCS와 함께 디지털 새싹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힘쓰고 있다. 이 활동을 통해 받은 강사료는 모두 자신이 MOU를 맺고 지속적으로 봉사해 온 지역 아동센터에 전액 기부해 오고 있다.
연말에는 사회복지시설 기부가 줄어들어 활동이 어려워지는 점을 알고 있어 “아이들이 조금이라도 더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돕고 싶다”며 강사료 기부를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구 교사는 앞으로도, 2025 수업혁신 교사상 상금 100만 원, 2025 올해의 과학교사상 상금 500만 원을 포함한 상금 전액을 플러스하트·장유·가야 지역아동센터, 동광육아원, 한마음학원 등에 기부할 예정이며, 1+1 기부 방식(상금+동일 금액 추가 기부)으로 마술 도구 및 그림책을 구입하여 소외계층 학생 대상 마술 재능기부 활동도 확대할 예정이다.
장기재직휴가 기간을 온전히 타 학교 방문·책 기부·학생 성장 지원·재능 나눔으로 채우고 있는 구은복 교사의 선행은 많은 교사에게 귀감이 되고 있으며, ‘상금을 받으면 상금만큼 더 기부하는 1+1 기부 문화’는 교육계의 의미 있는 본보기가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