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수준 조정할 수 있는 정책금리 성격을 갖는 콜금리로 통화당국은 경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대우사태이후 당국은 콜금리를 0.25% 올리고 장기금리를 낮춰 장-단기 금리차를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금리는 상환 만기를 기준으로 보아 1년 이상 융통하는 자금에 붙는 장기금리, 1년 이내로 융통하는 단기금리로 나눈다. 장기금리로는 기업들이 발행하는 회사채, 중앙정부와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국공채 금리가 대표격, 단기금리로는 콜금리가 대표격이다. 콜금리란 금융기관간에 초단기로 융통하는 콜자금에 붙이는 금리다. 장기금리가 채권시장에서 채권 수급상황에 따라 오르내리는 시장금리의 성격을 갖는 데 비해 콜금리는 통화당국이 직접 금리수준을 조정할 수 있는 정책금리의 성격을 갖는다. 이 점은 중요하다. 콜금리를 조정함으로써 통화당국은 경제상황에 대처하는 힘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은행이 초단기금리인 콜금리 수준을 조정하면 단기금리와 장기금리가 변하고 그 여파가 물가와 경제 전반에 파급된다. 콜금리가 오르면→단기시장금리 상승→장기시장금리 상승→금융기관 여수신금리 상승이 이어지고 이런 식으로 금리가 오르면 통화당국이 가장 기피하는 인플레이션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는다. 이렇게 통화당국이 콜금리 조정을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처하는 식의 통화정책을 펴려면 정책금리인 콜금리와 시장금리간 연계성이 유지되어야 하고 장-단기 금리차가 3% 전후 수준을 넘지 않아야 한다. 지난 해 중반이후 콜금리는 정부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4.75%로 낮게 묶어놓았다. 그런데 7월부터 대우사태가 터져 장기금리인 회사채금리가 10%를 넘는 수준으로 급등하는 바람에 장-단기 금리차가 6%대로 뛰었다. 너무 큰 금리격차가 지속되자 통화당국으로서는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그래서 최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단기금리인 콜금리를 0.25% 포인트 올리고 장기금리를 낮춰 장-단기 금리차를 줄이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았다.
알림='곽해선의 경제전망대'는 이번 회로 매듭을 짓습니다. 3월부터는 교원들의 실질 재태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식ABC'코너로 새롭게 여러분을 찾아 갑니다.